KR200243474Y1 - 천정지지용 행어 - Google Patents

천정지지용 행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474Y1
KR200243474Y1 KR2020010015534U KR20010015534U KR200243474Y1 KR 200243474 Y1 KR200243474 Y1 KR 200243474Y1 KR 2020010015534 U KR2020010015534 U KR 2020010015534U KR 20010015534 U KR20010015534 U KR 20010015534U KR 200243474 Y1 KR200243474 Y1 KR 200243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uilding
hanger
insert
connec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15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474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위치조절수단을 갖는 천정지지용 행어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에 연결되어 천정설비가 천정에 매달리도록 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천정지지용 행어에 있어서, 고정로드와 연결몸체 사이에는 연결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를 이용하면, 건축물의 천정에 천정설비를 매달 때, 천정설비가 매달릴 위치와 천정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의 위치가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경우에도 위치조절블럭이 천정설비와 결합되는 연결몸체의 위치를 소정 거리만큼 유동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로 건축물 천정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곧바로 인써트의 위치에서 행어를 장착해 천정설비를 매달 수 있다.

Description

천정지지용 행어{hanger for ceiling support}
본 고안은 천정지지용 행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정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위치조절수단을 갖는 천정지지용 행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공사시에는 콘크리트(Concrete)와 같은 벽체 외에 냉,난방 및 공기조화를 위한 각종 배관들과, 통신 및 전원연결을 위한 각종 케이블(Cable)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각종 배관들과 각종 케이블들(이하, 각종 배관들과 각종 케이블들을 '천정설비'라 총칭하기로 한다)은 건축물의 자체 공간활용 및 미관 등의 여러가지 목적으로 통상 건축물의 벽체 천정에 일률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는 주로 건축물의 천정에 미리 설치되어 고정되는 인써트(Insert)와, 이 인써트에 장착되는 행어(Hanger)에 의해 구현된다.
이때, 종래 행어는 인써트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로드(Rod)와, 이 고정로드에 연결되어 천정설비가 천정에 매달리도록 하는 연결몸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건축물을 신축공사할 경우, 건축물의 각 천정에 어떠한 천정설비가 설치될 것인가를 미연에 계산하여 천정설비가 매달릴 부분에 미리 고정로드와 결합되는 인써트를 정확히 설치하고, 그 이후 인써트에 고정로드를 삽입고정시키며, 고정로드가 고정된 후에는 고정로드에 연결몸체를 장착하여 천정설비가 행어에 매달리도록 한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전 건축물의 천정부위에 천정설비가 설치될 부분을 먹물 등으로 기준선 설정을 개략적으로 한 다음, 이 기준선을 따라 건축물의 천정부위에 미리 인써트를 정확하게 설치하고, 이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써트가 건축물의 천정과 일체화되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콘크리트가 굳어지면 작업자는 콘크리트 천정에 고정된 인써트에 고정로드를 단단하게 삽입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로드에 연결몸체를 장착하여 천정설비가 행어에 매달리도록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천정설비를 행어에 매달려고 할 때, 종종 종래 기준선이 잘못 설정되어 이 기준선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의 위치가 천정설비가 매달려야할 위치보다 소정 거리만큼 틀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바, 이경우, 종래 행어는 건축물의 천정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와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유동되도록 하는 기능이 전혀없어 종래 행어만으로는 인써트의위치와 천정설비가 매달려야할 위치사이에 발생되는 간격차이를 커버(Cover)하지 못하고 천정설비를 건축물의 천정에 매달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반드시 종래 행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천정에 천정설비를 매달고자할 경우, 별도의 장비를 동원하여 건축물의 천정에 새로운 구멍을 뚫어 이 구멍에 고정로드를 삽입고정시킨 후, 이 고정로드에 연결몸체를 장착함으로써 천정설비가 건축물의 천정에 장착되도록 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천정에 새로운 구멍을 뚫지 않고도, 천정설비가 건축물 천정의 정확한 위치에 매달릴수 있도록 건축물의 천정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위치조절수단을 갖는 천정지지용 행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위치조절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에 연결되어 천정설비가 천정에 매달리도록 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천정지지용 행어에 있어서, 고정로드와 연결몸체 사이에는 연결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천정지지용 행어(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100)는 전체적으로 보아 고정로드(40), 위치조절블럭(Block,80), 연결몸체(90) 및 연결볼트(Bolt,6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로드(40)는 앙카 볼트(Anchor bolt)와 같은 볼트 형상이며, 건축물의 천정(20)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43)에 삽입되어 건축물의 천정(20)에 행어(100)가 매달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조절블럭(80)은 양 측면이 소정 크기로 평행하게 굴절되어 좌우 대칭된 'U'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중앙에 고정로드(40)가 끼워져 결합되는 장착홀(83)과 연결볼트(60)가 끼워져 결합되는 유동홀(85)이 형성되며, 고정로드(40)와 연결볼트(60)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장착홀(83)은 고정로드(40)의 외경보다 소정 크기 만큼 크게 형성되어 고정로드(40)가 끼워져 결합될 때, 회전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홀(85)은 연결볼트(60)가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연결볼트(60)의 외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크게 형성되면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연결몸체(90)는 'ㄷ'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천정설비가 건축물의 천정(2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천정설비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몸체(90)의 일면에는 연결볼트(60)가 결합되도록 결합홀(95)이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천정설비가 결합되도록 걸림홀(93)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볼트(6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볼트 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연결몸체(90)의 결합홀(95)에 끼워져 연결몸체(90)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위치조절블럭(80)의 유동홀(85)에 끼워져 위치조절블럭(9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결볼트(60)는 위치조절블럭(80)의 유동홀(85)에 끼워져 유동홀(85)의 내경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유동되며, 이때, 연결볼트(6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연결몸체(90)도 이 연결볼트(6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거리 유동된다. 따라서, 위치조절블럭(80)의 유동홀(85)은 연결몸체(9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이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100)가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20)에 천정설비를 설치할 때를 일실시예로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 콘크리트 건축물이 시공될 때, 작업자는 천정설비를 건축물의 천정(20)에 매달기위해서 먼저 건축물의 천정(20)에 인써트(43)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축물 천정(20)의 콘크리트 타설전에 건축물의 천정(20)에 어떠한 천정설비가 어떻게 매달려야 되는가를 미연에 계산한 다음, 건축물의 천정(20) 중 천정설비가 매달려야 할 부분에 먹줄 등으로 기준선을 개략적으로 설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이 기준선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건축물의 천정(20)부위에 인써트(43)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써트(43)를 건축물 천정(20)과 일체화시켜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콘크리트가 굳어지면, 작업자는 각 인써트(43)에 행어(100)를 장착한 후 이 행어(100)에 천정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천정설비를 건축물의 천정(20)에 매닮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정(20)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43)의 위치가 기준선 설정의 오산 등으로 천정설비가설치되어야 할 위치보다 소정 만큼 틀어진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때, 종래 행어(미도시)에는 천정설비와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유동되게 하는 기능이 전혀없어 건축물의 천정에 별도로 새로운 구멍을 뚫은 후 이 구멍에 행어를 장착하여 천정설비를 설치할 수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100)에는 천정설비에 연결되는 연결몸체(90)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유동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이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틀어진 인써트(43)에도 행어(100)를 장착하여 천정설비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인써트(43)에 고정로드(40)를 삽입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로드(40)에 위치조절블럭(80)의 장착홀(83)을 끼우고, 고정로드(40)와 결합되는 고정너트(Nut,45) 등으로 고정로드(40)와 위치조절블럭(8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이에, 위치조절블럭(80)은 고정로드(40)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20)에 단단하게 고정되며, 이후, 작업자는 연결볼트(60)를 구비한 다음, 이 연결볼트(60)의 일 단부를 고정로드(40)에 고정된 위치조절블럭(80)의 유동홀(85)에 끼워 위치조절블럭(80)과 연결볼트(60)를 연결시킨다. 여기에서, 위치조절블럭(80)의 유동홀(85)에 끼워진 연결볼트(60)는 좌우로 소정 거리만큼 유동되어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 후, 사각형상의 연결너트(65) 등에 의해 유동홀(85)에 연결되는 바, 이때, 연결너트(65)는 위치조절블럭(80)의 상하 두부분에 각각 체결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위치조절블럭(80)의 상부 즉, 위치조절블럭(80)의 내부에 삽입되어연결볼트(60)와 결합되는 연결너트(65)는 위치조절블럭(80) 내부에 꼭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연결볼트(60)가 용이하게 이격 및 유동되지 않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작업자는 유동홀(85)에 연결된 연결볼트(60)의 타 단부에 연결몸체(90)의 결합홀(95)이 끼워지도록 한 후, 연결너트(65) 등으로 연결몸체(90)와 연결볼트(6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되고, 이로써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인써트(43)에 행어(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이와 같이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인써트(43)에 장착된 행어(100)는 연결몸체(9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의 위치조절블럭(80)으로 인하여 틀어진 인써트(43)의 위치에서 천정설비가 매달려야 할 부분까지 유동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건축물 천정(20)에 새로운 구멍을 뚫지 않아도 천정설비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조절블럭(80)은 중앙면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83)의 직경이 고정로드(40)의 외경보다 소정 크기 만큼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장착홀(83)과 고정로드(40)가 결합될 때, 위치조절블럭(80)은 장착홀(83)에 의해 고정로드(40)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으로나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건축물의 천정(20)에서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인써트(43)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위치되어야할 인써트(43)의 위치에 대해서 어느 방향에 위치하든지 방향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블럭(80)으로 인하여 틀어진 인써트(43)에 연결몸체(90)를 연결하여 천정설비를 정확한 위치에 매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위치조절블럭(80)은 중앙면 타측에 형성된 유동홀(85)의 내경이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유동홀(85)과 연결볼트(60)가 결합될 때, 연결볼트(60)는 이 유동홀(8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유동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볼트(60)에 연결된 연결몸체(90)도 유동홀(85)에서 연결볼트(60)가 유동되는 거리만큼 유동되며, 이 연결몸체(90)의 유동에 따라 정상적으로 위치되어야할 인써트의 위치에 대해서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인써트(43)에도 행어(100)를 장착하여 정확한 위치에 천정설비를 설치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20)에 별도로 새로운 구멍을 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지지용 행어를 이용하면, 건축물의 천정에 천정설비를 매달 때, 천정설비가 매달릴 위치와 천정에 미리 설치된 인써트의 위치가 소정 거리만큼 틀어진 경우에도 위치조절블럭이 천정설비와 결합되는 연결몸체의 위치를 소정 거리만큼 유동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로 건축물 천정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곧바로 인써트의 위치에서 행어를 장착해 천정설비를 매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축물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로드와,
    천정설비를 상기 천정에 매달리도록 일단부가 상기 천정설비에 결합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고정로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연결몸체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된 유동홀을 구비하는 위치조절블럭과,
    상기 연결몸체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유동홀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지지용 행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지지용 행어.
KR2020010015534U 2001-05-25 2001-05-25 천정지지용 행어 KR200243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34U KR200243474Y1 (ko) 2001-05-25 2001-05-25 천정지지용 행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34U KR200243474Y1 (ko) 2001-05-25 2001-05-25 천정지지용 행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474Y1 true KR200243474Y1 (ko) 2001-10-29

Family

ID=7310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34U KR200243474Y1 (ko) 2001-05-25 2001-05-25 천정지지용 행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4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50B1 (ko) * 2006-09-27 2007-05-08 (주)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천장지지용 행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50B1 (ko) * 2006-09-27 2007-05-08 (주)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천장지지용 행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0892A (en) Plumbing hanger bracket assembly
US5931423A (en) Conduit supporting bracket
US20130320157A1 (en) Utility conduit suppor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EP2884019B1 (en) Suspended ceil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79360A1 (en) Ceiling support installation system
KR100895381B1 (ko) 폼 안전 난간대
KR200243474Y1 (ko) 천정지지용 행어
US6543731B1 (en) Conduit bracket system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KR101574463B1 (ko)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JP3150922U (ja) 空調室内機のドレンアップ配管
JP2004218800A (ja) 吊り下げ支持具及びダクト吊り下げ構造並びにダクト吊り下げ方法
KR200442184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EP3021440B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device
WO2007023211A1 (en) Fastening piece for fastening a lighting device or part of it to light mounting holes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or a building
JP3470162B2 (ja) 配線・配管材用受具及び配線・配管材用受具本体
KR20190118908A (ko) 벽면 고정 장치
JP2001021065A (ja) スプリンクラー配管用支持固定部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JP2005213909A (ja) 支持材
KR200402540Y1 (ko) 도관 설치구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KR102025331B1 (ko) 실외기 설치용 유동방지 지그
KR200402541Y1 (ko) 도관 설치구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