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158Y1 - 이미용도구 - Google Patents

이미용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158Y1
KR200240158Y1 KR2020010010985U KR20010010985U KR200240158Y1 KR 200240158 Y1 KR200240158 Y1 KR 200240158Y1 KR 2020010010985 U KR2020010010985 U KR 2020010010985U KR 20010010985 U KR20010010985 U KR 20010010985U KR 200240158 Y1 KR200240158 Y1 KR 200240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leisure
knife
connec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2020010010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158Y1/ko
Priority to PCT/KR2001/001147 priority patent/WO20020833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0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longitudinally to the handle
    • B26B21/1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longitudinally to the handle combined with combs or other means for hai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용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손잡이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머리빗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레져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자신만의 개성있는 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이미용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미용도구{HAIR TOOL}
본 고안은, 이미용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미용도구는 머리카락을 다양한 형태로 자르는 각종 가위와, 머리카락을 다듬는 레져(Razor)칼 및 머리카락을 다양한 스타일로 빗는 머리빗 등이 있다. 이 중 레져칼과 머리빗은 주로 머리카락을 소정의 형태로 자른 후 행해지는 다듬기 및헤어스타일 연출 등의 마무리작업에 사용되는데, 이 때 작업자는 양손에 각각 레져칼과 머리빗을 들고 작업을 하거나, 양측 손 중 어느 한쪽 손에 레져칼과 머리빗을 동시에 잡고 이들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한다.
그러나, 각각 별개의 레져칼과 머리빗을 양쪽 손에 잡고 작업을 할 때는, 머리카락을 잡는 손이 자유롭지 못하며, 작업시 레져칼과 머리빗 중 어느 하나를 작업에 사용되는 한쪽 손에 옮겨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 별개의 레져칼과 머리빗을 한쪽 손에 잡고 작업을 할 때는, 작업의 불편함은 물론이며, 레져칼과 머리빗을 놓쳐서 떨어트리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이에 의해, 머리손질을 받는 소비자로부터의 작업자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레져칼과 머리빗을 놓치지 않기 위해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하므로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자나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이미용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을 할 때, 자신만의 개성있는 몸동작 및 손동작을 연출하여 소비자들로부터 호감과 신뢰를 얻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 레져칼 및 머리빗 등의 이미용도구를 이용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이미용도구를 떨어트리지 않는 것에 부담을 가져야 하므로 몸동작 및 손동작을 다양하게 연출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 자신만의 개성있는 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이미용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미용도구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손잡이 11 : 손가락수용공
20 : 머리빗부 25 : 빗살
30 : 레져칼부 35 : 칼날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이미용도구에 있어서, 연결손잡이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머리빗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레져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도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손잡이부에는 상기 머리빗부와 상기 레져칼부의 교호적인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손가락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머리빗부의 빗살은 상기 레져칼부의 칼날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연결손잡이부는, 상기 머리빗부와 연결되며 후단부에 제1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빗손잡이와; 상기 레져칼부와 연결되며 후단부에 상기 제1고리부와 상호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져칼손잡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빗부와 상기 레져칼부를 상호 절첩시켜서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미용도구(1)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연결손잡이부(10)와, 연결손잡이부(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머리빗부(20)와, 연결손잡이부(10)의 타측에 마련되는 레져칼부(30)를 갖는다.
연결손잡이부(10)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손잡이부(10)의 일영역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손가락수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손잡이부(10)의 재질은 플라스틱 및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손잡이부(10)의 표면에는 다양한 문양 및 심벌 등을 새길 수도 있으며,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손잡이부(10)에 형성되는 손가락수용공(11)은 연결손잡이부(10)의 양측에 마련되는 머리빗부(20)와 레져칼부(30)의 무게를 고려하여 연결손잡이부(10)에서 형성되는 무게중심영역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수용공(11)에 중지(7)를 끼워 연결손잡이부(10)를 회전시키면서 머리빗부(20) 또는 레져칼부(30)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수용공(11)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머리빗부(20)는 연결손잡이부(10)의 일측과 연결되는 손잡이연결체(21)와, 다수의 빗살(25)이 마련된 빗본체(23)를 갖는다. 빗본체(23)는 다수의 빗살(25)이 일자로 배열된 일자머리빗으로 마련된다. 이때, 빗본체(23)는 후술할 레져칼부(30)의 칼날(35)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레져칼부(30)를 사용하다가 연결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빗본체(23)의 빗살(25)이 머리카락(5)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머리빗부(20)는 연결손잡이부(10)와 마친가지로 플라스틱 및 금속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빗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손잡이부(10)와 일체로 제작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머리빗부(20)의 손잡이연결체(21)가 연결손잡이부(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머리빗부(20)의 빗본체(23)는 브러쉬빗 등 다양한 형태의 머리빗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레져칼부(30)는 연결손잡이부(10)의 타측과 연결되는 칼날지지체(31)와, 칼날지지체(31)에 결합되는 칼날홀더(33)와, 칼날홀더(33)내에 고정되는 칼날(35)을 갖는다. 이때, 레져칼부(30)는 칼날(35)의 보호를 위해 칼날홀더(33) 및 칼날(35)을 포함한 칼날지지체(31)를 둘러싸는 레져칼보호커버(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지지체(31)에는 칼날홀더(33)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물림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물림그루브(미도시)는 개방측이 빗본체(23)의 빗살(25)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칼날지지체(31)는 연결손잡이부(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및 금속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연결손잡이부(10)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고, 금속재로 제작될 경우에는 연결손잡이의 제작시 칼날지지체(31)의 일측이 연결손잡이부(10)의 타측에 인써트 사출되도록 하는 것이 제작비 절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칼날홀더(33)는 ∪자 형태로 절곡된 후 양측면이 탄성적으로 접면하도록 압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타측면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형홈(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날홀더(33)는 ∪자 형으로 절곡된 일부영역이 칼날지지체(31)의 물림그루브(미도시)내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칼날홀더(33)와 물림그루브(미도시)의 맞물림 치수공차는 사용자가 칼날홀더(33)에 소정의 힘을 가해야만 물림그루브(미도시)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정도의 공차로 형성된다.
칼날(35)은 날부분이 칼날홀더(33)의 파형홈(45)내에 노출되도록 칼날홀더(33)내에 수용되며, 칼날홀더(33)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이미용도구(1)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져칼부(30)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미용도구(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한쪽 손을 이용하여 중지(7)가 손가락수용공(11)에 적당히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연결손잡이부(10)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레져칼부(30)를 이용하여 머리카락(5)을 다듬다가 머리빗부(20)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중지(7)가 손가락수용공(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결손잡이부(10)를 180°회전시킨 다음, 다시 연결손잡이부(10)를 파지하면 도 3과 같이, 머리빗부(20)가 머리카락(5)을 향하는 작업위치에 간단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본 이미용도구(1)를 한쪽 손에 파지하고 다른 쪽 손은 자유롭게 머리카락(5)을 잡을 수 있는 상태에서 상황에 따라 손가락수용공(11)에 삽입된 중지(7)를 중심으로 연결손잡이부(10)를 회전시키면, 간단하고 편리하게머리빗부(20)와 레져칼부(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머리카락(5)을 손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손잡이부(10)의 손가락수용공(11)에 항상 한쪽 손의 중지(7)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본 이미용도구(1)를 놓쳐서 떨어트릴 염려가 없이 머리카락(5)을 손질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손질을 받는 소비자로부터의 작업자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작업자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이미용도구(1)는 작업자가 떨어트릴 염려가 없으므로, 작업자는 부담없이 자신만의 다양한 동작을 개발하여 이미용작업시 화려한 몸동작을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연출과 소비자의 호감 및 신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미용도구(101)는, 도 1 내지 도 3의 이미용도구(1)와 연결손잡이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101)의 연결손잡이부(110)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101)와 도 1 내지 도 3의 이미용도구(1)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101)의 연결손잡이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빗부(20)가 연결되는 빗손잡이(111)와, 레져칼부(30)가 연결되는 레져칼손잡이(113)와, 빗손잡이(111)와 레져칼손잡이(113)를 상호 절첩 가능하게결합하는 회동연결체(115)를 갖는다.
빗손잡이(111)와 레져칼손잡이(113)의 후단부에는 각각 소정 크기의 제1 및 제2고리부(121,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연결체(115)는 제1 및 제2고리부(121,123)에 삽입되는 크기의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연결체(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고리부(121,123)에 삽입된 다음 양 단부(125a,125b)가 외향 코킹됨으로써, 빗손잡이(111)와 레져칼손잡이(113)를 상호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회동연결체(115)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수용되는 손가락수용공(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회동연결체(115)와 빗손잡이(111)의 제1고리부(121) 및 레져칼손잡이(113)의 제2고리부(123) 간의 치수공차는 빗손잡이(111)와 레져칼손잡이(113)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여만 상호 절첩되는 정도의 치수공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이미용도구(101)는, 머리손질 작업에 이용될 때는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다가 보관 등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첩된 상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101)를 머리손질에 사용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용도구(1)의 사용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의 제3실시예와 같이, 연결손잡이부에 손가락수용공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제3실시예와 같이, 손가락수용공(221)을 형성하는 별도의 링부재(220)를 연결손잡이부(10)에 스크류(혹은 후크) 등의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링부재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미용도구는, 머리빗부와 레져칼부가 일체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본 이미용도구를 떨어트리지 않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머리빗부와 레져칼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머리카락을 손질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손잡이부에 손가락수용공을 형성하면 본 이미용도구를 놓쳐서 떨어트릴 염려가 최소화되어 작업자가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본 이미용도구는 작업자가 떨어트릴 염려가 없으므로, 작업자는 부담없이 자신만의 다양한 동작을 개발하여 이미용작업시 화려한 몸동작을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연출과 소비자의 호감 및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자신만의 개성있는 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이미용도구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이미용도구에 있어서,
    연결손잡이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머리빗부와;
    상기 연결손잡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레져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손잡이부에는 손가락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빗부의 빗살은 상기 레져칼부의 칼날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손잡이부는,
    상기 머리빗부와 연결되며 후단부에 제1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빗손잡이와;
    상기 레져칼부와 연결되며 후단부에 상기 제1고리부와 상호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져칼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도구.
KR2020010010985U 2001-04-18 2001-04-18 이미용도구 KR200240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85U KR200240158Y1 (ko) 2001-04-18 2001-04-18 이미용도구
PCT/KR2001/001147 WO2002083375A1 (en) 2001-04-18 2001-07-05 Hair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85U KR200240158Y1 (ko) 2001-04-18 2001-04-18 이미용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158Y1 true KR200240158Y1 (ko) 2001-10-26

Family

ID=1970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985U KR200240158Y1 (ko) 2001-04-18 2001-04-18 이미용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40158Y1 (ko)
WO (1) WO20020833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34B1 (ko) * 2009-04-17 2011-12-19 최성순 미용구
WO2020150359A3 (en) * 2019-01-16 2020-08-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ripping hand too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700A1 (en) * 2007-07-17 2009-01-22 Shushan Yaniv Dual purpose razor bla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492U (ko) * 1975-01-29 1976-07-31
JPS5334483U (ko) * 1976-08-27 1978-03-25
JPH08318064A (ja) * 1995-05-26 1996-12-03 Mitsuji Oshima 回転持替へ構造の安全コームレザ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34B1 (ko) * 2009-04-17 2011-12-19 최성순 미용구
WO2020150359A3 (en) * 2019-01-16 2020-08-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ripping hand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3375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0162B1 (en) Hair-cutting device for self-users
US10005192B2 (en) Electric hair clipper
US20080060667A1 (en) Hair cutting device
US5908036A (en) Mini-shaving device for grooming facial hair
US4401129A (en) Comb and cut baton
US7246442B2 (en) Hair-trimming tool
US6473971B2 (en) Disposable mustache and beard stylizing razor
US20100252059A1 (en) Hair bang clipper and folding comb
CA2917945C (en) Electric hair clipper
KR200240158Y1 (ko) 이미용도구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JP5388009B2 (ja) 散髪用櫛
JP2001246183A (ja) バリカン
US20170231361A1 (en) Nail clipper assembly
US20140317938A1 (en) Hair Bang Clipper
JPH0510783Y2 (ko)
JP2000051545A (ja) 鼻毛専用安全カミソリ
JP3593714B2 (ja) 眉用かみそり
US20160046027A1 (en) Hair Bang Clipper
KR200240208Y1 (ko) 이미용 가위
US20220369786A1 (en) Hair cutting device
WO2017135979A1 (en) Electric hair clipper
KR200273672Y1 (ko) 유아용 손톱 및 콧털 겸용 가위
KR200188503Y1 (ko) 소형 레이저 용구
JPH04151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