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274Y1 -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 Google Patents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274Y1
KR200241274Y1 KR2019990026271U KR19990026271U KR200241274Y1 KR 200241274 Y1 KR200241274 Y1 KR 200241274Y1 KR 2019990026271 U KR2019990026271 U KR 2019990026271U KR 19990026271 U KR19990026271 U KR 19990026271U KR 200241274 Y1 KR200241274 Y1 KR 200241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ircle
curved
divided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
Original Assignee
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 filed Critical 전인
Priority to KR2019990026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274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원형이나 타원형 그릇을 벽이나 구석에 놓고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공간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써, 공간 손실이 없는 기존의 직사각형 그릇이 주는 심리적 거부감을 제거하면서 손실 공간을 최대한 줄이는 그릇의 모양에 관한 것으로써, 그릇을 구성함에 있어, 원을 2분지 1로 자른 모양의 밑면(10)이나 4분지 1로 자른 모양의 밑면(13) 또는 타원을 2분지 1로 자른 모양을 하고 있는 밑면(16)과, 각각의 밑면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평면(11, 14, 17)과 곡면(12, 15, 18)으로 이어지는 옆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그릇 옆면의 평면(11, 14, 17)부를 벽이나 구석진 곳에 대고 사용함으로써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A receptacle with the transverse section of 2-divided circle, 4-divided circle, 2-divided ellipse which minimize the loss of space }
본 고안은 그릇의 형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이나 세탁실 그리고 식당의 주방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물그릇에 의한 공간적인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그릇의 횡단면의 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그릇은 횡단면의 모양이 원형이거나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인데, 원형과 타원형 그릇은 벽이나 구석과 같은 곳에 놓이게 되면 공간적인 손실이 발생되었다. 특히, 수도꼭지가 벽에 붙어 있으므로 수도꼭지 밑에 그릇을 두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공간적 손실이 발생된다. 직사각형 그릇은 공간적 손실은 발생하지 않으나 각진 모양이라는 것에 따른 심리적 거부감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간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심리적 거부감을 주지 않는 그릇의 형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 그릇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원형 그릇과 본 고안의 횡단면이 2-분원인 그릇과 4-분원인 그릇의 공간 손실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응용된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횡단면이 2-분원인 그릇과 4-분원인 그릇의 실제적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2-분원 그릇의 밑면 11.. 2-분원 그릇 옆면의 평면 부분12.. 2-분원 그릇 옆면의 곡면 부분 13.. 4-분원 그릇의 밑면14.. 4-분원 그릇 옆면의 평면 부분 15.. 4-분원 그릇 옆면의 곡면 부분16.. 2-분타원 그릇의 밑면 17.. 2-분타원 그릇 옆면의 평면 부분18.. 2-분타원 그릇 옆면의 곡면 부분
20.. 기존의 원형 그릇22.. 원형 그릇의 손실 공간
24.. 원형 그릇의 손실 공간
26.. 2-분원 그릇 28.. 4-분원 그릇30.. 평면 옆면과 곡면 옆면의 연결 부분32.. 평면 옆면간의 연결 부분34.. 곡면 옆면 부분36.. 곡면 옆면 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그릇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분원 그릇의 밑면(10), 4-분원 그릇의 밑면(13), 2-분 타원 그릇의 밑면(16)과 밑면의 테두리에 상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옆면은 밑면의 모양을 유지시키도록 각 그릇 옆면의 평면 부분(11, 14, 17)과 각 그릇 옆면의 곡면 부분(12, 15, 18)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면을 이루고 있는 평면과 곡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모양의 평면 옆면과 곡면 옆면의 연결 부분(30), 평면과 평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평면 옆면간의 연결 부분(32), 곡면 부분을 연속적인 평면으로 연결한 곡면 옆면 부분(34) 등의 응용된 모양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기존의 원형 그릇(20)과 같은 면적의 본 고안의 2-분원 그릇(26)과 4-분원 그릇(28)을 벽과 구석에서 사용할 때의 공간 손실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원형 그릇(20)을 벽에 붙여 사용할 때에는 도면의 빗금 친 부분만큼 원형 그릇의 손실 공간(22)이 발생한다, 기존의 원형 그릇(20)을 벽에 접한 상태로 사용할 때에 원형 그릇의 손실 공간(22)은 그릇 면적의 약 14%에 해당되고, 구석에서 사용할 때에는 원형 그릇의 손실 공간(24)이 약 22%로 벽면에서 사용할 때보다 증가한다. 본 고안의 2-분원 그릇(26)과 4-분원 그릇(28)은 이렇게 손실된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기존의 그릇과 본 고안의 그릇이 같은 양의 내용물을 담기 위해서는 부피가 같아야 하고, 같은 높이라면 밑면적이 같아야 하므로 밑면적이 같도록 도시하였다. 원형 그릇의 면적은 πr2이고, 2-분원 그릇의 면적은 (1/2)πr'2이며, 4-분원 그릇의 면적은 (1/4)πr'2이다. 따라서 각각의 면적이 같기 위해서는 r'≒1.4r, r'=2r이 된다. 벽으로부터 원형 그릇의 끝 부분까지의 거리(s)와 2-분원 그릇의 끝 부분까지의 거리(s')을 비교하면, s'=0.7s가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응용된 모양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옆면을 이루고 있는 평면과 곡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평면 옆면과 곡면 평면의 연결 부분(30), 평면과 평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평면 옆면간의 연결 부분(32), 곡면 부분을 연속적인 평면으로 연결한 곡면 옆면 부분(34), 곡면 부분을 평면과 곡면으로 연결한 곡면 옆면 부분(36)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횡단면이 2-분원인 그릇과 4-분원인 그릇의 실제적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그릇을 벽이나 구석에 붙여 놓고 사용할 때의 공간 손실을 줄여 제한된 공간을 더 넓게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그릇을 구성함에 있어서,
    원을 2분지 1, 원을 4분지 1 혹은 타원을 2분지 1로 자른 모양을 하고 있는 그릇의 밑면(10, 13, 16);
    상기 밑면의 테두리에 상부 방향으로 연결되며, 밑면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평면(11, 14, 17)과 곡면(12, 15, 18)으로 연결되는 옆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의 모양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과 곡면으로 이어지는 상기 그릇의 옆면은, 평면과 곡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평면 옆면과 곡면 옆면의 연결 부분(30), 평면과 평면의 연결 부분의 각진 곳을 둥글린 평면 옆면간의 연결 부분(32), 곡면 부분을 연속적인 평면으로 대체하여 각지게 한 곡면 옆면 부분(34), 곡면 부분을 평면과 곡면으로 연결한 곡면 옆면 부분(36)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의 모양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KR2019990026271U 1999-11-26 1999-11-26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KR200241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271U KR200241274Y1 (ko) 1999-11-26 1999-11-26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271U KR200241274Y1 (ko) 1999-11-26 1999-11-26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274Y1 true KR200241274Y1 (ko) 2001-09-13

Family

ID=7308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271U KR200241274Y1 (ko) 1999-11-26 1999-11-26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2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45907U (ko)
KR200241274Y1 (ko)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횡단면이 2-분원, 4-분원, 2-분타원인 그릇
JPH03105459U (ko)
JPH0449895Y2 (ko)
CN211724946U (zh) 医用型过滤器底盘
CN219662145U (zh) 便捷式尿壶
JPH0748149Y2 (ja) コーナーパネル
JPS6026700Y2 (ja) 洗面器
JPH022449Y2 (ko)
KR830009994A (ko) 밀봉형 모우터-콤프레사용 용기
CN207331884U (zh) 一种新型水槽
JPS625163Y2 (ko)
JPH0312315Y2 (ko)
TWM608669U (zh) 杯子
JPH01138366U (ko)
KR920002889A (ko) 세면기가 겸비된 입식세탁조
JPS62181689U (ko)
JPS5822635Y2 (ja) ヨクソウ
JPS6443787U (ko)
JPS62196656U (ko)
JPS62188445U (ko)
KR980006501U (ko)
JPS6364640U (ko)
JPH02120356U (ko)
JPH01128666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