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045Y1 - 절첩식 바리케이드 - Google Patents

절첩식 바리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045Y1
KR200241045Y1 KR2020010010417U KR20010010417U KR200241045Y1 KR 200241045 Y1 KR200241045 Y1 KR 200241045Y1 KR 2020010010417 U KR2020010010417 U KR 2020010010417U KR 20010010417 U KR20010010417 U KR 20010010417U KR 200241045 Y1 KR200241045 Y1 KR 200241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folding
lower horizontal
member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이경숙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숙, 김대식 filed Critical 이경숙
Priority to KR2020010010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045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수평부재(10), 한쌍의 하부수평부재(20)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와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수직부재(30)와, 일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절첩부재(40) 및, 일단이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하부수평부재(2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50), 상기 하부수평부재(20)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이동바퀴(70)로 이루어져, 바리케이드를 접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고, 이동바퀴를 절첩식으로 하여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바리케이드{ A collapsible barricade }
본 고안은 노면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제한하는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부재가 절첩가능하고 이동바퀴가 설치된 절첩식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리케이드는 차량이나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는 구조물로,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트러스구조로 용접결합하고, 특히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구조로 되며, 하중이 무거운 재질로 되어 차량의 충돌시 타격이 가해져 차량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바리케이드는 하중이 무거워 차량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는 있으나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고정된 트러스구조로 되어 운반이 불편하고 보관하는 데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바리케이드는 부피가 커서 실내에 보관하기 보다는 옥외에 항상 방치되어 페인트칠이 벗겨지거나 산화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리케이드는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아 유압장치 등에 의해 신축적으로 신장/팽창하거나, 지면에서 돌출되는 바리케이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바리케이드는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과다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부재를 절첩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동바퀴를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하는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수평부재, 한쌍의 하부수평부재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와 일측 하부수평부재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수직부재와, 일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에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절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하부수평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 상기 하부수평부재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이동바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에서 탈거하여 절첩하고, 상기 절첩부재를 절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바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평지지부재의 탈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평지지부재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바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동바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수평부재 20 : 하부수평부재
21 : 제1수평부재 22 : 제2수평부재
30 : 수직부재 40 : 절첩부재
41 : 절첩브라켓 42 : 회전편
43 : 절첩편 44 : 연결핀
45 : 잠금부재 50 : 수평지지부재
51 : 회전브라켓 52 : 결합브라켓
53 : 고정홀 55 : 스토퍼
56 : 고정핀 60 : 크로스부재
70 : 이동바퀴 71 : 고정브라켓
72 : 힌지축 73 : 안착홀
75 : 회동편 76 : 안착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수평지지부재의 탈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수평지지부재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바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동바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수평부재(10), 한쌍의 하부수평부재(20)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와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수평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 수직부재(30)와, 일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절첩브라켓(41)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절첩부재(40) 및, 일단이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회전브라켓(51)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하부수평부재(20)에 결합브라켓(52)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50), 상기 수직부재(30)들의 사이와 상기 절첩부재(40)들의 사이에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크로스부재(60), 상기 하부수평부재(20)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이동바퀴(7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절첩부재(40)와 수평지지부재(50)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것에 있는 바,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일측을 상기 일측하부수평부재(20)에서 탈거하여 절첩하고, 상기 절첩부재(40)를 절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바퀴(7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상부수평부재(10)는 지면과 수평하게 구비되고, 한쌍의 하부수평부재(20)와 대략 삼각구도를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0)는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대략 수직하방으로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수평부재(2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직부재(30)와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21)와 상기 절첩부재(40)와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부재(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첩부재(40)는 일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절첩브라켓(41)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수평부재(22)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첩브라켓(41)은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회전편(42)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절첩부재(40)는 일측 선단에 절첩편(43)이 형성되고, 그 절첩편(43)으로 상기 절첩브라켓(41)의 회전편(42)과 연결핀(44)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부재(50)는 상기 하부수평부재(20)에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21)에 회전브라켓(5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수평부재(22)에 결합브라켓(52)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수평부재(21)의 일측에 회전브라켓(51)이 돌출형성되고, 그 회전브라켓(51)에 수평지지부재(5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2수평부재(22)의 일측에는 결합브라켓(52)이 돌출형성되며, 그 결합브라켓(52)에 수평지지부재(5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52)과 수평지지부재(50)의 일단은 서로 맞대어지고, 그 결합브라켓(52)과 수평지지부재(50)의 외주면에 스토퍼(55)가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고정핀(56)이 그 스토퍼(55)와 수평지지부재(5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50)가 제2수평부재(22)에서 탈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55)는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일측선단의 외주면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일측 선단에는 고정홀(53)이 형성되며, 수평지지부재(50)와 결합브라켓(52)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스토퍼(55)로 수평지지부재(50)와 결합브라켓(52)의 외주면을 동시에 감싸고 고정핀(56)을 스토퍼(55)와 수평지지부재(50)의 선단 및 결합브라켓(52)의 선단을 관통하여 삽입시킴으로써 수평지지부재(50)와 결합브라켓(52)을 서로 일직선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부재(50)와 결합브라켓(52)에 삽입된 고정핀(56)을 제거한 후 스토퍼(55)를 결합브라켓(52)의 외주면에서 탈거하게 되면 상기 수평지지부재(50)가 회전브라켓(5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고정핀(56)은 고정홀(53)에 스토퍼(55)를 관통하여 끼워 스토퍼(55)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첩부재(40)는 먼저 수평지지부재(50)를 상기 제2수평부재(22)에서 탈거하여그 수평지지부재(50)를 회전시킨 후에 절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첩부재(40)에는 잠금부재(45)를 관통설치하여 상기 절첩부재(40)가 절첩되었을 때 그 잠금부재(45)를 상기 수직부재(30)에 걸어 절첩부재(40)를 수직부재(3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로스부재(60)는 상기 수직부재(30)들의 사이와 상기 절첩부재(40)들의 사이에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퀴(70)는 상기 하부수평부재(20)의 일측 모서리부분에 고정브라켓(71)으로 각각 고정설치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71)의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71)은 그 힌지축(72)의 상부와 하부에 안착홀(73)이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브라켓(71)에 상기 이동바퀴(70)를 지지고정하는 회동편(75)이 형성되어, 안착핀(76)으로 상기 이동바퀴(70)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동편(75)과 상기 고정브라켓(71)의 일측 안착홀(73)을 관통하여 안착핀(76)을 탈착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바퀴(70)가 상방이나 하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퀴(7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리케이드를 지면에 고정지지하게 되고, 운반시에는 이동바퀴(7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바리케이드에 의하면, 바리케이드를 접어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고, 이동바퀴를 절첩식으로 하여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측 부재의 손상시 손상된 부재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된 상부수평부재(10), 한쌍의 하부수평부재(20)와;
    양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와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수평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 수직부재(30)와;
    일단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절첩브라켓(41)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대략 수직하게 각각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절첩부재(40) 및;
    일단이 상기 일측 하부수평부재(20)에 회전브라켓(51)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하부수평부재(20)에 결합브라켓(52)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50)로 이루어진 절첩식 바리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부재(20)의 일측에 복수개의 이동바퀴(70)가 고정브라켓(71)으로 절첩가능하게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바리케이드.
KR2020010010417U 2001-04-13 2001-04-13 절첩식 바리케이드 KR200241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17U KR200241045Y1 (ko) 2001-04-13 2001-04-13 절첩식 바리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17U KR200241045Y1 (ko) 2001-04-13 2001-04-13 절첩식 바리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045Y1 true KR200241045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17U KR200241045Y1 (ko) 2001-04-13 2001-04-13 절첩식 바리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0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087A (zh) * 2019-12-07 2020-03-31 丁朝龙 一种防冲撞铰链式可折叠防撞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087A (zh) * 2019-12-07 2020-03-31 丁朝龙 一种防冲撞铰链式可折叠防撞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800B2 (en) Foldable building
KR101270756B1 (ko) 접철식 퀵보드
US4611439A (en) Portable bleacher
US4874197A (en) Retractable porch for mobile homes
US4706087A (en) Portable traffic signal
KR200241045Y1 (ko) 절첩식 바리케이드
US6872144B2 (en) Amusement device
US2838338A (en) Dismountable superstructure for transporting vehicles
CN111172858B (zh) 机械化桥架设机构及机械化桥架设车辆及方法
CN218092443U (zh) 一种收纳便捷的折叠伸缩护栏
CN208310291U (zh) 一种外架爬梯
RU2189936C2 (ru) Башен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монтажом и стрелой с боковым складыванием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CN216374460U (zh) 一种车辆防侧翻装置以及汽车
JP2000203789A (ja)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ド
CN218150282U (zh) 一种可折叠围挡支撑座及包含其的围挡结构
WO2006121406A1 (en) An arrangement relating to the arm of a crane
CN209555803U (zh) 便携式道路养护标识牌
CN210882411U (zh) 一种司钻房随车移运装置
CN219477872U (zh) 一种太阳能发电设备
CN220434411U (zh) 一种道路交通或市政工程临时用隔离围挡
CN220117079U (zh) 一种临时防护栏
CN212835134U (zh) 一种公路施工用道路防护栏
KR200252793Y1 (ko) 접철식 표시장치
CN102465616A (zh) 便携式简易折叠车棚
EP1193670B1 (en) Infoboard and assembly of such infoboard and a portal crane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