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169Y1 -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 Google Patents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169Y1
KR200239169Y1 KR2020010009530U KR20010009530U KR200239169Y1 KR 200239169 Y1 KR200239169 Y1 KR 200239169Y1 KR 2020010009530 U KR2020010009530 U KR 2020010009530U KR 20010009530 U KR20010009530 U KR 20010009530U KR 200239169 Y1 KR200239169 Y1 KR 200239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timer
cover
attached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진
Original Assignee
김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진 filed Critical 김여진
Priority to KR2020010009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169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석의 후면을 제외한 3면상에 상부 및 하부커버들을 형성하고 동절기에 방식 사용자의 허벅지와 다리를 감싸줌으로서 보온 및 혈행촉진효과를 가지며 또한 타이머장치를 부착하여 수면시간을 설정함으로서 긴장되지 않은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어서 피로회복 및 학습능률을 제고할 수 있는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은, 방석(20)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결합부재(24,24a)가 형성되며 분리된 한 쌍의 상부커버(22,22a)가 구비되고, 방석(20)의 전면단부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면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각각의 단부에 결합부재(26a,26b)가 형성된 하부커버(26)가 구비되며, 방석(20)의 일측표면에 타이머(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Cushion attatched with warming covers and timer for instant sleeping}
본 고안은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석의 후면을 제외한 3면상에 상부 및 하부커버들을 형성하고 동절기에 방석 사용자의 허벅지와 다리를 감싸줌으로서 보온 및 혈행촉진효과를 가지며 또한 타이머장치를 부착하여 수면시간을 설정함으로서 긴장되지 않은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어서 피로회복 및 학습능률을 제고할 수 있는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에 관한 것이다.
방석은 푹신한 섬유질의 내장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한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경우에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인체에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부실한 난방장치로 인하여 야간에 교실이나 도서실등에서 공부하는 경우에 실내온도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서 추위를 느끼게 되므로 학습능률이 저하되고 신체에 질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학교의 교실, 도서실 또는 학원에서 공부하면서 보온과 안락함을 제공하는 방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방석(10)의 외관사시도로서, 평평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섬유질의 보온재가 구비되어 있다. 보온재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푹신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시간 방석(10)에 앉아 있어도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도 2는 종래 방석(1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8)의 착석위치에 방석(10)을 위치시키고 그 위에 사용자가 앉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석(1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의 힙(hip)부분과 주로 접촉되고 신체의 나머지 부분과는 접촉이 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동절기에 실내 기온이 하강하는 경우에 힙부분 이외에 다른 신체부위를 보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실내에서도 비교적 기온이 낮은 하부측에 위치하는 허리 아래부분이 저온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석을 사용하는 사용자 신체의 힙부분 이외에도 허벅지 및 다리를 보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방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석의 일측부에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서 단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기상시간을 인식할 수 있어서 긴장완화 및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방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은, 방석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분리된 한 쌍의 상부커버가 구비되고, 방석의 전면단부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면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각각의 단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하부커버가 구비되며, 방석의 일측표면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방석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석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석의 커버들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방석의 커버들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방석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커버가 접힌 상태에서의 방석의 외관사시도,
도 7은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석 12; 표면
14: 배면 18: 의자
20: 방석 22,22a: 상부커버
24,24a: 결합부재 26: 하부커버
26a,26b: 결합부재 30: 타이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석(20)에서 방석(20)의 3면에 부착되는 커버(22,22a,26)들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석(2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상부커버(2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면단부에는 하부커버(26)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2,22a)는 방석(20)의 측단부에 재봉 또는 지퍼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재봉에 의하면 내구성이 증대되는데 비하여 지퍼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절기에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부커버(22,22a)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을 덮은 후에 상부커버(22,22a)의 각각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부재(24,24a)애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4,24a)들은 매직테이프 또는 벨크로테이프 쌍이나 버클형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한 쌍의 상부커버(22,22a)를 이용하여 허벅지를 감싸는 커버를 구성하였으나, 일측단부에만 상부커버(22)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상부커버(22)의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여야 하지만 제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부커버(22,22a)의 사용상태가 후에 설명된다.
본 고안의 방석(20)에는 또한 하부커버(26)가 더 부착된다. 하부커버(26)는 방석(20)의 전단부에 일부분이 부착되며, 부착된 일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방석(20)의 전단부에 부착된 부분은 재봉 또는 지퍼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연장된 부분은 3면이 절개되어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하부커버(26)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부재(26a,26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26a,26b)들도 상부커버(22,22a)의 결합부재(24,24a)와 같이 매직테이프 또는 벨크로테이프 쌍이나 버클형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방석(20)의 상부커버(22,22a) 및 하부커버(26)들을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22,22a)들은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결합부재(24,24a)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 사용자의 허벅지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커버(26)들도 역시 내측으로 접혀지고 결합부재(26a,26b)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방석(20)에서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상부 및 하부커버들이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커버 또는 하버커버를 더욱 연장시킴으로서 무릎부분을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결합부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석(2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28)에 착석한 사용자의 힙부분에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방석(20)의 양측단부에 부착된 상부커버(22,22a)를 사용자의 허벅지 상부에서 결합시킴으로서 허벅지 부분의 보온을 유지한다. 또한 다리부분에는 하부커버(26)를 역시 결합부재(26a,26b)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서 보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절기에 실내온도가 낮아지더라도 허벅지 또는 다리 부분의 보온이 유지되기 때문에 한기를 피할 수 있으며, 커버들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의 혈액순환이 촉진되므로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 동안 의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방석(20)은 또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가수면을 취하는 경우에 가슴과 얼굴을 받쳐주는 쿠션역할을 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타이머(3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잠깐동안의 휴식시간에 가수면을 취할 때 다음 수업시간 전에 또는 자신의 학습진도에 맞추어서 일정한 시간의 가수면을 취한 후에 정확한 시간에 깨어나기 위하여 긴장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므로 수면의 효과가 반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충분한 수면이나 잠깐 동안의 수면에 의한 피로회복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수업시간이나 예정된 학습진도에 맞추기 위하여 긴장상태로 수면을 취하므로 학생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방석(20)에 구비되는 타이머(3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석(20)의 일측면분에 재봉질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시간조정용 키들과 숫자표시용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시간설정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수업시작시간 또는 학습진도에 따른 시간)등을 설정하고 방석(20)을 책상에 놓은 상태에서 가수면을 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설정된 시간은 '20분'으로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시간을 설정하고 방석(20)위에 엎드린 상태로 가수면을 취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타이머(30)가 부착된 부분의 하부에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접혀진 상태로서,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이 아니라 엎드리기 위하여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들을 접어서 정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리된 상부 및 하부커버들은 방석(20)의 저면부에 별도의 커버(미도시됨)를 구비하고 그 안에 삽입하거나 하여 수납할 수 있다.
타이머(30)는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를 수행한 후에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하여 음향신호로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통보한다.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인식하고 다음 수업을 준비하거나 또는 예정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타이머(30)에 의하여 예정된 시간후에 통보받을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함으로서 학습능률이 높하지고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하절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방석(20)의 상부 및 하부커버가 접혀져서 수납되므로 완충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방석의 후면을 제외한 3면상에 상부 및 하부커버들을 형성하고 동절기에 사용자의 허벅지와 다리를 감싸줌으로서 보온효과를 가지며 또한 타이머장치를 부착하여 수면시간을 설정함으로서 긴장되지 않은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어서 피로회복 및 학습능률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에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 하지 않는 범위안에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면,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방석(20)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결합부재(24,24a)가 형성되며 분리된 한 쌍의 상부커버(22,22a)가 구비되고, 방석(20)의 전면단부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면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각각의 단부에 결합부재(26a,26b)가 형성된 하부커버(26)가 구비되며, 방석(20)의 일측표면에 타이머(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
KR2020010009530U 2001-03-31 2001-03-31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KR200239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30U KR200239169Y1 (ko) 2001-03-31 2001-03-31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30U KR200239169Y1 (ko) 2001-03-31 2001-03-31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614A Division KR20010112163A (ko) 2001-11-06 2001-11-06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169Y1 true KR200239169Y1 (ko) 2001-10-11

Family

ID=730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530U KR200239169Y1 (ko) 2001-03-31 2001-03-31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1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054B1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S2697749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cuello, columna vertebral y médula espinal para bebé recién nacido y lactante, e instalación de manta para lo mismo
US20060075563A1 (en) Nursing aid
US5707031A (en) Arm support
KR200239169Y1 (ko)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KR100819945B1 (ko) 접이식 유아용 침대
KR100802997B1 (ko) 간이용 베개
KR20010112163A (ko) 보온커버 및 타이머가 부착된 방석
KR100889847B1 (ko) 에어 매트리스
CN209404213U (zh) 一种多功能婴儿垫
CN205285790U (zh) 用于促进肩颈健康管理的枕头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CN213721193U (zh) 一种新生儿舒适型水枕
CN218500327U (zh) 午睡枕
KR960000135B1 (ko) 사계절용 교체식침대
JP2008099941A (ja) うつ伏せ、仰向け、横向き枕。
KR200251327Y1 (ko) 복부와 허리부 보온을 위한 보온조끼
KR20090106027A (ko) 가슴 덮개 이불
CN209032946U (zh) 一种用于幼儿的病床防滑限位装置
KR20090009005U (ko) 유아용침구
KR200228112Y1 (ko) 어린이용 침구
KR200408171Y1 (ko) 허리벨트쿠션
CA2290164A1 (en) Mattress system with insertable inside panel
KR200219900Y1 (ko) 왕골돗자리로 형성된 유모차의 등받이시트
KR200341953Y1 (ko) 자석을 내장한 등받이 부착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