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09Y1 -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09Y1
KR200242609Y1 KR2020010012972U KR20010012972U KR200242609Y1 KR 200242609 Y1 KR200242609 Y1 KR 200242609Y1 KR 2020010012972 U KR2020010012972 U KR 2020010012972U KR 20010012972 U KR20010012972 U KR 20010012972U KR 200242609 Y1 KR200242609 Y1 KR 200242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reel
free
mobile communicat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규
Original Assignee
(주) 엑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엑토 filed Critical (주) 엑토
Priority to KR2020010012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0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휴대하지 않고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써, 핸즈프리의 상측에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에 편리하게 거치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때 생기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차량 운전자의 불편함을 해소한 슬라이드식 핸즈프리이다.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들은 설치가 번거롭고 핸즈프리에 거치 할 수 있는 단말기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핸즈프리를 구입할 때 자신의 단말기의 크기와 적합한지 확인하여야만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에 거치 할 때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부분의 공간을 유동성 있게 확보하도록 핸즈프리의 상면에 슬라이드를 채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슬라이드식 핸즈프리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Slide Type Hands Fre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유선통신 수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유선 이어마이크와 차량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결합하여 고안된 새로운 핸즈프리에 관한 기술이다.
이어폰 타입 핸즈프리는 차량에서 사용시에 이용자에게 직접 음성을 전달하기 때문에 동승한 다른 사람에게는 소음에 대한 불편을 주지 않고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는 이점과 통신을 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을 필요치 않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법에는 크게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흡착방식과 단말기를 직접 고정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 중 자석방식은 단말기의 형태와 관계없이 거치판에 거치 할 수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하는 부분, 즉 거치대의 상면에 자석을 부착하기 때문에 자석의 자력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 및 경량화가 되고 있기 때문에 금속성 소재보다는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금속으로 된 부착물을 추가로 붙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금속성 소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붙이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시에 충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통신선을 기존의 릴타입 방식으로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강철로 된 판스프링이 자석의 자력선의 영향을 받아 판스프링의 탄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릴이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거치대에 거치 할 경우에, 종래에는 최초 구입한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거치대를 사용하여야만 했으며,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할 때에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폐기하여야만 하였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대에 거치 할 수 있는 방식과 릴을 이용하여 통신선을 수납하는 방식의 장점을 실현하는 장치의 고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기의 거치를 위한 방법으로는 릴방식과 함께 지지대와 슬라이드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한 거치방식을 채택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크기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하기 위한 구조를 고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상의 편리함을 부가하는 수단으로써 릴을 병렬로 두개를 배치하여 잭(Jack)과 이어폰이 동시에 릴에 감겨 있다가 인출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잭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슬라이드와 내부릴과의 고정방식을 고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양립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양립릴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권취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취분해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예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드거치대 11 : 이동측슬립방지판
12 : 고정측슬립방지판 13 : 이동지지대
14 : 슬라이드 15 : 코일스프링
16 : 지지판 20 : 권취부
21 : 내축릴 22 : 외축릴
23 : 연결케이블 24 : 회전축
25 : 유도로 26 : 판스프링
27 : 스토퍼 30 : 케이스
31 : 상판 32 : 하판
33 : 고정날개 40 : 통신연결부
41 : 이어마이크 42 : 잭
43 : 신축케이블 44 : 잭라인
45 : 이어폰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31)과 하판(32)으로 구성된 케이스(30),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40), 양립릴을 이용하여 통신선을 수납할 수 있는 권취부(20),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거치대(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14)식 핸즈프리이다.
본 고안은 유선연결 방식 핸즈프리의 통신선을 편리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릴방식을 이용하여 권취하고 단말기의 손쉬운 탈부착을 위해서 슬라이드(14)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방식을 이용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축릴(21)과 외축릴(22)에 인출된 선의 길이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27)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축릴(21)과 외축릴(22)은 상호 구조상 전환될 수 있는 구조의 형태이다. 핸즈프리의 내부의 공간에는 휴대전화 중에서 SEND 스위치를 지원하는 회로가 첨가된 휴대폰 모델에 대해서 SEND 스위치 구조를 부가적으로 더 추가 할 수 있다.
신축케이블(43)은 그 케이블 안에 전선이 1가닥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비도전 피막으로 코팅되어 있는 통신케이블이며, 신축성을 가지기 위해 도전선이 얇게 배선된 납작하고 넓은 형태의 케이블로써, 이어폰부와 전기적으로 접합 연결되어 통신라인을 구성한다.
본 고안의 각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도면들을 살펴보면, 구성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제 구성예를 보면, 도 1은 본 고안에서 고안하고자 하는 핸즈프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케이스(30)와 통신을 위한 이어마이크(41), 선의 로킹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27),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단한 동작으로 거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거치대(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잭(42)과 이어마이크(41)는 핸즈프리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을 때, 이용자가 핸즈프리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장착된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손쉽게 잭(42)과 이어마이크(41)를 잡아당겨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인입출이 내부의 릴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한 도 2를 보면, 슬라이드거치대(1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대를 슬라이드(14) 방식으로 하면, 슬라이드(14)에 단말기와의 미끌림을 최소화하도록 고정측슬립방지판(12)을 부착하고, 또한 상판(31)의 지지대에는 이동측슬립방지판(11)을 부착시키고 슬라이드(14)에 코일스프링(15)을 결합하여 상판(31)에 조립되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도 3을 보면,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고안하고자하는 양립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양립릴에서 외축릴(22)과 내축릴(21)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판스프링(26)에 의해 동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권취부(20)는 신축케이블(43)을 회전축(24)으로 유도하고, 판스프링(26)을 회전축(24)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유도로(25)와 양립립이 상호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24)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취부(20)에는 내축릴(21)과 외축릴(22)을 상호 독립적으로 권취 할 수 있게 하는 판스프링(26)이 내장되어 있으며, 통신라인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본 고안에 의한 도 4를 보면, 본 고안의 양립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 사시도인데, 외축릴(22)에는 판스프링(26)과 신축케이블(43)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있고, 그 안에는 판스프링(26)이 태엽방식으로 감겨서 중앙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복원력을 가지게 되어 내축릴(21)과 외축릴(22)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신축케이블(43)은 납작하고 얇은 테이프 형태의 신축성이 있는 케이블 형태이며, 외축릴(22)내의 수납공간의 외곽면을 통과해서 수납공간 내부에 권취되어 있고, 내축릴(21)과 결합시에 신축케이블(43)은 외축릴(22)의 외곽으로 인출된다. 내축릴(21)과 외축릴(22)의 상호회전에 따라 판스프링(26)과 신축케이블(43)은 회전축(24)에 감기고 풀어지는 동작을 하며, 외축릴(22)에서 시작해서 내축릴(21)까지 접점과 단선 없이 신축케이블(43)자체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고안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도 5를 보면, 본 고안의 권취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사시도로써, 내축릴(21)은 외축릴(22)과 같이 결합되어 있고 내축릴(21)의 회전축(24)은 케이스(30)의 상판(31)과 하판(3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30)의 상판(31)은 회전축(24)을 잡아주며 내축릴(21)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하판(32)은 내축릴(21)의 회전축(24)을 잡아주고 동시에 외축릴(22)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지지판(16) 역할을 해서 릴들이 상호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통신라인은 신축케이블(43)과 접합되어 내축릴(21)과 외축릴(22)에 감겨있고, 판스프링(26)의 회전력에 의해 내축릴(21)과 외축릴(22)의 수납공간의 외곽면에 거치되어서 감겨 있고, 그 종단은 축중심 방향에서 내축릴(21)의 회전축(24)에 결합되어 외축릴(22)과 내축릴(21)에 구동력을 줄 수 있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도 6을 보면, 본 고안의 핸즈프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취분해 투시도로서, 본 고안의 핸즈프리의 내부를 순서대로 정열하였는데, 케이스(30)의 하판(32)위에 릴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토퍼(27)가 위치하고, 그 위에 내축릴(21) 및 외축릴(22)이 위치해서 통신라인을 인입출 할 수 있게 한다. 케이스 상판(31)의 위쪽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수 있는 슬라이드거치대(10)가 있고 슬라이드(14)를 하기 위해 슬라이드에 코일스프링(15)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측슬립방지판(12)과 이동측슬립방지판(11)을 부착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 7을 보면,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핸즈프리가 단말기와 결합되기 전의 실제 예를 보여주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슬라이드(14) 지지대가 좌우로 이동하게 고안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도 8을 보면,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핸즈프리가 단말기와 결합되는 실제 예를 보여주는데, 차량에 고정된 핸즈프리의 잭(42)을 인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포트에 결합한 후 핸즈프리 위에 거치하면 잭(42)은 판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핸즈프리의 안쪽에 수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전화를 걸거나 받고자 할 때에는 이어마이크(41)를 잡아당겨 통화를 하게 된다. 이 때 인출된 통신선을 로킹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로킹되고, 통신 후에는 스토퍼(27)를 위쪽으로 밀어 선을 릴에 수납하여 둘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차량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릴방식을 사용한 핸즈프리에 손쉽게 거치 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14)와 코일스프링(15)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때 생기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 할 수 있는 슬라이드(14)식 핸즈프리이다.
기존의 핸즈프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거치대에 거치 할 경우에, 최초 구입한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거치대를 폐기하여야만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드거치대(10)를 사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으며 견고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운전중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핸즈프리에 있어서, 단말기를 거치 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거치대(10), 양립릴을 수납하는 케이스(30), 양립릴을 이용하여 통신선을 수납할 수 있는 권취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거치대(1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며, 슬라이드(14)에 단말기와의 미끌림을 최소화하도록 고정측슬립방지판(12)을 부착하고, 상판(31)의 지지대에는 이동측슬립방지판(11)을 부착시키며 슬라이드(14)에 코일스프링(15)을 결합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게 하는 슬라이드거치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30)는 릴을 회전 가능하게 하며, 통신선의 유입로를 이루는 회전축(24)과 통신선의 꼬임을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배면 보호로를 가지는 케이스(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4. 제1항에 있어서 권취부(20)는 양립릴과, 통신선의 입출력을 하게 하는 판스프링(26), 릴과 판스프링(26)을 고정하는 고정날개(33)로 구성되어 있으며, 릴은 케이스(30), 하판(32)의 회전축(24)을 따라 회전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고, 통신선의 자체내력을 무접점 방식으로 하는 권취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KR2020010012972U 2001-05-04 2001-05-04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KR200242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72U KR200242609Y1 (ko) 2001-05-04 2001-05-04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72U KR200242609Y1 (ko) 2001-05-04 2001-05-04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09Y1 true KR200242609Y1 (ko) 2001-10-12

Family

ID=7306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72U KR200242609Y1 (ko) 2001-05-04 2001-05-04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1108B1 (en) Portable telephone
US5841858A (en) Phone handset housing assembly
US20040129522A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and cord reel assembly
EP3085266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US20050072872A1 (en) Headset cable retraction system
WO2001067724A1 (en) Integrated headset-case for wireless phones
US8781148B2 (en) Headphone having integrated cord storage
US6763111B2 (en) Portable device for coiling cable and amplifying sound
EP0617535A2 (en) Mounting assembly for a radio telephone
KR20000059278A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디바이스
KR200242609Y1 (ko) 슬라이드식 핸즈프리
KR200246606Y1 (ko) 양립 릴구조를 이용한 핸즈프리
WO2002093708A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and cord reel assembly
KR100495468B1 (ko) 이어 마이크 세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장치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205809Y1 (ko) 릴타입 핸즈프리
CN220173292U (zh) 一种带支架的电子设备保护壳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CN220570558U (zh) 电子设备支架及保护壳
KR200320286Y1 (ko) 차량용 이어폰 홀스터
KR20040037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93538A (ko)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80295B1 (ko) 감김 방식에 의한 이어마이크로폰
KR20010047711A (ko) 이어 마이크 세트
KR200223505Y1 (ko) 이어폰 권취장치가 내장된 셀룰러폰 충전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