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441Y1 -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41Y1
KR200239441Y1 KR2019980027477U KR19980027477U KR200239441Y1 KR 200239441 Y1 KR200239441 Y1 KR 200239441Y1 KR 2019980027477 U KR2019980027477 U KR 2019980027477U KR 19980027477 U KR19980027477 U KR 19980027477U KR 200239441 Y1 KR200239441 Y1 KR 200239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elephone
handset
main bod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4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4179U (en
Inventor
강형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7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41Y1/en
Publication of KR20000014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17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41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과 벽걸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 본체의 수화부 안착홈의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걸림편 관통구멍과, 상기 걸림편 관통구멍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전화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는 걸림편을 구비한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상기 전화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전후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et support device for a telephone that can be used both as a desk and a wall-mounted device, and includes a hooking through-hole formed on one side of a receiving portion seating groove of the telephone body, and the phone body to partially protrude into the hooking-through hole. And a holder having a locking piec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nd guide means formed on the body frame so that the holder can be guided back and forth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telephone body frame.

Description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Phone handset support device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본 고안은 탁상과 벽걸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때 핸드셋이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that can be used both as a desk and a wall-mounted, and particularly relates to a handset support device for a telephone that can be fixed so that the handset does not leave the main body when used for wall-mounted.

통상적으로, 일반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핸드셋(Hand set)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화기에 있어서, 데스크 타입(Desk Type)의 전화기는 본체에 통화할 수 있는 핸드셋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안착부가 마련되고, 벽걸이 타입(Wall-mount Type)의 전화기는 전화기 몸체에 특정한 걸이형 로커(Locker)나 홀더(Holder)를 이용하여 후크형 스위치(Hook Type Switch)에 핸드셋을 걸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ypically, a regular telephone consists of a telephone body and a handset. In such a telephone, a desk type telephone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for placing a handset capable of talking on the main body, and a wall-mount type telephone is provided with a hanger lock (specific type) mounted on the telephone body. It has a structure to hang a handset on a hook type switch by using a locker or a holder.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핸드셋 지지장치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set support device.

일반 전화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적소에 안착되는 핸드셋(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telephone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nd a handset 200 seated in place of the main body.

상기 핸드셋(200)은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가 내장된수화부(201)와,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송화부(20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핸드셋(200)의 수화부(201)가 안착될 수 있는 수화부 안착홈(101)과, 송화부(202)가 안착될 수 있는 송화부 안착홈(102)이 적소에 형성된다.The handset 200 includes a receiver 201 having a built-in speaker that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and a talker 202 having a microphone for delivering voice to the other party. Therefore, in the main body 100, a receiver receiving groove 101 in which the receiver 201 of the handset 200 may be seated, and a transmitter mounting recess 102 in which the receiver 202 may be seated are in place. Is formed.

이때, 상기 전화기는 벽걸이용으로 사용하거나 탁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벽걸이용으로 사용할때에는 전화기 본체(100)가 수직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핸드셋(200)이 본체(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별도의 핸드셋 지지장치를 설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hone can be used for the wall or desk for use, when using for the wall, because the phone body 100 is standing vertically separate handset support device so that the handset 200 does not leave the body 100 Will install

상기 핸드셋 지지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수화부 안착홈(101)의 일측면상에 걸림편(301)을 구비한 홀더(3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화부 안착홈(101)의 일측면에는 홀더 삽입구멍(103)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 삽입구멍(103)의 하측면상에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돌기(10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삽입구멍(103)에 삽입되는 홀더(300)의 하측면상에는 상기 돌기(103a)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의 안착홈(30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300)의 걸림편(301)은 상기 홀더(300)가 본체(100)의 수화기 안착홈(101)상에 장착되었을 때,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화부(201)상에는 상기 홀더(300)의 걸림편(301)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홈(20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handset suppor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holder 300 having a locking piece 301 on one side of the body receiving portion seating recess 101. Therefore, a holder insertion hole 10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seating groove 101, and a protrusion 103a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insertion hole 103.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30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300 inserted into the holder insertion hole 103 in which the protrusion 103a may be seated. The engaging piece 301 of the holder 300 is installed to protrude when the holder 300 is mounted on the receiver seating groove 101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a locking groove 203 to which the locking piece 301 of the holder 30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hydration unit 201.

그러나, 상기 홀더는 본체의 외부에서 돌기와 안착홈의 결합만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이탈되어 분실될 수 있으며, 본체의 외측에 별도의 홀더삽입구멍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출시, 공간의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However, since the holder is fixed a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nly by the coupling of the projection and the seating groove, the holder may be randomly detached and lost. Since the holder has to be formed a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holder is limited in space during injection. This was deriv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벽걸이용과 탁상용으로 사용할 때,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자체 사출구조만으로 홀더의 위치를 전화기 본체상에서 자유롭게 유동시킬 수 있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set support device for a phone that can freely flow the position of the holder on the phone body only by its own injection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ans when used for wall hanging and tabletop .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출시, 전화기 본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간단히 구성되는 전화기 핸드셋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lephone handset support device which is simply configured so as not to be limited by space in the telephone body during inj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걸이용으로 사용할때 전화기의 본체상에 핸드셋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핸드셋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본체의 수화부 안착홈의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걸림편 관통구멍과, 상기 걸림편 관통구멍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전화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는 걸림편을 구비한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상기 전화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전후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set support device capable of fixing a handset on a main body of a telephone when used for a wall mount, the engaging piec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er receiving groove of the telephone main body. And a holder having a locking piec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frame so as to partially protrude into the locking piece through hole and the holder so that the holder can be guided back and forth without being sepa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guide means formed on.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지지장치를 도시한 부분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s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지지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of the hands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전화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in the phon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장착된 홀더에 핸드셋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set is fixed to the holder mounted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도.6 is an operation diagram for flowing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nged state of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프레임 12: 후크10: body frame 12: hook

13: 스토퍼 14: 페이퍼 삽입구멍13: Stopper 14: Paper insertion hole

20: 핸드셋 21: 걸림구멍20: Handset 21: Hang Hole

30: 홀더 31: 걸림편30: holder 31: locking piece

32: 탄성 플레이트 33: 텐션리브32: elastic plate 33: tension rib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지지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홀더가 전화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of the hands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in the phone body.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 지지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 본체(10)상에 설치되는 홀더(30)와, 상기 홀더(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가이드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된다.3 and 4, the phon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30 is installed on the phone body 10, and the guide means guided while being supported so that the holder 30 is not separated It is composed.

상기 홀더(30)는 판형의 탄성을 갖는 탄성 플레이트(32)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텐션을 받을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되는 텐션리브(33)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32)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두 번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편(31)으로 구성된다.The holder 3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late 32 having a plate-like elasticity, and a tension rib 3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late so as to receive tension, and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32 upward. Consists of the engaging piece 31 formed bent once.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홀더(30)의 걸림편(31)이 돌출될 수 있는 걸림편 관통구멍(11)이 핸드셋(20)의 수화부 안착홈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걸림편 관통구멍(11)의 일측에는 전화번호등을 기재한 페이퍼를 삽입할 수 있는 페이퍼 삽입구멍(14)이 형성된다.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a engaging piece through hole 11 through which the engaging piece 31 of the holder 30 can protrude is formed on the receiving portion seating groove of the handset 20. 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engaging piece through hole 11 of the main body, a paper insertion hole 14 into which paper describing a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가이드수단으로는 상기 본체 내측면상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한쌍의 후크(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의 양 텐션리브(33)가 상기 한쌍의 후크(12) 사이에 끼워져 전후로 가이드 되는 것이다.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oks 12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fore, both tension ribs 33 of the holder 30 ar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hooks 12 and guided back and forth.

또한, 상기 홀더(30)의 탄성 플레이트(32) 적소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32a)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30)의 걸림편(31)이 전화기 본체(10)상으로 돌출되었을 때, 후퇴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리브(32a)에 걸릴 수 있는 스토퍼(13)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내측면상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32a)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페이퍼 삽입구멍(14)을 통해 드라이버등으로 눌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소정의 홈(32b)이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elastic plate 32 of the holder 30 in place is formed with a protruding rib 32a protruding upwards, when the engaging piece 31 of the holder 30 protrudes onto the phone body 10.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without retreating, the stopper 13 which can be caught by the protruding rib 32a is protr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One side of the protruding rib 32a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groove 32b so as not to slip when pressed by a driver or the like through the paper insertion hole 14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홀더(30)의 각 텐션리브(33)의 외측면상에는 다수의 안착홈(33a)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12)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안착홈(33a)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홀더(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12a)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33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tension ribs 33 of the holder 30, and are selective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s 33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12. The projection 12a which can fix the position of 30 is formed.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장착된 홀더에 핸드셋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써, 상기 홀더(30)는 상기 후크(12) 사이에 삽입되어 전후로 가이드되며, 상기 홀더의 걸림편(31)은 상기 본체의 걸림편 관통구멍(11)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는 전화기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핸드셋(20)의 송화부에 형성된 걸림홈(21)에 걸릴 수 있는 걸림편(31)이 전화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이다.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set is fixed to the holder mounted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30 is inserted between the hook 12 is guided back and forth, The locking piece 31 of the holder is installed to protrude through the locking piece through hole 11 of the main body.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iece 31 that can be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21 formed in the talker of the handset 20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of the phone 10 in order to use the telephone for wall-mounting.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도로써, 상기 전화기를 탁상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30)의 걸림편(31)이 전화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6 is an operation diagram for flowing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use the phone for the table, the engaging piece 31 of the holder 30 protrudes out of the phone body 10 It should not be.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화기 본체(10)의 페이퍼 삽입구멍(14)에 드라이버등을 삽입하여 홀더(30)의 홈(32a)을 하측으로(도 6의 ①방향) 누르게 되면 상기 홀더(30)의 탄성 플레이트(32)는 하방향으로(도 6의 ②방향) 일정 텐션을 받으며 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 플레이트(32)의 돌출리브(32a)는 본체의 스토퍼(13)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전후로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홀더(31)를 도 6의 ③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홀더(30)의 걸림편(31)이 상기 본체(10)내로 삽입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a screwdriver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paper insertion hole 14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and the groove 32a of the holder 30 is pressed downward (1) in Fig. 6). The elastic plate 32 of the holder 30 is bent under constant tens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2 direction in FIG. 6). At this time, the protruding rib 32a of the elastic plate 32 is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13 of the main body, and the state is free to flow back and forth. At the same time, when the holder 31 is pushed in the direction ③ of FIG. 6 by using a screwdriver, the engaging piece 31 of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써, 이 상태는 전화기를 탁상용으로 사용할 때의 홀더(3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홀더(30)는 본체(10)의 걸림편 관통구멍(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홀더(30)의 텐션리브(33)에 형성된 안착홈(33a)에 상기 후크(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12a)가 삽입되므로써, 상기 홀더(30)의 위치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old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his state shows the position of the holder 30 when using the phone for the tabletop.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through-hole 11 of the main body 10, the hook 12 in the seating groove (33a) formed in the tension rib 33 of the holder (30) By inserting the projection 12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 the position of the holder 30 is firmly fix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지지장치는 전화기 본체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구성을 가지며, 별도의 지지수단없이 자유롭게 유동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전혀 받지 않으며, 조작하기 편리하고, 상기 홀더가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set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flows inside the main body of the phone, and can be freely flown and fixed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means, so that it is not restricted by space and is convenient to operat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to the holder is separated to the outside.

Claims (3)

벽걸이용으로 사용할때 전화기의 본체상에 핸드셋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핸드셋 지지장치에 있어서,In a handset support device that can hold the handset on the body of the phone when used for wall mounting, 상기 전화기 본체의 수화부 안착홈의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걸림편 관통구멍;A engaging piec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a receiver seating groove of the telephone body; 상기 걸림편 관통구멍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전화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는 걸림편을 구비한 홀더로 구성되며;A holder having a catching piec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frame so as to partially protrude into the catching piece through hole; 상기 홀더는,The holder, 상기 걸림편에서 연장된 판형의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에 텐션을 받도록 각각 텐션리브가 형성되며;Tension ribs are formed on the plate-shaped elastic plates extending from the engaging pieces, and tension ribs are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astic plates;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본체 내측면상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한쌍의 후크로 형성되고;The guide means is formed of a pair of hooks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홀더의 양 텐션리브가 상기 한쌍의 후크 사이에 끼워져 전후로 가이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And both tension ribs of the holder ar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oks and guided back and fort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의 판형 플레이트 적소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걸림편이 전화기 본체상으로 돌출되었을 때, 후퇴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리브에 걸릴 수 있는 스토퍼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면상에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The plate-shaped plate of the holder is formed with a protruding rib protruding upward, and when the engaging piece of the holder protrudes onto the telephone main body, a stopper that can be caught by the protruding rib to maintain the state without retreating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Handset support device for a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의 각 텐션리브의 외측면상에는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홀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핸드셋 지지장치.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each tension rib of the holder, and a handset supporting device for a phon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ok to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lder. .
KR2019980027477U 1998-12-30 1998-12-30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KR2002394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477U KR200239441Y1 (en) 1998-12-30 1998-12-30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477U KR200239441Y1 (en) 1998-12-30 1998-12-30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79U KR20000014179U (en) 2000-07-25
KR200239441Y1 true KR200239441Y1 (en) 2001-09-25

Family

ID=6950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477U KR200239441Y1 (en) 1998-12-30 1998-12-30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4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79U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441Y1 (en) Supporter for handset in telephone
NO20055904L (en) A system for storing objects
WO2021228049A1 (en) Moun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8300804B2 (en) Communication instrument mounting apparatus
US3480741A (en) Vertical hanging attachment for telephones
CN103906395B (en) Magnetic ring fix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with same
KR200210403Y1 (en) Apparatus for fixing cellular phone
CN217875189U (en) Supporting device and conference system
JPS60114054A (en) Table/wall hanging telephone set
CN210141453U (en) Wall-mounted device and wall-mounted electronic equipment
KR200190013Y1 (en) The combined use telephone of support structure
US3021396A (en) Auxiliary hanger for telephone handsets
KR101559239B1 (en) A holder for mobile device
JP2000134299A (en) Desk and wall-type member for device
KR200205593Y1 (en) A handset holder for wall mounted telephone
KR200180218Y1 (en) The device of fixed phone
KR200405572Y1 (en) a product assembly to be installed in bathroom
KR19990000898A (en) Wall and Table Phone Support
JPH0410720Y2 (en)
JPH0448037Y2 (en)
KR0119266Y1 (en) Pager
KR200377956Y1 (en) Gap compensation spacer for mounting psu on a keyphone main system
US7583799B2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e mounting apparatus
JP2002232156A (en) Onu stand
KR100247014B1 (en) Fixture device for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