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19Y1 -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 Google Patents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19Y1
KR200242019Y1 KR2020010006226U KR20010006226U KR200242019Y1 KR 200242019 Y1 KR200242019 Y1 KR 200242019Y1 KR 2020010006226 U KR2020010006226 U KR 2020010006226U KR 20010006226 U KR20010006226 U KR 20010006226U KR 200242019 Y1 KR200242019 Y1 KR 200242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picture
inp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2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철
Original Assignee
(주)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코 filed Critical (주)리코
Priority to KR2020010006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19Y1/en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식 사운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념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전시물이 들어있는 액자의 표면을 가볍게 터치할 때 감미로운 사운드가 울려나오게 하여, 전시물에 담긴 추억이나 느낌을 시청각적으로 상기할 수 있는 터치식 사운드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type sound fr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light touch of the surface of a frame containing an exhibition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causes a sweet sound to sound, the memories or feelings contained in the exhibit are visually and visu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type sound frame.

본 고안에 따르면 액자(가)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인체의 정전용량을 발진 주파수로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100)와; 주파수 감지신호를 단일클럭의 전압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200)와; 외부의 음성 및 음악을 입력하는 사운드 입력부(300)와; 상기 신호 변환부(200) 및 사운드 입력부(300)의 입력에 따라 녹음된 사운드의 출력 및 신규 사운드를 녹음하는 녹음 재생부(400)를 조합한 제어부(나)를 내장하고, 케이스와 투명 유리판으로 지지 및 고정되는 기념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의 배면에 상기 제어부(나)의 터치 센서부(100)로 연결되는 고 유전율의 전극판을 접착한 터치식 사운드 액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id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frame (A), the touch sensor unit 100 for sens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at the oscillation frequency; A signal converter 200 converting the frequency detection signal into a single clock voltage input signal; A sound input unit 300 for inputting external voice and music; Built-in control unit (B) combining the output of the recorded soun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ignal conversion unit 200 and the sound input unit 300 and the recording and playback unit 400 for recording a new sound, the case and the transparent glass plate There is provided a touch-type sound picture frame which is bonded to a high dielectric constant electrode plate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unit 100 of the controller (b) on the back of an exhibition object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that is supported and fixed.

Description

터치식 사운드 액자{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Touch-type sound frame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본 고안은 터치식 사운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념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전시물이 들어있는 액자의 표면을 가볍게 터치할 때 감미로운 음악이나 목소리와 같은 사운드가 울려나오게 하여, 전시물에 담긴 추억이나 느낌을 시청각적으로 상기할 수 있는 터치식 사운드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type sound fr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light touch of the surface of a frame containing an exhibit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causes a sound such as sweet music or a voice to sound, the memories contained in the exhibit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type sound frame that can visually remind the feeling.

일반적으로 실내벽면 또는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추억속의 기념사진이나 그림등을 감상할 수 있는 종래의 액자는 전면이 투명한 케이스의 내부에 전시물을 부착시킨 것이므로, 이는 액자속의 전시물을 시각적으로만 인식이 가능함에 따라 기념사진을 찍은 당시의 상황이 재대로 표현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일정시간이 경과 후에는 전시물의 내용에 무감각하게 되어 액자를 설치하는 의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액자의 내부에 멜로디 소자와 인체감지 센서를 내장시켜 액자근처에 근접할 때 멜로디가 출력되게 함으로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액자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센서의 감지가 불명확하고 또한 액자 근처에서 집중이 필요한 공부나 업무의 수행중에 가벼운 신체의 움직임에도 멜로디가 울려나와 정신집중을 흐리게 하는 등의 여러가지 폐단이 있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picture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an interior wall or table to view memories and photographs of memories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a transparent case, so that the display inside the frame can only be visually recognized. Accordingly,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aking a souvenir picture could not be represented properly, and in particular, after a certain time, the meaning of installing a frame was halved because it became insensitive to the contents of the exhibit. Recently,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be solved by embedding a melody element and a human body sensor inside the picture frame so that the melody is output when approaching the picture frame. However, this is due to the location of the frame, the detection of the sensor is unclear, and there are various defects such as blurring the melody due to the movement of light body during the study or work that requires concentration near the frame.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액자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인체의 정전용량을 발진 주파수로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와; 주파수 감지신호를 단일클럭의 전압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 외부의 음성 및 음악을 입력하는 사운드 입력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 및 사운드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녹음된 목소리나 음악의 출력 및 신규 사운드를 녹음하는 녹음 재생부를 조합한 제어부를 내장하고, 케이스와 투명 유리판으로 지지 및 고정되는 기념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의 배면에, 상기 제어부의 터치 센서부로 연결되는 고 유전율의 전극판을 접착한 터치식 사운드 액자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the touch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in the oscillation frequency inside the case constituting the frame; A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frequency sensing signal into a single clock voltage input signal; A sound input unit for inputting external voice and music; Exhibits such as commemorative photographs or pictures supported by a case and a transparent glass plate incorporating a control unit combining a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for recording a voice or music output and a new soun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ignal converting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On the back of the, to provide a touch-type sound frame bonded to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electrode plate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unit of the control unit.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전극판과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ode plat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내부 블럭도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가: 액자 나: 제어부 1: 받침대A: frame B: control unit 1: stand

2: 케이스 3: 전시물 4: 투명 유리판2: case 3: exhibit 4: clear glass

5: 마이크 6: 잭 7: 스피커5: microphone 6: jack 7: speaker

8,8': 입출력공 9: 메모리 10,10': 누름버튼8,8 ': I / O 9: Memory 10,10': Pushbutton

11: 전극판 12: 발광램프 100: 터치 센서부11: electrode plate 12: light emitting lamp 100: touch sensor

200: 신호 변환부 300: 사운드 입력부 400: 녹음 재생부200: signal conversion unit 300: sound input unit 400: recording and playback unit

받침대(1)가 배면으로 부설된 케이스(2)의 전면에 기념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3)을 투명유리판(4)으로 고정 부착하고 내부에 멜로디의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제어부를 형성한 멜로디 발생용 액자(가)에 있어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나)가 내장된 케이스(2)의 배면에 마이크(5) 및 잭(6)을 포함한 스피커 (7)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입출력공(8)(8')과, 상기 마이크(5)와 잭(6)을 통해 메모리(9)로 사운드의 녹음을 선택하는 누름버튼(10)(1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투명 유리판(4)으로 지지 고정된 전시물(3)의 배면에 상기 제어부(나)로 접속되는 동재질의 전극판(11)을 접착한 구조로 되어있다The melody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2) with the pedestal (1)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e (3),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fixedly attached to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and a controller capable of recording and playing the melody therein. In the generating frame (A), many of the input / output of the speaker (7) including the microphone (5) and the jack (6) on the back of the case (2) in which the control unit (B)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sound are incorporated Two input / output holes 8 and 8 ', and push buttons 10 and 10' for selecting sound recording to the memory 9 through the microphone 5 and the jack 6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lectrode plate 11 made of the same material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hibit 3 supported by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여기서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형성된 제어부(나)는 투명 유리판(4)을 통해 전극판(11)으로 전달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고주파 발진에 의한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터치센서부(100)와; 상기 감지신호를 필터링하여 메모리(9)에 단일클럭의 입력전압으로 인가하는 신호변환부(200)와; 상기 누름버튼(10)(10')과 마이크(5)및 잭(6Here, the control unit (B) formed inside the case (2) is the touch sensor unit 100 for recogniz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plate 11 through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as a detection signal by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Wow; A signal converter 200 for filtering the sensed signal and applying the input signal to the memory 9 as a single clock input voltage; The pushbuttons 10, 10 ', the microphone 5 and the jack 6

)을 조합시켜 누름버튼(10)(10')의 조작으로 메모리(9)에 외부의 음성 또는 음악을 선택적으로 녹음하는 사운드 입력부(300)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300)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를 저장하고 신호변환부(200)의 입력전압에 따라 녹음된 사운드를 스피커 (7)에 출력하는 메모리(9)를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시킨 녹음 재생부(400)의 조합으로 되어있다.A sound input unit 300 for selectively recording an external voice or music in the memory 9 by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s 10 and 10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sound record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300 and output the recorded sound to the speaker 7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signal conversion unit 200 as a microcomputer. 400).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사운드 입력부(300)의 작동을 표시하는 발광램프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2 is a light emitting lamp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300.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액자(가)를 구성하는 케이스(2)의 내부에, 터치 센서부(100)와 신호 변환부(200)를 통해 액자(가)에 터치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스피커(7)를 통해 녹음 재생부(400)의 메모리(9)에서 사운드의 출력과, 사운드 입력부(300)를 형성하는 누름버튼(10)(10')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5) 또는 잭(6)으로 외부의 음성 및 음악을 입력하여 녹음 재생부(400)의 메모리(9)에 신규 메세지의 녹음이 가능한 제어부(나)를 내장하고, 케이스(2)와 투명 유리판(4)으로 지지 및 고정되는 기념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3)의 배면에 상기 제어부(나)의 터치 센서부(100)로 연결되는 고 유전율의 전극판(11)을 접착한 것이므로 기념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전시물(3)이 부착되어 있는 액자(가)의 투명 유리판(4)에 신체의 일부분을 가볍게 터치시켜 이에 전달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감지신호로 녹음 재생부 (400)에 녹음된 음성 목소리 또는 감미로운 음악이 스피커(7)를 통해 울려나오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speaker by sens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touched by the frame (a)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00 and the signal conversion unit 200 inside the case (2) constituting the frame (a) (7) through the output of the sound in the memory (9) of the recording and playback unit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10) (10 ') forming the sound input unit 300, the microphone (5) or jack ( 6) Built-in control unit (B) capable of recording new messages in the memory (9) of the recording and playback unit 400 by inputting external voice and music, and supported by the case (2) and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Since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electrode plate 11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unit 100 of the controller (b)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hibit 3 such as a fixed memorial picture or picture, a display such as a memorial picture or picture ( 3) Lightly touch a part of the body to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of the picture frame (A) to which it is attached. This is a speech voice or sweet music recorded o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section 400,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to ring out through a speaker (7).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받침대(1)가 달린 케이스(2)의 내부에 기념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전시물(3)을 투명 유리판(4)으로 고정시킨 액자(가)의 투명 유리판(4)에 신체의 일부분을 가볍게 터치할 때 접촉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이 상기 투명 유리판(4)과 전시물(3)에 접착된 고유전율의 전극판(11)을 통해 고주파 발진하는 터치 센서부(100)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켜 신호 변환부(200)에 전송되는 제어부(나)의 감지신호로 인식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f all, a transparent glass plate 4 of a frame (a) in which an exhibition 3,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is fixed to the inside of a case 2 having a pedestal 1 with a transparent glass plate 4. Of the touch sensor unit 100 to generate high frequency oscillation through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electrode plate 11 adhered to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and the exhibit 3 when lightly touching a part of the body. The oscillation frequency is changed to be recognized as a detec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b)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ter 200.

신호 변환부(200)에는 상기 터치센서부(100)에서 발진 주파수로 인식되는 감지신호를 단일클럭의 입력 전압신호로 변화시켜 녹음 재생부(400)의 메모리(9)에 인가함으로서 녹음 재생부(400)에는 사운드 입력부(300)를 통해 메모리(9)에 녹음되어 있는 외부음성과 감미로운 음악을 스피커(7)로 출력하게 된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200 converts a sensing signal recognized by the touch sensor unit 100 into an oscillation frequency into an input voltage signal of a single clock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memory 9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unit 400. 400, the external voice and sweet music recorded in the memory 9 are output to the speaker 7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300.

그리고 상기 녹음 재생부(400)의 메모리(9)에 외부음성과 음악을 입력하는 사운드 입력부(300)에는 케이스(2)의 배면에 노출되어 있는 누름버튼(10)(10')의 조작으로 다수의 입출력공(8)(8')을 통해 메모리(9)와 연결된 마이크(5) 또는 잭(6)에 전시물(3)의 내용에 적합한 음성 목소리가 담긴 메세지나 감미로운 음악을 외부 입력신호로 녹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ound input unit 300 for inputting external voice and music into the memory 9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400 is operated by a plurality of manipulations of the push buttons 10 and 10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 Records a message or sweet music with voice suitable for the contents of the exhibit (3) in the microphone (5) or jack (6) connected to the memory (9) through the input / output holes (8) and (8 ')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You can do it.

이때 사운드 입력부(300)를 통해 녹음 재생부(400)의 메모리(9)에 외부음성과 음악이 입력될 때에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300)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발광램프(12)가 작동하고, 신호 변환부(200)의 출력은 인터록이 걸리게 하여 입출력되는 신호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voice and music is input to the memory 9 of the recording and playback unit 400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300, the light emitting lamp 12 info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ound input unit 300 is activated, and the signal is converted. The output of the unit 200 is interlocked to prevent collision of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액자(가)의 표면을 가볍게 터치할 때 접촉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감지신호로 하여 제어부(나)의 녹음 재생부(400)에서 메모리(9)에 녹음된 음성 메세지와 감미로운 음악을 출력함으로서 기념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전시물(3)에 담긴 의미를 시청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한 사운드 입력부 (300)를 통해 액자(가) 속의 내용에 따라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다양한 메세지와 음악을 녹음함으로서 무감각해 지기 쉬운 전시물(3)을 항상 새롭게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ice message and sweet music recorded in the memory 9 in the recording / reproducing unit 400 of the controller (b) us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that is touched when a light touch of the surface of the frame is detected. It has the advantage that you can see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exhibition (3) such as a memorial picture or a picture by outputting the By recording messages and music, the exhibits (3), which tend to be numb, can always be refreshed.

Claims (2)

받침대(1)가 배면으로 부설된 케이스(2)의 전면에 기념사진이나 그림등과 같은 전시물(3)을 투명유리판(4)으로 고정 부착하고 내부에 사운드의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제어부를 형성한 멜로디 발생용 액자(가)에 있어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나)가 내장된 케이스(2)의 배면에 마이크(5) 및 잭(6)을 포함한 스피커 (7)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입출력공(8)(8')과, 상기 마이크(5)와 잭(6)을 통해 메모리(9)로 사운드의 녹음을 선택하는 누름버튼(10)(1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투명 유리판(4)으로 지지 고정된 전시물(3)의 배면에 상기 제어부(나)로 접속되는 동재질의 전극판(11)을 접착한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한 터치식 사운드 액자.On the front of the case 2 with the pedestal 1 attached to the back, a display 3 such as a souvenir picture or a picture is fixedly attached to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sound is formed therein. In the melody generating frame (A), a control unit (I)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sound is responsible for input and output of a speaker (7) including a microphone (5) and a jack (6) on the back of the case (2)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holes 8 and 8 'and push buttons 10 and 10' for selecting sound recording to the memory 9 through the microphone 5 and the jack 6 are exposed to the outside. A touch-type sound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by bonding the electrode plate 11 of the same material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hibit (3) that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나)는 투명 유리판(4)을 통해 전극판(11)으로 전달되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고주파 발진에 의한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터치센서부(100)와; 상기 감지신호를 필터링하여 메모리(9)에 단일클럭의 입력전압으로 인가하는 신호변환부(200)와; 상기 누름버튼(10)(10')과 마이크(5) 및 잭(6)을 조합시켜 누름버튼(10)(10')의 조작으로 메모리(9)에 외부의 음성 또는 음악을 선택적으로 녹음하는 사운드 입력부(300)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300)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를 저장하고 신호변환부(200)의 입력전압에 따라 녹음된 사운드를 스피커(7)에 출력하는 메모리 (9)를 마이컴으로 구성시킨 녹음 재생부(400)의 조합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 터치식 사운드 액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b) and the touch sensor unit 100 for recognizing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plate 11 through the transparent glass plate 4 as a detection signal by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A signal converter 200 for filtering the sensed signal and applying the input signal to the memory 9 as a single clock input voltage; Combining the push buttons 10, 10 ', the microphone 5, and the jack 6 to selectively record external voices or music in the memory 9 by operating the push buttons 10, 10'. A sound input unit 300;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400 configured to store the sound record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300 and output the recorded sound to the speaker 7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of the signal converting unit 200 by a microcomputer. Touch sound frame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KR2020010006226U 2001-03-08 2001-03-08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KR2002420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26U KR200242019Y1 (en) 2001-03-08 2001-03-08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26U KR200242019Y1 (en) 2001-03-08 2001-03-08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19Y1 true KR200242019Y1 (en) 2001-09-26

Family

ID=7305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226U KR200242019Y1 (en) 2001-03-08 2001-03-08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1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2019Y1 (en) Touch tone melody picture frame
JP4547966B2 (en) Audio equipment
KR200425079Y1 (en) The album system where the binding image is converted
JPH10225349A (en) Frame with built-in sound device
KR200262658Y1 (en) Earphone book
JPH053136Y2 (en)
KR200324619Y1 (en) Ornament type clock
JPH0316076Y2 (en)
KR200213741Y1 (en) Communicating system and the mirror having the system
KR950007279Y1 (en) Tissue-paper box mounting melody device
KR200376270Y1 (en)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KR200324621Y1 (en) Ornament type clock
KR200337704Y1 (en) Desktop picture frame
KR960011901A (en) Semiconductor Recording Accessories
KR200354301Y1 (en) Hanging Scroll with Sound Playing Feature
JP3049870U (en) Reading devices
KR20000030830A (en) Detecting apparatus for inputting recycle material
KR200424620Y1 (en) The message gift box where the picture or letter appears consecutive
KR200197035Y1 (en) Sensible mouse
KR200399468Y1 (en) A portable communicating apparatus for the speech-disables
JP2002244673A (en) Karaoke machine
KR200306723Y1 (en) Voice message output apparatus for vehicle
KR20010092137A (en) Sensible mouse
JP2769641B2 (en) Vanity table with living information display
KR100617249B1 (en) Hanging Scroll with Sound Playing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