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270Y1 -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 Google Patents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270Y1
KR200376270Y1 KR20-2004-0026309U KR20040026309U KR200376270Y1 KR 200376270 Y1 KR200376270 Y1 KR 200376270Y1 KR 20040026309 U KR20040026309 U KR 20040026309U KR 200376270 Y1 KR200376270 Y1 KR 200376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plate
national
fram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3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건식
Original Assignee
유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건식 filed Critical 유건식
Priority to KR20-2004-0026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2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27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게시형 태극기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태극기를 게시하는 액자틀안에 음향이 발생하는 모듈을 삽입하여 필요시에 간단한 조작으로 애국가 혹은 국민의례 등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한 태극기틀로서 정부권장형 국기틀 규격에 맞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publishing type Taegeuk framework, and more specifically, a Taegeuk framework that inserts a module that generates sound in a picture frame that posts a Taegeukgi, and outputs sounds such as national anthem or national rites with a simple operation when necessa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eet the government recommended flag frame standard.

Description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종래에는 태극기를 실내에 게시할 때 유리액자틀 안에 태극기를 수납하여 벽면에 걸어주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태극기자체를 금속이나 플라스틱 판재에 인쇄 또는 접착을 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방법도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러한 방법들은 유지나 설치에 문제점이 많아 대한민국정부에서는 행정자치부고시 제2002-16호에서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15948호)에 의하여 실내게시용(정부권장형) 국기틀의 규격을 제정 고시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고유의 전통미와 현대감각을 조화시켰고 형태로는 세가지의 형태로 규격화하였다. 이로서 이후로는 실내게시용으로는 새로운 정부권장형 국기틀이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In the past, when the national flag is posted indoors, a method of accommodating the national flag in a glass frame and hanging it on a wall has been commonly used, and a method of attaching or attaching the taegeuk itself to a wall by printing or bonding a metal or plastic plate has been used. . However, most of these methods have problems in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ified the size of the national flag frame for indoor publication (government recommended typ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No. It was enacted. According to this, he harmonized his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sense and standardized it into three forms. As a result, a new government recommended flag frame was widely used for indoor posting.

본 고안은 애국가를 연주할 수 있는 국기틀에 관한 것으로서, 그동안에도 음향기능을 구비한 액자형 태극기 등이 고안되었으나 대부분의 구조가 음향부나 조작부를 전면에 배치하여 태극기 자체에 대한 시각적인 훼손을 주고 그 크기나 디자인이 정부권장형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ional flag frame that can play national anthem. In the meantime, the frame type Taegeukgi equipped with sound function has been devised, but most of the structures are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acoustic part or the operation part to give visual damage to the Taegeukgi itself. The size and design were far from the recommended government.

본 고안은 새로운 정부권장형 국기틀의 디자인과 크기의 규격에 맞으면서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국기틀을 만들어 외관상 수려함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ake the flag frame with the national performance of the national flag frame while meeting the design and size of the new government recommended flag frame to keep the appearance beautiful and to make the user's operation simpl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국기틀밑판의 중앙하부에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수납구를 형성하여,In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frame of the flag frame to form a storage port for mounting the sound generating module,

여기에 소정의 두께이내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음향발생모듈을 후면에서 장착하도록 함으로서 국기틀을 외곽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여 국기틀을 벽면에 게시하여도 벽면에서 돌출되거나하여 시각적인 불편을 주지 않으며,Here, by mounting the sound generating module that is integrally made within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rear, the flag frame is kept at the outside size and posts the flag frame on the wall so that it does not cause visual inconvenience by protruding from the wall.

애국가 연주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스위치를 종래의 푸쉬타입 대신 신체감지형 터치센서를 사용함으로서 국기틀이 밀리거나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g frame is not pushed or shaken by using a body sensing type touch sensor instead of a conventional push type switch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when playing the national anthem.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대통령령 제15948호,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에 나타난 실내게시용(정부권장형) 국기틀 중 좌우보필형의 외관을 보여주는데 국기판(102)은 태극기가 인쇄된 얇은 알루미늄판재나 플라스틱판재가 접착되어있는 나무판재로서 국기틀밑판(101)의 전면으로 돌출 부착되어 있으며 국기틀 밑판은 좌우로 지름이 32mm인 한 쌍의 원형목기둥(103)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국기판의 경우 태극기 문양이 전사 처리된 도자기판을 사용하면 그 수려함이 월등하고 청결유지, 장기간 보관 등의 면에서 타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하다.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eft and right handwriting of the flag frame for indoor posting (government recommended type) flag shown in the Presidential Decree No. 15948,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Republic of Korea flag flag 102 is a thin aluminum plate or plastic plate printed with the national flag It is adhered to the front of the flag frame base plate 101 as a wooden plate bonded to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a pair of circular wooden pillars 103 having a diameter of 32mm left and right. In the case of the national flag plate using a porcelain plate that is transferred to the Taegeukgi pattern is excellent in its beauty and is superior to the case of using other plate material in terms of maintaining cleanliness, long-term storage.

국기틀밑판(101) 중앙 하부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감지도체(205)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작은 신체감지금속편(205a)은 국기틀밑판 하부에 바로 고정 부착하는 것으로 도 6의 터치센서회로(204)와 연결되어 감지도체(205)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태극기를 게시하는 높이가 사람의 손이 닿지못힐 정도의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신체감지금속줄(205b)을 장착하여 그 끝부분을 사람의 손높이까지 늘어뜨려 놓음으로서 애국가 연주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이 두가지의 감지도체는 둘 다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만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lag frame base 101 indicates that the body sensing conductor 20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Here, the small body sensing metal piece 205a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ag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circuit 204 of FIG. 6 to serve as a sensing conductor 205. 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flag post is located high enough to be out of reach of people, the body sensing metal string (205b)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ine up to the height of the human h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nthem. have. Both sensing conductors can be used in combination or only one can be used if necessary.

도 2는 정부권장형 태극기틀의 다른 2 종류인 상방족자형과 족자형을 보여 주고 있는데 세가지 모두 가로, 세로의 크기와 기둥의 위치만 약간씩 다를 뿐 원형목(103)은 30mm 내지 32mm 의 것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대표격인 좌우보필형을 위주로 설명을 하도록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태극기틀의 후면도와 상면도를 보여주는데 상기 대통령령 제15948호,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에 보면 국기부분의 두께는 18mm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보통 나무의 판재로 국기틀을 만들 경우 국기틀밑판(101)과 국기판(102) 각각의 두께를 약 9mm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경우 도 4의 상세도에서 보여지듯이 국기틀을 벽면에 게시한 경우 후면에서 측정할 때 국기틀밑판 표면에서부터 지름이 32 mm인 원형목의 외곽, 즉 벽면까지의 공간여유는 T로서 표시되듯이 32/2-9/2=11.5mm 로 산출된다. Figure 2 shows the other two types of government recommended type Taegeuk framework, the upper hanging scroll and the hanging scroll, all three of which are only slightly differen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and the position of the column, the round neck 103 is 30mm to 32mm Since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on the left and right handwriting type representative. 3 and 4 shows a rear view and a top view of the Taegeu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Decree No. 15948, the thickness of the national flag is defined as 18 mm, the national flag frame is usually made of wooden boards.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base plate 101 and the flag plate 102 is generally about 9 mm. In this case, when the flag frame is posted on the wall, as shown in the detailed view of FIG. 4, when measured from the rear, the space margin from the surface of the flag frame to the outside of the round neck having a diameter of 32 mm, that is, the wall surface is 32 as indicated by T. /2-9/2=11.5mm.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모듈(200)의 개략사시도로서 도 6의 기능 블럭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케이스안에 음악발생회로(201), 건전지모듈(202), 스피커(203) 및 터치센서회로(204)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감지도체(205)는 터치센서회로와 연결되어 모듈(200)의 밖으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음향발생모듈(200)의 크기에 있어서 길이(L), 높이(H)는 국기틀의 가로,세로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두께(T)는 면밀히 고려하여야하는 점이 있다. 본 고안의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은 벽면에 게시하여 두고 건전지의 교환을 자주하여 주는 것이 아니므로 비교적 큰 용량이면서도 손쉽게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건전지는 원통형 건전지로서 AA 타입과 AAA 타입이 적당하다. 도 7에는 이러한 AA 및 AAA 타입 건전지를 보여주는데 보통 그 자체 지름은 각각 14mm와 10mm정도이다. 상기 음향발생모듈(200)은 내부에 이러한 AA 혹은 AA 타입의 건전지를 장착하려면 케이스와 건전지교환커버(207) 등의 두께를 더해서 고려할 때, 도 5의 케이스의 두께(T)는 15mm에서 20mm 정도가 된다. 이러한 두께를 그대로 국기틀밑판의 후면에 장착하면 상기 도 4의 밑판표면에서 벽면까지의 여유공간인 상기 11.5mm를 초과하게 되므로 이와같이 음향모듈이 부착된 국기틀을 게시한다면 국기틀이 벽면으로부터 초과하는 두께만큼 정상 이상으로 과다돌출되어 게시된다.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 6, in which a music generating circuit 201, a battery module 202, and a speaker 203 are integrated in a case. ) And a touch sensor circuit 204 are incorporated. In addition, the sensing conductor 205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circuit and mounted outside the module 200. Here, the length (L) and height (H) in the size o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200 has a sufficient length and width of the flag frame is not a problem, but the thickness (T) has to be carefully considered. . The Taegeuk framework with the national anthem play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ted on the wall and is not frequently exchanged with batteries, so it should be used with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easily available on the market. At this time, generally available batteries are cylindrical batteries, AA type and AAA type are suitable. Figure 7 shows such AA and AAA type batteries, usually their own diameters of about 14 mm and 10 mm, respectively. When the sound generating module 200 includes the thickness of the case and the battery replacement cover 207, etc. in order to mount the AA or AA type batteries therein, the thickness T of the case of FIG. 5 is about 15 mm to 20 mm. Becomes If the thickness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flag frame base plate as it is, the space exceeding the free space from the bottom plate surface to the wall surface of FIG. 4 is greater than 11.5 mm. Posted overt by more than normal thickness.

도 8은 이러한 과다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기틀밑판(101)의 중앙부분에 음향발생모듈(200)의 길이(L)과 높이(H)에 맞는 음향발생모듈 수납구(105)를 형성한 것을 보여준다. 물론 이때 수납구의 L과 H는 앞면에서 볼 때 국기판에 가리워져 은폐될 크기이내로 한다. 도 9는 이렇게 형성된 국기틀밑판(101)의 수납구에 맞게 음향발생모듈(200)을 결합하는 조립도를 보여주는데 이 경우 국기틀밑판의 두께인 9mm만큼 공간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도 10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하여도 케이스가 국기틀 후면 표면에서 돌출되는 부분은 6 - 11mm 이므로(상기 15 - 20mm 에서 두께 9mm를 제한 높이) 국기틀을 게시하여도 벽면에서 초과돌출되지 아니하여 정부의 권장규격안에 맞는 설치구조를 제공한다.FIG. 8 shows that the sound generating module receiving opening 105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lag frame base plate 101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L and the height H o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200 in order to prevent such over-protrusion. . Of course, at this time L and H of the storage port is hidden within the size to be concealed by the flag plate whe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9 shows the assembly diagram to combine the sound generating module 200 to fit the receiving opening of the flag frame base plate 101 form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10 because it can reduce the space by the thickness of the flag frame base plate 9mm Even i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is installed, the part of the cas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g frame is 6-11mm (limited height of 9mm from 15-20mm above).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that meets the recommended specifications.

도 6에는 음향발생모듈의 기능 블럭도를 보여주는데 음악발생회로(201)는 음향합성기술을 사용하여 압축된 음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애국가등의 음향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바 전원으로 사용되는 건전지 모듈에는 상기 설명한대로 사용기간과 교체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AA 혹은 AAA 타입의 건전지모듈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입력신호로서 푸쉬타입의 스위치를 사용하는데 이때에는 벽에 걸려있는 액자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지게 되므로 액자가 흔들리거나 움직일 가능성이 있어, 터치센서회로(204)를 음악발생회로(201)의 입력신호회로로 장치하여 감지도체(2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놓음으로서 손으로 간단히 신체접촉을 하면 액자의 흔들림 등이 없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게 하도록 신체감지금속편(205a) 혹은 신체감지금속줄(205b)을 장치한다. 신체감지금속줄(205b)은 국기틀의 게시높이가 손을 올린 높이 이상일 경우 장식용으로도 좋은 도체 금속고리줄을 연결하여 손이 닿는 높이까지 늘어뜨려 놓으면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가능하다. 상기 금속편과 금속줄은 둘다 하나의 국기틀에 장치하여 사용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어느 것 한가지만 장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6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201 is a bar power source for outputting sound such as an anthem through a speaker using a semiconductor that stores compressed sound information using a sound synthesis technology. For the battery module used, AA or AAA type battery modules ar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life and ease of replacement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a push type switch is used as a user's manipulation input signal, and since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frame hanging on the wall, the frame may be shaken or moved. By using the input signal circuit of the 201, the sensing conductor 205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body sensing metal piece 205a or the body is made to enable the user's operation without shaking the picture frame by simply touching the body by hand. The sensing metal string 205b is installed. The body sensing metal string 205b is connected to a conductor metal ring that is also good for decoration when the posting height of the flag frame is higher than the raised he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The metal piece and the metal strip may both be used in a single flag frame, or may be used by using only one device as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에 있어서 주로 좌우보필형인 예에 대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 바, 이는 다른 두 종류, 족자형이나 상방족자형에 대해서도 그 구성이 동일하며 태극기와 애국가를 연주하는 국기틀에 국한하지 아니하고 이런 종류의 모든 국기 또는 국가나 음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example of the left and right handwriting in the Taegeuk framework with the national anthem performa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hich is the same for the other two types, the hanging scroll or the upper hanging scroll.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flag or country or music of this kin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flag and national anthem.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한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을 벽면에 게시함으로서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15948호)에 의한 정부권장형 실내게시용 국기틀 규격에 부합되어 원래의 시각적인 수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애국가를 손쉽게 연주하게함으로서 국기와 국가에 대한 경의 및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신호입력으로서 터치센서회로를 사용하여 간단한 신체 접촉에 의한 애국가 연주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posting the taeguk frame with the national anthem performance function equipped with the sound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flag frame for the government recommended type indoor posting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ial Decree No. 15948) By making the national anthem easy to play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visual aesthetics, it provides the effect of inspiring respect and patriotism to the national flag and the state, and using the touch sensor circuit as a signal input to perform the national anthem performance by simple physical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to it.

또한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게시된 태극기틀에 신체감지 금속줄을 늘어뜨려 장치함으로서 높이 게양된 경우나 어린이의 경우에도 애국가 연주조작을 손쉽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body sensing metal strings on the taegeuk framework posted at an unreachable height, it provides the effect of easily playing the national anthem even in the case of a high hoisted or a child.

본 고안은 우리나라의 국기인 태극기와 국가인 애국가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주는 다른 나라의 국기, 국가 또는 이에 준하는 상징물과 상징음들에 대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ncluding the national flag of Korea and the national flag of the national fla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lude many variations of the flag, country or equivalent symbols and symbols of other countrie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좌우보필형 국기틀의 규격에 맞게 실시된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의 정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Taegeuk framework with a national anthem performance function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left and right hand-written flag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정부권장형 태극기틀의 다른 2 종류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nother two kinds of the recommended government type Taegeuk framework.

도 3은 정부권장 좌우보필형 국기틀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government recommended left and right handwriting-type flag frame.

도 4는 도 3의 상면도.4 is a top view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모듈의 개략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Figure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ound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AA 및 AAA 타입 건전지의 지름을 보여주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ameter of AA and AAA type batteries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된 국기틀밑판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ed flag frame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조립도.9 is a rear assembly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10 is a top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게시용 정부권장형 국기틀(좌우보필형)100: recommended government flag frame for indoor posting (left and right handwriting type)

101: 국기틀밑판 102: 국기판101: flag frame 102: flag plate

103: 원형목 기둥 104: 걸이공103: circular column 104: hook

105: 음향발생모듈 수납구 200: 음향발생모듈105: sound generating module receiving port 200: sound generating module

201: 음향발생회로 202: 건전지모듈201: sound generating circuit 202: battery module

203: 스피커 204: 터치센서회로203: speaker 204: touch sensor circuit

205: 감지도체 205a: 신체감지금속편205: sensing conductor 205a: body sensing metal

205b: 신체감지금속줄205b: body sensing metal band

207: 건전지교환커버207: battery replacement cover

Claims (3)

국기판, 국기틀밑판 및 원형목기둥으로 구성된 실내게시용 정부권장형 국기틀에 있어서,In the recommended government flag frame for indoor posting consisting of a flag plate, a flag frame plate and a circular wooden pillar, 상기 국기판은 태극기가 인쇄된 얇은 알루미늄판재 혹은 플라스틱판재가 접착처리된 약 9mm 두께의 나무판재로 형성된 국기판과,The flag plate is a flag plate formed of a thin aluminum plate material or a plastic plate material of about 9 mm thick wood plate material that is adhesively treated with a national flag plate; 상기 국기틀밑판은 약 9mm 두께의 판재로 만들어지고 그 중앙부분에 음향발생모듈이 수납가능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수납구를 가진 국기틀밑판과, The flag frame base plate is made of a plate material of about 9mm thickness and the flag frame base plate having a receiving open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o accommodate the sound generating module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상기 국기틀밑판 수납구에 조립장착되어 벽면에 게시할 때 그 돌출높이로 인하여 벽면에서 과다 돌출되지 않는 범위의 두께를 가진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음향합성기능을 가진 반도체를 이용한 음악발생회로, 상기 음악발생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주며 장시간의 사용과 교체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AA 타입 혹은 AAA타입의 건전지를 사용한 건전지모듈, 상기 음악발생회로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외부에 장치된 감지도체로부터 들어오는 신체접촉신호를 입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음악발생회로를 동작시키는 터치센서회로를 포함하여 내장한 음향발생모듈과,The sound generating module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that does not excessively protrude from the wall due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when it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flag plate base opening, the wall surface, using a semiconductor having a sound synthesis function A batter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and using AA or AAA type batt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long-term use and replacement,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and A sound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touch sensor circuit for converting a body contact signal coming from an external sensing conductor into an input signal to operate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상기 감지도체는 상기 터치센서회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시 조작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국기틀밑판 하부의 소정부위에 고정설치된 신체감지금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The sensing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circuit, a national flag playing function with a national anth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sensing metal piece fixedly fix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base plate to generate an operation input signal when the user's body contact frame. 국기판, 국기틀밑판 및 원형목기둥으로 구성된 실내게시용 정부권장형 국기틀에 있어서,In the recommended government flag frame for indoor posting consisting of a flag plate, a flag frame plate and a circular wooden pillar, 상기 국기판은 태극기의 문양이 전사되고 소정의 두께로 만들어진 도자기판재로 형성된 국기판과,The flag plate is a flag plate formed of a ceramic plate mad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transferred to the pattern of the national flag, 상기 국기틀밑판은 약 9mm 두께의 판재로 만들어지고 그 중앙부분에 음향발생모듈이 수납가능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수납구를 가진 국기틀밑판과, The flag frame base plate is made of a plate material of about 9mm thickness and the flag frame base plate having a receiving open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o accommodate the sound generating module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상기 국기틀밑판 수납구에 조립장착되어 벽면에 게시할 때 그 돌출높이로 인하여 벽면에서 과다 돌출되지 않는 범위의 두께를 가진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음향합성기능을 가진 반도체를 이용한 음악발생회로, 상기 음악발생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주며 장시간의 사용과 교체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AA 타입 혹은 AAA타입의 건전지를 사용한 건전지모듈, 상기 음악발생회로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외부에 장치된 감지도체로부터 들어오는 신체접촉신호를 입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음악발생회로를 동작시키는 터치센서회로를 포함하여 내장한 음향발생모듈과,The sound generating module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that does not excessively protrude from the wall due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when it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flag plate base opening, the wall surface, using a semiconductor having a sound synthesis function A batter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and using AA or AAA type batt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long-term use and replacement,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and A sound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touch sensor circuit for converting a body contact signal coming from an external sensing conductor into an input signal to operate the music generating circuit; 상기 감지도체는 상기 터치센서회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시 조작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국기틀밑판 하부의 소정부위에 고정설치된 신체감지금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The sensing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circuit, a national flag playing function with a national anth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sensing metal piece fixedly fix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base plate to generate an operation input signal when the user's body contact frame. 제 1항 혹은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감지도체는 손이 잘 닿지않는 높이에서 신체 접촉이 용이하도록 상기 국기틀밑판 하부로부터 밑으로 길게 늘어뜨린 신체감지금속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애국가 연주기능을 갖춘 태극기틀.The sensing conductor is a national flag playing function with a national anthem performan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sensing metal strings extende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lag frame to facilitate body contact at a height that is hard to reach.
KR20-2004-0026309U 2004-09-14 2004-09-14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KR2003762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09U KR200376270Y1 (en) 2004-09-14 2004-09-14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09U KR200376270Y1 (en) 2004-09-14 2004-09-14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259A Division KR20060024503A (en) 2004-09-14 2004-09-14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270Y1 true KR200376270Y1 (en) 2005-03-11

Family

ID=4367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309U KR200376270Y1 (en) 2004-09-14 2004-09-14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27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28B1 (en) 2007-05-02 2008-10-29 김종오 The flag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28B1 (en) 2007-05-02 2008-10-29 김종오 The flag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9140S1 (en) Electronic scale
CN204143560U (en) Knock trigger-type induction door bell
USD475699S1 (en) Instrument or vocal microphone (PG57)
USD472227S1 (en) Telephone base unit
CN105389905A (en) Trigger parameter optimization intelligent doorbell
KR200376270Y1 (en)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USD487905S1 (en) Musical instrument tuner housing
KR20060024503A (en) National flag frame playing national anthem
USD483793S1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D472486S1 (en) Occupancy sensor
CN2824194Y (en) Speech map
USD466616S1 (en) Garage screen door
USD510946S1 (en) Electronic ukulele
USD536725S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D442872S1 (en) Electronic scale
USD455074S1 (en) Wide angled advertising watch box
USD512047S1 (en) Wall-mounted speaker
CN216907114U (en) Formula electronic product protective sheath is inhaled to magnetism
CN212510880U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CN212305585U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sound box
USD470853S1 (en) Front panel
CN217441442U (en) Wireless charging desk lamp
CN211123641U (en) Novel alarm clock with illumination function
CN218217645U (en) Konghou Bluetooth sound box
CN205491086U (en) Bluetooth soun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