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598Y1 -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 Google Patents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598Y1
KR200241598Y1 KR2020010014739U KR20010014739U KR200241598Y1 KR 200241598 Y1 KR200241598 Y1 KR 200241598Y1 KR 2020010014739 U KR2020010014739 U KR 2020010014739U KR 20010014739 U KR20010014739 U KR 20010014739U KR 200241598 Y1 KR200241598 Y1 KR 200241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shank
head
light source
too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석
Original Assignee
송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석 filed Critical 송인석
Priority to KR2020010014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598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헤드부분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구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공구 조립체는 일단에 손잡이(21)가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생크(shank;20)와, 차체(100)의 변형된 부분의 내측면을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며 생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30)와, 이 헤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시키는 광원체(80)와, 광원체를 생크에 대해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 고정수단은 생크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51)을 가지는 중공레버(50)와, 이 중공레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레버(60)와, 이 길이조절레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각도로 각도고정이 가능하며 광원체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레버(70)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공구조립체는 헤드를 향해 광을 조사시키는 광원체를 구비함으로써, 헤드가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시행착오 없이도 복귀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길이조절레버 및 각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작업하고자 하는 차체의 크기에 따라 작업조건을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범퍼 및 후렌다등 차체의 다양한 부분을 작업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Tools assembly for flattening depressed body of automobile }
본 고안은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형된 부분의 중심부 또는 복귀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보다 정확하게 공구의 헤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외관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통상적으로는 판금, 재도장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한 수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비용뿐만 아니라 수리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원래의 차체 색상과 재도장 색상이 차이가 발생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이 특허출원번호 제94-2225호 및 97-345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공통적으로 형광등 또는 격자상의 무늬 그림자를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투영시키고, 투영된 그림자의 왜곡상태를 직접 또는 모니터를 통해 관찰하면서 그림자의 왜곡상태가 원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차체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복귀시키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외관(도장된 부분)을 훼손시키지 아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작업시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구(10)를 변형된 차체의 내측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 경우 변형된 부분의 차체 내측의 위치에 공구(10)의 헤드(11)부분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렵게 된다.
즉, 그림자를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투영시켜 그림자의 왜곡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변형된 부분의 변형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변형된 부분의 복귀작업시에는 공구(10)를 차체의 내측에 진입시켜 작업하게 됨으로써 복귀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공구(10)의 헤드(11)를 위치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복귀작업시 원하지 않는 부분이 작업되게 되는 등 시행착오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차체의 내측에 공구를 위치시켜서 작업하더라도 복귀시키고자 하는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정확하게 공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공구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공구 조립체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공구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공구 조립체에 채용되는 헤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생크(shank) 22...(생크의)절곡부
30...헤드 40...결합블럭
50...중공레버 60...길이조절레버
70...각도조절레버 80...광원체
100...차체 101...(차체의)변형된 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생크;와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며 상기 생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시키는 광원체;와
상기 광원체를 상기 생크에 대해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생크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을 가지는 중공레버와, 이 중공레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레버와, 이 길이조절레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임의 각도로 각도고정이 가능하며 광원체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레버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생크는 차체의 소정부위에 지지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헤드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서, 차체의 변형된 부분의 형상에 따라 채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공구조립체는 헤드부분은 차체의 내측으로 위치시키고 광원체는 차체의 외부 표면에 광을 조사시키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외측에서도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의 위치에 헤드부분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작업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일단에 손잡이(21)가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생크(shank;20)와, 차체(100)의 변형된 부분을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며 생크(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30)와, 이 헤드(30)를 향하여 빛을 조사시키는 광원체(80)와, 광원체(80)를 생크(20)에 대해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생크(20)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긴중공(51)을 가지는 중공레버(50)와, 이 중공레버(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레버(60)와, 이 길이조절레버(6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각도로 각도고정이 가능하며 광원체(80)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레버(70)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생크(20)는 차체의 소정부위에 지지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절곡부(2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생크(20)의 구조는 절곡부(22)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활을 하게 한다.
또한, 헤드(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30) 또는 원추형(31)으로 형성되고, 차체의 변형된 부분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생크(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공레버(50)는 결합블럭(40)에 의해서 생크(20)에 결합고정되고, 길이조절레버(60)는 고정볼트(61)에 의해서 중공레버(50)에 고정되며, 각도조절레버(70)는 고정볼트(61)에 의해서 임의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각도조절레버(70)에는 광원체(80)가 결합되는 결합공(71)이 형성된 결합체(7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결합체(75)에 결합된 광원체(80)는 고정볼트(72)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상기 광원체(80)는 배터리가 내장되어서 레이저광을 방출시킨다. 실제로 방출되는 레이저광은 변형된 차체의 외부표면에 조사되는 바, 이 경우 차체에 조사된 레이저광이 잘 관찰될 수 있도록 차체의 색상에 따라 방출되는 레이저광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변형된 차체(100)의 두께 또는 폭의 크기에 따라 길이조절레버(60) 및 각도절레버(70)를 조절하여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광원체(80)에서 방출되는 광은 헤드(30)에 정확하게 조사(照射)될 수 있도록 각도조정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0)부분을 차체(100)의 내측으로 진입시키게 되면, 광원체(8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차체(100)의 외부표면에 조사되게 된다. 이 경우 방출되는 광이 변형된 부분(101)에 조사되도록 작업자가 조정하게 되면, 동시에 헤드(30)는 정확하게 변형된 그 부분(101)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생크(20)의 절곡부(22)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헤드(30)가 변형된 부분(101)을 가압하게 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원상으로 복귀되게 된다. 이때 절곡부(22)는 차량 내측의 어느 한 프레임등에 지지되게 되며, 이러한 지지구조물이 없는 경우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생크(20)를 지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시켜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방출되는 광을 작게 변형된 부분에도 정확하게 광을 조사시키고 이에 따라 차체(100) 내측에서도 헤드(30)를 정확하게 변형된 부분에 위치시키게 함으로써 정밀한 복귀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 공구조립체를 이용한 복귀작업은 형광등 또는 격자상의 무늬 그림자를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투영시키고, 투영된 그림자의 왜곡된 부분을 따라 광을 조사시키면서 그림자의 왜곡상태가 원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작업을 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고안 공구 조립체는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본 고안 공구조립체는 헤드(30)를 향해 광을 조사시키는 광원체(80)를 구비함으로써, 헤드(30)가 차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차체의 변형된 부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시행착오 없이도 복귀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길이조절레버(60) 및 각조절레버(7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하고자 하는 차체의 크기에 따라 작업조건을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범퍼 및 후렌다등 차체의 다양한 부분을 작업가능하게 한다.

Claims (4)

  1.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생크;와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며 상기 생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향하여 빛을 조사시키는 광원체;와
    상기 광원체를 상기 생크에 대해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생크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을 가지는 중공레버와, 상기 중공레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임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레버와, 상기 길이조절레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임의 각도로 각도고정이 가능하며 상기 광원체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레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차체의 소정부위에 지지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KR2020010014739U 2001-05-19 2001-05-19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KR200241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39U KR200241598Y1 (ko) 2001-05-19 2001-05-19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39U KR200241598Y1 (ko) 2001-05-19 2001-05-19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85A Division KR20020088675A (ko) 2001-05-19 2001-05-19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598Y1 true KR200241598Y1 (ko) 2001-10-15

Family

ID=7310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39U KR200241598Y1 (ko) 2001-05-19 2001-05-19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5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9848A1 (en) Apparatus for laser cutting a workpiece
EP1080821A4 (en) METHOD AND DEVICE FOR LASER MARKING AND AN OBJECT MARKED BY THIS METHOD OR THIS DEVICE
EP1494819A1 (en) Single laser beam positioning system for spray guns
IL175109A (en) Beak treatment with tongue protection
KR200241598Y1 (ko)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JP3153233B2 (ja) 点溶接部を穿孔するための手持ち式ドリル装置
US20060097430A1 (en) UV pulsed laser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88675A (ko)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조립체
PT1072338E (pt) Ferramenta para desmontar rebites e processo correspondente para a desmontagem de rebites
CA224217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hole
KR200241582Y1 (ko) 차체의 변형된 부분을 복귀시키기 위한 공구 조립체
JP4838447B2 (ja) リベット締結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ベット締結具
KR101256573B1 (ko)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각인시스템
JP3126318U (ja) ワイパーの噴水定位器
JP2002264078A (ja) 切断位置マーキング装置並びに切断位置マーキング装置を用いた切断方法
JP2735807B2 (ja) デント修理工具及び方法
JP2004042005A (ja) ノズル取付方向調整・確認用のレーザ照射器
JP2001510102A (ja) エンボス用ダ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071030A (ja) 金属表面部の修復方法
JP2001283669A (ja) スイッチ用ハンドルおよび合成樹脂成形品へのマーキング方法
JPH05338394A (ja) 刻印装置
JP4746774B2 (ja) リベット締結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ベット締結具
US7017385B2 (en) Automated pneumatic door skin hammer
KR20200114642A (ko) Cnc 레이저 절단기용 얼라이먼트 조절기
JP2002103097A (ja) ハンドプ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