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53Y1 - 캐릭터 인형 - Google Patents

캐릭터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53Y1
KR200239753Y1 KR2020010012384U KR20010012384U KR200239753Y1 KR 200239753 Y1 KR200239753 Y1 KR 200239753Y1 KR 2020010012384 U KR2020010012384 U KR 2020010012384U KR 20010012384 U KR20010012384 U KR 20010012384U KR 200239753 Y1 KR200239753 Y1 KR 200239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haracter
light source
transmission medium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 윙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윙스텍 filed Critical (주) 윙스텍
Priority to KR202001001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53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캐릭터 인형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캐릭터 인형의 특색을 강화시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키도록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빛 방사 및 전달 효율이 우수한 빛 전달매체(3)와 저전력 고효율의 발광다이오드로 된 광원(41)을 이용하여 빛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가 극히 적고 야간에 타 캐릭터 인형과 구별되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캐릭터 인형의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캐릭터 인형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캐릭터 인형{CHARACTER DOLL}
본 고안은 캐릭터 인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릭터 인형의 특색을 강화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캐릭터 인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과 비디오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그에 따른 캐릭터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캐릭터 인형은 영화 속의 모습 그대로를 본 따서 만든 복제품에 지나지 않아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캐릭터 인형의 특색을 강화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캐릭터 인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인형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원과 빛 전달매체 및 전원 회로부의 실물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원회로부 3 : 빛 전달매체
41 : 광원 42 : 펄스회로
43 : 배터리 44 :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캐릭터 인형에 있어서, 고온 용융 접착성 열가소성 재질(hot-melt adhesive thermoplastic material)로 형성되어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는 빛 전달매체(3)와 상기 빛 전달매체(3)의 단부에 빛을 인가하는 광원(41)이 상기 캐릭터 인형의 내부에 내삽되어 설치되되, 상기 빛 전달매체(3)의 외측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피복층(30)이 덥혀 상기 빛 전달매체(3)와 광원을 상기 인형에 고정시키고, 전원회로부(4)는 상기 광원과 전선(49)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41)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되, 상기 전원회로부(4)의 스위치(44)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 인형의 외측으로 향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등,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인형의 일부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회로부의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원과 빛 전달매체 및 전원 회로부의 실물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인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전달매체(3)와, 광원 및 전원회로부(4)가 내측에 수납 설치되고, 전원회로부(4)의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인형의 외피에 접하여 설치되며, 빛 전달매체(3)를 수납하고 있는 피복층(30)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빛 전달매체(3)와 광원(41)은 인형의 내측에 마련된 수납 부위에 설치되되, 빛 전달매체(3)를 수납하고 있는 피복층(30)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망사천이나 비닐 등의 소재로 된 것이다. 빛 전달매체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형의 모자나, 눈동자, 문자 등,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광원(41)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회로부(4)는 전선(49)으로 광원(41)과 연결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내부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스위치(44)는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 표면에 접하여 설치된다.
빛 전달매체(3)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도3 참조)으로 구성되며, 고온 용융 접착성 열가소성 재질(hot-melt adhesive thermop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진 연질의 합성 수지재이다. 이 빛 전달매체(3)는 미국 'IPT'사에서 생산하는 소위 '폴리머'라는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그 단부에 빛이 제공되면 그 재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방사되면서 길이를 따라 전달되는데 그 휘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전원회로부(4)의 상세한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회로부(4)는 빛 전달매체(3)의 단부에 빛을 인가하기 위한 광원(41)과, 상기 광원(41)의 전원인 배터리(43)와, 상기 배터리(43)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44)와, 상기 스위치(4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43)의 전원을 펄스 전원으로 변환하여 광원(41)에 인가하기 위한 펄스회로(42)를 구비한다. 이때, 배터리(43)는 무게와 크기가 작은 수은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41)은 전선(49)으로 전원회로부(4)에 연결되어 펄스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빛을 발하게 된다.
펄스회로(42)는 광원(41)에 펄스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빛 전달매체(3)에 의해 방출되는 빛이 섬광의 효과를 가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펄스회로(42)는 스위치(44)의 동작을 토글 동작신호로서 수신하여, 첫 번째 동작시에는 일정한 전원 전압 출력, 두 번째 동작 시에는 펄스 전원 출력, 세 번째 동작 시에는 전원 전압을 차단하여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동작한다.
광원(41)으로서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였으며, 빛 전달매체(3)의 빛 방사 및 전달 효율이 매우 높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빛만으로도 뛰어난 휘도를 가진다.
상기 광원(41)과 빛 전달매체(3)의 단부는 특별한 고정구에 의해 양자가 고정될 필요는 없고, 단지 정확한 빛의 인가를 위해 전원회로부(4)의 케이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오목한 홈을 만들어 상기 빛 전달매체(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41)은 칼라 광의 발산을 위해 적색, 녹색, 청색 등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상기 빛 전달매체(3)는 그 길이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한 휘도로 빛을 방사하고 전달하므로, 요구되는 만큼의 길이로 잘라서 인형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빛을 단순하게 방사하고 전달하므로 발광열이 발생하지 않고, 연질의 수지형태이기 때문에 구부려도 부러지거나 휘지 않아 사용 시에 불편함이 없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후술하는 등록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빛 방사 및 전달 효율이 우수한 빛 전달매체(3)와 저전력 고효율의 발광다이오드로 된 광원(41)을 이용하여 빛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가 극히 적고 야간에 타 캐릭터 인형과 구별되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캐릭터 인형의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캐릭터 인형에 있어서,
    고온 용융 접착성 열가소성 재질(hot-melt adhesive thermoplastic material)로 형성되어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는 빛 전달매체(3)와 상기 빛 전달매체(3)의 단부에 빛을 인가하는 광원(41)이 상기 캐릭터 인형의 내부에 내삽되어 설치되되, 상기 빛 전달매체(3)의 외측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피복층(30)이 덥혀 상기 빛 전달매체(3)와 광원을 상기 인형에 고정시키고,
    전원회로부(4)는 상기 광원과 전선(49)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41)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되, 상기 전원회로부(4)의 스위치(44)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릭터 인형의 외피에 접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인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4)는,
    상기 광원에 펄스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펄스회로(4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인형.
KR2020010012384U 2001-04-28 2001-04-28 캐릭터 인형 KR200239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84U KR200239753Y1 (ko) 2001-04-28 2001-04-28 캐릭터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84U KR200239753Y1 (ko) 2001-04-28 2001-04-28 캐릭터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53Y1 true KR200239753Y1 (ko) 2001-10-12

Family

ID=7310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84U KR200239753Y1 (ko) 2001-04-28 2001-04-28 캐릭터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37Y1 (ko) 2012-11-29 2014-03-06 김도진 악세사리용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37Y1 (ko) 2012-11-29 2014-03-06 김도진 악세사리용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727A (en) Shoe with an electro-luminescent lighting element
US8197085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having user selectable light control
US6390640B1 (en) Lighted mask for underwater divers
US7942553B2 (en) Lighting device and optics package therefor
KR101566137B1 (ko) 조광/발성 장치를 갖는 풍선
US20180163960A1 (en) Ring-shaped light-emitting heat-dissipating fan
TW200905123A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and illumination system
KR200239753Y1 (ko) 캐릭터 인형
US20170118822A1 (en) Illuminated foil balloon with lights synchronized to music
US20080057824A1 (en) Nightlight toy
US6550950B1 (en) Light emitting diodes vehicle lamp
KR200468167Y1 (ko) 손전등
US7165859B1 (en) Lighting device with resilient fastener for attaching to human finger
KR200213994Y1 (ko) 발광 밴드
KR200241552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가방
KR200426125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램프장치
KR200262686Y1 (ko) 발광 인라인스케이트
KR200213995Y1 (ko) 안전 조끼
KR200239276Y1 (ko) 발광 모자
KR200242108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341578Y1 (ko) 팔 및 허리에 착용되는 소형 물품 휴대용 케이스
KR200327702Y1 (ko) 발광원반
KR200246412Y1 (ko) 휴대용 발광봉
KR200240675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옷
US20120274211A1 (en) LED light bul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