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948Y1 -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948Y1
KR200240948Y1 KR2019990009363U KR19990009363U KR200240948Y1 KR 200240948 Y1 KR200240948 Y1 KR 200240948Y1 KR 2019990009363 U KR2019990009363 U KR 2019990009363U KR 19990009363 U KR19990009363 U KR 19990009363U KR 200240948 Y1 KR200240948 Y1 KR 20024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uit
catheter
discharg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063U (ko
Inventor
두재균
Original Assignee
두재균
김정식
(주)아미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재균, 김정식, (주)아미티에 filed Critical 두재균
Priority to KR2019990009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9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948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의 체내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 공기급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주사기를 사용하는 공기공급과 배출이 갖는 불편과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안은 본 고안은 도뇨관 및 기도관을 구성하는 도관(1)의 선단부에 풍선(2)을 형성하고,상기 풍선(2)은 도관 내측으로 형성한 공기관(3)을 통하여 도관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돌출된 공기관(3)의 단부에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을 함께 구비한 공기급배출장치(4)를 결합한 구성으로 하여 도관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급배출장치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와 상기 구성에 압력표시장치를 결합한 구성의 공기급배출장치를 새로이 제시한다.

Description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CATHETER AND AIRWAY-TUBE FIXING AIR DEVICE}
본 고안은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의 체내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공기에 의해 도뇨관 또는 기도관을 체내에 유지고정시키는 고정장치의 공기급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뇨관은 방광에 삽입하여 소변을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구이며,수술환자나 의식불명환자,방광기능이 약화된 사람 또는 특별한 목적으로 방광을 비워야 할 경우에 사용되고,기도관은 의식불명환자나 전신마취시 산소 또는 마취약제를 기관지에 공급할 목적으로 기도에 삽입하는 관을 말한다.
이와 같은 도뇨관 및 기도관은 각기 사용목적은 다르나 신체내에 삽입하여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도뇨관은 방관내에 삽입되어 소변을 흡입하기 위한 뇨흡입부와 흡입된 소변을 체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관 및 도관 단부에 형성된 뇨배출구로 구성되고,여기에 방광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부 선단부에 형성한 풍선과 상기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로 구성되는 고정장치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기도관은 기도에 삽입되는 도관과 마우스피스에 물려지는 투입구로 구성되고,여기에 튜브 단부에 형성한 풍선과 상기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로 구성되는 고정장치가 결합된다.
각 고정장치는 도뇨관 또는 기도관을 방광 또는 기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풍선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체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관의 제거시에는 공기를 뽑아 줌으로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급배출장치의 구성을 필요로 하는 바, 종래 이들 고정장치는 별도의 공기급배출장치구성없이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배출시켜주어야 함으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기주입시에 주사기 등과 같은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주입하고,배출시에도 주사기 등과 같은 별도의 공기배출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기주입시에 흡배기 밸브에 주사기를 대고 공기를 주입한 후 주사기를 제거하고,배출시에도 주사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배출시켜야 함으로 1회용으로 사용이 제한 되는 주사기를 주입과 배출시에 각기 별도로 사용하여야 함으로 비경제적이고 한번 사용된 주사기는 폐기됨으로서 환경쓰레기를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며,무었보다도 주사기를 사용하는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불편하고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도뇨관 및 기도관은 장시간 체내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되고,시간이 경과할 수록 미세한 공기유출에 의해 풍선의 압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이탈될 우려가 높고 그 경우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풍선의 압력을 측정할 방법이 없어 매우 세심한 주의를 요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도뇨관 및 기도관을 구성하는 고정장치에 공기의 공급과 배출수단을 구비한 공기급배출장치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서 시술시 간편하고 신속한 시술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종래 2개의 주사기를 사용하여야 공기주입과 공기배출이 가능함으로서 오는 주사기의 낭비문제와 그에 따른 비용증대 및 폐주사기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또한,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풍선의 고정압력을 외부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정력 감소로 인한 이탈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확인장치를 아울러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공기급배출장치의 상세구조도
도3은 도2의 공기배출콕 결합부 상세구조도
도4는 공기공급에 의한 도교관 선단부의 풍선 팽창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도
도6a,6b은 도5에 의한 공기급배출장치의 급배출 상태도
도7 및 도8은 압력표시장치의 결합상태도
도9는 기도관에 본 고안을 적용한 상태도
도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뇨관의 사용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도관 2.풍선 3.공기관
4.공기급배출장치 41.연결구 41a.몸통
41b.공기배출콕 41c.스프링 41d.패킹
42.에어줌 43.실린더 44.외부캡
45.피스턴 46.나사결합부
5.압력표시장치 51.팽창부
10.도뇨관 11.기도관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본 고안은 도뇨관 및 기도관을구성하는 도관(1)의 선단부에 풍선(2)을 형성하고,상기 풍선(2)은 도관 내측으로 형성한 공기관(3)을 통하여 도관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돌출된 공기관(3)의 단부에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을 함께 구비한 공기급배출장치(4)를 결합한 구성으로 하여 고정장치와 공기급배출장치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공기급배출장치(4)는 풍선(2)과 그에 연결된 공기관(3)으로 구성된 고정장치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풀어지게 하거나 공급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 공기공급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을 함께 구비한 것이다.
공기공급수단 및 공기배출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1내지 도3은 에어줌 형태로 구성한 예를 보인 보인 것이다.
즉,도관(1)으로 부터 분리되는 공기관(3)의 단부에 연결구(41)를 사이에 두고 흡기구(42a)가 형성된 에어줌(42)을 결합하며,상기 연결구(41)는 몸통(41a)의 내외측으로 이어지는 공기배출콕(41b)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41c)의 탄발력을 받는 패킹(41d)을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배출콕(41b)은 연결구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공기통로(41e)를 개폐시키는 요소로 연결구 몸통의 외측으로 돌출부(41f)를 형성하여 그 외부에 나사캡(41g)을 씌운 구조로 구성하며,공기의 완벽한 차단 효과를 위하여 나사캡 안쪽에 패킹(41h)을 삽입하며,패킹의 접부에 나사캡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통공(41j)을 형성하여 나사캡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통공을 통하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공기급배출장치는 에어줌(42)을 눌러줄때 내부의 공기가 스프링(41c)을압축시키면서 패킹(41d)을 후퇴시켜 연결구내의 공기통로(41e)을 열어줌으로서 공기가 주입되어 풍선이 팽창되고,에어줌을 그대로 두면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주입된 공기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각 도관을 체내로 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배출콕을 열어 줌으로서 신속하게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고 풍선이 수축되어 도관을 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41k는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을 표시한 것이다.
도5는 공기급배출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관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관(3)의 단부에 실린더(43)를 결합하고,상기 실린더에는 외부캡(44)과 일체로 된 피스턴(45)을 삽입하며,외부캡과 실린더의 일부 접부에 나사고정부(46)를 형성한 구성으로 한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6a와 같이 외부캡(44)을 밀어 피스턴을 전진시키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공기관(3)을 통하여 풍선(2)에 주입됨으로서 풍선이 부풀어 도관이 체내에 고정되고,도관(1)의 분리시에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캡(44)을 후퇴시켜 줌으로서 풍선내부의 공기가 빠져나와 실린더에 채워져 풍선이 수축되게 된다.
실린더와 외부캡의 접부에 형성한 나사고정부(46)는 공기를 주입한 상태에서 외부캡의 후퇴를 방지하여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의 입구 일부와 외부캡의 내부양측에 형성함으로서 캡의 전진이나 후퇴시 나사고정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캡이 실린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압을 일정하게유지할 수 있으며,장시간 사용에 의해 풍선의 공기압이 감소될 경우 외부캡을 돌려줌으로서 피스턴을 미세하게 전진시켜 감소된 압력을 보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압력표시장치(5)를 포함하는 구성을 아울러 제시한다.
도7 및 도8은 압력표시장치를 형성한 구성을 보인 것으로,압력표시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관(3)과 공기급배출장치(4)사이에 공기관(3)과 연결되는 팽창부(51)을 형성한 구성의 것으로 풍선(2)공기가 채워질때 팽창부에도 공기가 주입되어 함께 팽창하여 풍선 압력과 동일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서 체내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확인하기 곤란한 풍선의 공기압을 외부로 노출되는 팽창부의 공기압을 확인함으로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공기압이 부족할 경우 공기급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즉시 공급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각 도면은 도뇨관(10)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나 도9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급배출장치는 기도관(11)의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이 적용된다.
도10은 도뇨관(10)을 방광(12)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을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도뇨관 및 기도관을 구성하는 고정장치에 공기의 공급과 배출수단을 구비한 공기급배출장치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서 시술이 매우 편리하고신속하며,종래 2개의 주사기를 사용하여야 공기주입과 공기배출이 가능하는데 따른 주사기의 낭비문제와 그에 따른 비용증대 및 폐주사기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풍선의 고정압력을 외부에서 상시 측정이 가능함으로 기도관이나 도뇨관의 급작스런 이탈로 인한 의료사고를 에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도뇨관 및 기도관을 구성하는 도관(1)의 선단부에 풍선(2)을 형성하고,상기 풍선(2)은 도관 내측으로 형성한 공기관(3)을 통하여 도관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돌출된 공기관(3)의 단부에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을 함께 구비한 공기급배출장치(4)를 결합한 구성으로 하여 도관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급배출장치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공기급배출장치(4)는 도관(1)으로 부터 분리되는 공기관(3)의 단부에 연결구(41)를 사이에 두고 흡기구(42a)가 형성된 에어줌(42)을 결합하며,상기 연결구(41)는 몸통(41a)의 내외측으로 이어지는 공기배출콕(41b)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41c)의 탄발력을 받는 패킹(41d)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공기급배출장치(4)는 도관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관(3)의 단부에 실린더(43)를 결합하고,상기 실린더에는 외부캡(44)과 일체로 된 피스턴(45)을 삽입하며,외부캡과 실린더의 일부 접부에 나사고정부(46)를 형성한 구성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4. 제1항,제2항,제3항 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도관(1)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관(3)과 공기급배출장치(4)사이에 공기관(3)과 연결되는 팽창부(51)을 형성한 구성의 압력표시장치(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KR2019990009363U 1999-05-29 1999-05-29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KR20024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63U KR200240948Y1 (ko) 1999-05-29 1999-05-29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63U KR200240948Y1 (ko) 1999-05-29 1999-05-29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63U KR19990035063U (ko) 1999-09-06
KR200240948Y1 true KR200240948Y1 (ko) 2001-09-25

Family

ID=5475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363U KR200240948Y1 (ko) 1999-05-29 1999-05-29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9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23A (zh) * 2019-05-18 2019-07-12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带测温测压的多腔导尿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63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0176A (en) Nasal tampon
US3402717A (en) Endotracheal tube with valved balloon having a removable inflation stylet insert therein
US4119101A (en) Multiple lumen endotracheal tube and cuff with limited inflation and pressure
US6578574B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artificial respiration to a patient
US8550078B2 (en) Inflation and monitoring assembly for a pressure cuff of an endotracheal tube
HUT51906A (en) Instrument for diagnosing and curing the illnesses of nose
CA2289224A1 (en) Foam cuff for laryngeal mask airway
BRPI0318347B1 (pt) válvula de fenda para uso com um implante médico, aparelho inflável implantável e aparelho médico para o tratamento de obesidade
WO2017000582A1 (zh) 鼻窦扩张冲洗器及其使用方法
US4977894A (en) Laryngo-tracheal analgesia endotracheal tube
CN104736125A (zh) 具有注气装置的喂食管及用于其的方法
US5038777A (en) Endotracheal device
MXPA01006417A (es) Dispositivo de deteccion para verificar la intubacion adecuada de un tubo endotraqueal.
KR200240948Y1 (ko) 도뇨관 및 기도관 고정장치용 공기급배출장치
JP2018538113A (ja) 拡張型挿管組立体
CN110339461B (zh) 内窥镜引导下可过导丝的球囊导管
KR200191611Y1 (ko) 기도내삽관튜브
JPH0454970A (ja) 医療用処置具
US11786682B2 (en) End-expiratory CO2 guided tracheal intubation device
CN210844889U (zh) 内窥镜引导下可注液的球囊导管
KR101956594B1 (ko) 의료용 카테터
KR101508131B1 (ko) 기도 유지장치
GB2174303A (en) Inflation indicator for cuffed catheter
CN209790560U (zh) 一种气管插管
DE69923242D1 (de) Nadellose medizinische Vorrichtung zur Verabreichung eines therapeutischen Wirkstoff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