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76Y1 -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76Y1
KR200241676Y1 KR2020010012483U KR20010012483U KR200241676Y1 KR 200241676 Y1 KR200241676 Y1 KR 200241676Y1 KR 2020010012483 U KR2020010012483 U KR 2020010012483U KR 20010012483 U KR20010012483 U KR 20010012483U KR 200241676 Y1 KR200241676 Y1 KR 20024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dapter
main body
recognition signal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언
정현조
이광수
윤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전자
(주)세인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전자, (주)세인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전자
Priority to KR2020010012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76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든 종류의 메모리 카드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이 장치에 사용되는 본체와 이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된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는 어댑터가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슬롯과,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어댑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코넥터와,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와,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소켓과, 어댑터 인식 신호를 발생하는 인식 신호 발생기와,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와, 상기 본체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코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와 어댑터를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는 종래 복합형 카드 리더기에서 카드 소켓을 분리하여 카드 어댑터로 구현하는 한편, 카드 어댑터를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본체와 착탈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체는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범용 컴퓨터와 USB 포트를 통해 PC 카드 68-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하며, 카드 어댑터는 PCMCIA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를 갖는다.

Description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Card adapter, main station removably coupled with the card adapter, and universal card reader/writer}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 응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든 종류의 메모리 카드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이 장치에 사용되는 본체와 이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신 기기나 영상 데이터, 음악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메모리 카드는 주로 플래시(flash) 메모리를 이용한 카드 형태로 구현되는데, 현재 일본 도시바(Toshiba)사를 주축으로 한 스마트미디어(SmartMedia, 이하, 'SMC 카드'라 함), 일본 소니(Sony)사의 메모리스틱(MemoryStick, 이하, 'MS 카드'라 함), 미국 샌디스크(Sandisk)사의 컴팩플래시(CompactFlash, 이하, 'CFC 카드'라 함), 미국 샌디스크사와 독일 지멘스(Gimens)사가 공동 개발한 멀티미디어카드(MultiMedia Card, 이하, 'MMC 카드'라 함), 보안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Card, 이하, 'SD 카드'라 함) 등이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디지털 카메라나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HPC (Handheld 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기록 매체로서, 디지털 데이터 기억 장치의 일종인데, 그 응용 분야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용 디지털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이동하고 저장하는 것이 쉬어져 가전제품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사용이 일반화된 것은 PC용 PCMCIA 카드 (PC 카드)가 보급되면서부터이다.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의 PC와 같은 환경에서 데이터 백업(backup)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카드 리더기(card reader)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다.
그런데, 플래시 메모리 카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그 표준이 다양하게 나와있고, 종류에 따라 모양이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전기적인 특성이나 동작이 같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에 적합한 별도의 카드 리더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2개 이상의 플래시 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복합형 카드 리더기(일명, '콤보형카드 리더기'가 등장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형 카드 리더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콤보형 카드 리더기(10)는 하우징(12)과 앞면판(14)을 포함한다. 앞면판(14)에는 복수의 소켓 예컨대, 제1 소켓(16)과 제2 소켓(18)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카드 소켓(16, 18)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SMC 카드, CFC 카드, MMC 카드, SD 카드, MS 카드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메모리 카드 중 적당한 조합으로 된 2개의 카드(21, 23)가 삽입된다. 카드 리더기 하우징(12)에는 회로 소자가 실장된 회로 기판(도시 아니함)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 회로 소자와 연결된 케이블(13)을 통해 카드(21, 23)는 외부 전자기기 예컨대, PC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외부 전자기기로 P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 I/O 포트 중 속도나 장치의 지원면에서 유리한 USB (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사용한다. USB란 인텔, 컴팩, IBM, DEC, 마이크로소프트, NEC, 노던텔레콤 등 7개 기업이 합의한 PC 주변기기 포트 규격을 말하는데,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and-Play) 방식을 거의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는 PC 규격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러한 콤보형 카드 리더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로 여러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콤보형 카드 리더기도 지원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 리더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다른 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켓을 교체하거나 이에 맞는 별도의 카드 리더기를 구입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서, 도 1에서 카드 리더기(10)의 제1 소켓(16)은 SMC 카드(21)만 지원하고 제2 소켓(18)은 MMC 카드(23)만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CFC 카드, MS 카드 또는 SD 카드를 이용하여 PC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카드를 지원하는 별도의 소켓으로 교체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새로운 카드 리더기를 구매해야 한다. 그러나,사용자가 소켓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거나, 많은 수고를 들여야 한다. 또한, 새로운 카드 리더기를 구매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비용 부담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또 다시 설치해야 하는 수고를 해야한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데에도 불편함과 어려움이 따른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든 메모리 카드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여기에 사용되는 본체 및 이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 카드를 낮은 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여기에 사용되는 본체 및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리 카드가 실장되는 어댑터와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이식성과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안정되고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복합형 카드 리더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와 어댑터, 카드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주변 전자 장치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0: 카드 리더기 본체(main station)
32; 하우징(housing)
35: 슬롯
36: 이젝트 핀
40: 어댑터
42: 카드
45: 외부 전자 장치(범용 컴퓨터)
47: 디지털 전자 기기
48: 카드 소켓
49: 인터페이스
본 고안에 따른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는 종래 복합형 카드 리더기에서 카드 소켓을 분리하여 이것을 카드 어댑터로 구현하는 한편, 카드 어댑터를 카드판독/기록 장치의 본체와 착탈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본체는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범용 컴퓨터와 USB 포트를 통해 통신하며, 본체는 PC 카드 표준 규격에 따른 68-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어댑터와 통신한다. 카드 어댑터는 PCMCIA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를 갖는다.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본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가 삽입될 수도 있고, PC 카드 ATA가 삽입될 수도 있다. 어댑터에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다. 장치의 본체는 슬롯에 삽입되는 부품이 메모리 카드가 실장된 어댑터인지 PC 카드 ATA인지 인식하여 부품이 정상적으로 실장된 경우에만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장치의 본체에는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가 내장되고,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는 어댑터에 내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한가지 구현예에 따른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는 (A-1) 어댑터가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슬롯과, (A-2)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어댑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코넥터와, (A-3)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와, (A-4) 제어기를 포함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와, (B-1)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소켓과, (B-2) 어댑터 인식 신호를 발생하는 인식 신호 발생기와, (B-3)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와, (B-4) 상기 본체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코넥터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에 대한 전원은 본체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범용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데, 본체에는 상기 어댑터가 슬롯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식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와 어댑터, 카드의 결합 관계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 main station)는 어댑터(40, adapter)와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어댑터(40)에는 메모리 카드(42)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메모리 카드는 예컨대, SMC 카드(42a), CFC 카드(42b), MMC 카드(42c), SD 카드(42d), MS 카드(42e)이고, 어댑터(40a~40e)는 각각의 카드(42a~42e)에 적합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카드에 적합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어댑터(40a~40e) 자체의 크기와 규격은 카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정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주변 전자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42)는 디지털 전자기기(47)의 저장 매체로 사용된다.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된 카드(4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40)에 결합되어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에 결합된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외부 전자 장치인 범용 컴퓨터(45) 예컨대, PC, 워크스테이션 등과 연결되어 카드(42)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PC(45)에 저장한다. 한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범용 컴퓨터(45)에서 데이터를 카드(42)에 기록할 수도 있다. 디지털 전자기기(47)는 디지털 카메라,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HPC (Handheld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을 포함한다.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영상,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45)에 연결된 본체(30)는 컴퓨터(45)에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주변 장치의 하나로 인식된다. 따라서,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를 디지털 전자기기(47)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와 케이블로 접속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없이, 플래시 메모리 카드(42)를 어댑터(40)에 삽입하고 어댑터(40)를 본 고안에 따른 본체(30)에 실장하기만 하면, 원하는 시진 파일을 더블클릭하는 것만으로 촬영했던 사진을 손쉽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45)에 저장된 MP3 음악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로 옮기기 위해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에는 3분 길이의 음악 한곡에 3~5분이 소요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본체(30), 어댑터(40)를 이용하여 컴퓨터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카드(42)에 직접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면 음악 한곡에 15~30초로 저장 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카드(42)가 보안용 카드 예컨대, SD 카드일 경우, 컴퓨터의 주변 장치, 예컨대 키보드는 SD 카드(42)를 통해서만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는 본체(30)와 이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어댑터(40)를 포함한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하우징(32)과 앞면판에 배치된 슬롯(35)을 포함한다. 하우징(32) 내부에는 전자 회로 소자가 배치된 회로 기판이 들어 있는데,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후술한다. 슬롯(35)에는 어댑터(40)가 삽입된다. 슬롯(35)에 삽입된 어댑터(40)는 본체(30)의 이젝트 핀(36)을 누름으로써 본체(36)로부터 분리된다. 이젝트 핀(36)을 본체(30)에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어댑터(40)를 잡아당겨 본체(30)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댑터(40)는 본체(30)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즉,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어댑터(40)는 카드(42)가 삽입되는 카드 소켓(48)과 코넥터(49)를 포함한다. 카드(42)는 어댑터(40)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코넥터(49)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의 내부 회로 소자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코넥터(49)는 PCMCIA 표준(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Standard)에서 제공하는 PC 카드 규격에 따른 68-핀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16-비트 PC 카드 인터페이스와 32-비트 카드버스(CardBus)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한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예컨대, USB 포트를 이용하여 PC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어댑터(40)의 크기는 PCMCIA 카드 규격에 맞게, 가로 85.6mm, 세로 54mm, 두께 4.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의 두께는 3.3mm, 5.0mm 또는 10.5mm로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에는 종래의 복합형 콤보 카드 리더기와 달리 하나의 카드만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카드를 교체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그대로 둔채 교체할카드에 적합한 어댑터만 바꾸면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어떠한 형태의 메모리 카드도 지원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다.
한편,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기본적으로 PC 카드를 지원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하면, 종전의 사용자가 PC-카드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용 메모리 카드 또는 플래시 카드 판독/기록 장치(PC 카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를 USB를 지원하는 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PC 카드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PC에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데스크탑 PC는 PC 카드 소켓이 없으므로, 데스크탑 PC만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ATA 카드나 다른 종류의 PC 카드 형태의 플래시 카드 판독/기록 장치를 가지고 있더라도 이것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기본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USB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그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이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본체(30)에 포함되어 있는 내부 회로 소자는 USB 포트(51), 전원 공급 장치(52), 제어기(53),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54) 및 코넥터(55)를 포함한다. USB 포트(51)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PC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현재 USB는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PC에 모두 표준으로 사용하는 통신용 포트이고, 속도와 이식성이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USB는 기본적으로 5V의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므로 이 USB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53)의 공급 전원이 저전압용, 예컨대, 3.3V일 경우에는 전원 공급 장치(52)를 통하여 USB 제어기(53)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52)는 코넥터(55)의 출력 신호(61)를 받아서 동작을 개시하여, USB 제어기(53)와 어댑터(30)에 전원 신호(62)를 제공한다.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54)는 본체(30)의 슬롯에 PC 카드가 실장되었을 때 USB 제어기(53)를 통제하여 본체(30)가 PC 카드 ATA용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어댑터(40)는 카드 소켓(45), 인식 신호 발생기(57),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 및 코넥터(61)를 포함한다. 인식 신호 발생기(57)는 어댑터(40)가 본체(30)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이것을 인식하여 인식 신호(61)를 코넥터(49)로 보낸다. 어댑터 코넥터(56)는 본체 코넥터(55)와 신호(68)를 예컨대, 68-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주고 받는데, 인식 신호(61)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52)에 전달된다. 전원 공급 장치(52)는 인식 신호(61)가 입력되어야만 동작을 시작한다. 즉,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가 USB 포트(51)를 통해 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C로부터 USB 포트(51)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52)로 전원이 전달되어도 인식 신호(61)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공급 장치(52)에서는 아무런 출력 전압도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에서는 어댑터(40)가 본체(30)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경우에만, 각 소자에 전원이 공급된다. 만약, 어댑터(40)가 본체(30)에 삽입되기 전에, USB 제어기(53)에 전원이 가해져 있으면, 어댑터(40)가 삽입될 때 USB 제어기(53)의 버스 또는 제어 신호(63)가흔들릴 수 있고, 이것은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정확하고 안정된 동작을 보장할 수 없게 만든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어댑터(40)가 정상적으로 본체(30)에 삽입되고 인식 신호(61)가 전원 공급 장치(52)에 입력된 후에 비로소 전원 신호(62)가 제어기(53)와 어댑터(40)에 공급되므로,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안정되고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로부터 어댑터(40)가 분리되면, 전원 공급 장치(52)에 입력되던 인식 신호(61)가 차단되어 전원 신호(62)의 공급도 중단된다.
한편, 인식 신호(61)에는 어댑터(40)의 유형에 대한 정보, 예컨대 어댑터가 플래시 카드 어댑터인지 PC 카드 ATA 인지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만일, PC 카드 ATA 형태의 카드가 인식되면 본체(30)의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54)에서 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플래시 카드 어댑터가 본체(30)에 연결되면, 어댑터(40)의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가 USB 제어기(53)를 통제하는데, 이때 본체(30)와 어댑터(4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68)은 ATA 또는 어댑터의 형식을 따른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는 어댑터 또는 PC 카드 ATA의 인식과 전원 공급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한다. PC 카드에는 기본적으로 카드 인식핀이 정의되어 있는데, 이 핀은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에서는 저항을 통해 Vcc에 연결되어 있고, 어댑터나 PC 카드에서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PC 카드나 어댑터가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 인식핀은 액티브 로우(active low)로 변환된다.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30)는 PC 카드 또는 어댑터가 본체의 슬롯(35)에 삽입되면 핀 인식 신호를 해독하고 전원 공급 장치(52)가 정상적인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그 다음에, 본체(30)의 제어기(53)가 초기화되고, 제어기(53)는 슬롯(35)에 삽입된 부품에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가 존재하면, 본체(30)의 제어기(53)는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본체(30)의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54)는 동작하지 않는다. 만약, 제어기(53)가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58)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면, 이것은 본체(30)의 슬롯(35)에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40)가 삽입된 것이 아니라, PC 카드 ATA가 삽입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본체(30)에 내장된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54)가 동작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판독/기록 장치와 연결되는 범용 컴퓨터의 윈도우 드라이버는 컴퓨터의 운영체제(OS)와 USB 제어기(53)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따라서, 운영체제상에서는 플로피 디스크처럼 디스크를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이 생성된다. 이후, 어댑터에 플래시 카드가 소켓(45)에 삽입되면, 카드 인식 신호(62)를 발생하고 플래시 카드에 전원 신호(64)가 공급된다.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플래시 카드를 액세스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카드 판독/기록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이 간단하다. 즉, 본체를 공통 분모로 하고 각각의 플래시 카드를 지원하는 어댑터가 필요하다.
MCU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어댑터에 존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용이하다.
PC 카드 ATA를 지원하기 때문에, 종전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ATA용 메모리카드나 플래시 카드용 판독/기록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종류의 카드 판독/기록 장치를 추가로 구매할 필요없이 본 고안에 따른 판독/기록 장치 본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체와 어댑터가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이식성이 좋다.
사용자가 원하는 플래시 카드의 판독/기록 장치의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핫 플러그(Hot plug)를 지원하기 위하여 어댑터 인식 신호를 이용하여 어댑터와 본체의 디바이스 전원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된다.

Claims (13)

  1. 카드 판독/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본체로서,
    어댑터가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슬롯과,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어댑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코넥터와,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와,
    제어기를 포함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2. 제1항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은 상기 어댑터가 슬롯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식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은 상기 어댑터가 슬롯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어댑터로부터 카드 인식 신호가 본체로 제공된 경우에 상기 어댑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슬롯은 PCMCIA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의 카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트는 USB 포트이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범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코넥터와 어댑터는 PCMCIA 표준에 따른 68-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7. 제2항에서,
    상기 인식 신호에는 슬롯에 삽입된 어댑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슬롯에 PC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어기를 통제하는 ATA용 프로그램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
  9. 카드 판독/기록 장치에 사용되며, 카드 판독/기록 장치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어댑터로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소켓과,
    어댑터 인식 신호를 발생하는 인식 신호 발생기와,
    어댑터용 프로그램 메모리와,
    상기 본체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코넥터를 포함하는 어댑터.
  10. 제9항에서,
    상기 카드 소켓에 삽입되는 카드는 스마트미디어 카드, 메모리스틱 카드, 컴팩플래시 카드, 멀티미디어 카드, 보안 디지털 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어댑터는 그 크기가 PCMCIA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메모리 카드 또는 PC 카드에 디지털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로서,
    제1항에 따른 본체와 제9항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은 상기 어댑터가 슬롯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식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록 장치.
KR2020010012483U 2001-04-30 2001-04-30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KR20024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83U KR200241676Y1 (ko) 2001-04-30 2001-04-30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83U KR200241676Y1 (ko) 2001-04-30 2001-04-30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76Y1 true KR200241676Y1 (ko) 2001-10-12

Family

ID=7310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483U KR200241676Y1 (ko) 2001-04-30 2001-04-30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777A1 (en) * 2005-05-23 2006-11-30 Mtekvision Co., Ltd. Sharing memory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777A1 (en) * 2005-05-23 2006-11-30 Mtekvision Co., Ltd. Sharing memory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5887B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7162549B2 (en) Multimode controller for intelligent and “dumb” flash cards
US6832281B2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20030084220A1 (en) Active adapter chip for use in a flash card reader
US7493437B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7809866B2 (en) Double interface SD flash memory card
KR20060081703A (ko) 다수의 커넥터 표준들과 호환 가능한 메모리 카드
US20020185533A1 (en) Externally connection type USB2.0 interface flash card reader
US8070067B2 (en) Receptacles for removable electrical interface devices
US20080052439A1 (en) Portable Data Exchanger with Extended USB Interface
JP2007172630A (ja) 着脱可能な電子カードのインタフェース
KR20010036746A (ko) 범용 직렬 버스용 메모리 스틱
JP2005519358A (ja) 標準的な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携帯型のデータ変換および処理装置
US20030178486A1 (en) Mobile memory card reader and a fixing base thereof
KR200241676Y1 (ko) 카드 어댑터, 카드 어댑터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본체및 이들을 포함하는 범용 카드 판독/기록 장치
KR200231733Y1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US20040173678A1 (en) Card reader
US20050252969A1 (en) Card reader for electronic device
US20060015662A1 (en) Digital camera with USB storage key for storing data
US20070233915A1 (en) Pcmica card
CA2551154A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 with or without a pc
TW200931307A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forming SD interface transmission signal into IDE specification signal
AU2005211564A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