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139Y1 - 마스카라 용기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139Y1
KR200239139Y1 KR2020010005480U KR20010005480U KR200239139Y1 KR 200239139 Y1 KR200239139 Y1 KR 200239139Y1 KR 2020010005480 U KR2020010005480 U KR 2020010005480U KR 20010005480 U KR20010005480 U KR 20010005480U KR 200239139 Y1 KR200239139 Y1 KR 200239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scara
pressure
cont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20010005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139Y1/ko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카라 용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0) 안에 담겨 있는 마스카라 내용물(102)이 소비되는 양만큼 본체(110) 내부의 용적을 줄여 내용물(102)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마스카라 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마스카라 용기(100)는 마스카라 내용물(102)이 담긴 본체(110) 내부에 화장솔(142)을 설치하고, 화장솔(142)이 본체(110) 밖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화장솔(142)에 묻은 마스카라 내용물(102)을 사용하는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100)에 있어서, 본체(110)의 하단에 하단 본체(112)가 체결되고, 하단 본체(112)의 바깥쪽에 가압 받침(12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하단 본체(112)의 내부에 가압판(162)이 설치되고, 가압 받침(120)에 가압봉(122)이 형성되어 가압판(162)의 밑면에 접촉하며, 가압판(162)에 결합된 래치트 봉(140)이 본체(110) 내부로 연장되어 화장솔(142)과 결합되며, 본체(110)의 내주면과 래치트 봉(140)의 외주면 사이에 피스톤 조립체(150)가 설치되고, 가압 받침(120)을 위쪽으로 눌러 가압봉(122)이 가압판(162)을 밀어 스프링(16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래치트 봉(140)을 상승시키며, 래치트 봉(140)의 상승에 따라 피스톤 조립체(150)가 상승하면서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 저장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카라 용기 {Mascara Case}
본 고안은 마스카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카라 내용물이 소비되는 양만큼 용기 내부의 용적을 줄여 용기 안에 담긴 내용물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새로운 구조의 마스카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mascara)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서, 속눈썹을 짙고 길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칠하는 화장품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그 내용물이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쉽게 굳어 버리기 때문에, 원통 형상의 용기 안에 화장솔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두가지 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마스카라 용기(1)는 원통 형상의 본체(2)와, 본체(2)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6)으로 구성되며, 뚜껑(6)에 형성된 솔대(5) 끝에 화장솔(4)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개량한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10)는 원통 형상의 본체(20)와, 본체(20) 내부의 상부에 결합된 내용물 저장통(50)과, 본체(20)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30)와, 본체(20)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60)으로 구성된다. 회전체(30)의 상부면 중앙에는 끼움부(31)가 본체(20)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저장통(50) 하단에도 끼움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에 화장솔(40)이 구비된 솔대(41)는 저장통(50) 내부에 설치되며 저장통(50) 하단의 끼움부(53)를 관통하여 회전체(30)의 끼움부(31)에 끼워진다. 회전체(30)의 끼움부(31)에 끼워지는 솔대(41)의 하단부는 스크루(43)로 형성되며, 회전체(30)의 끼움부(31)와 저장통(50)의 끼움부(53) 사이에 위치한 솔대(41)의 중단부는 회전 방지부(44)로 형성된다.
회전체(30)와 본체(20)는 각각 환돌기(33)와 환홈(22)을 통하여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30)의 끼움부(31) 내부에는 솔대(41)의 스크루(43)와 접하는 안내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통(50)의 끼움부(53) 내측면(54)은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어 솔대(41)의 회전 방지부(44)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체(30)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지부(44)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면서 안내 돌기(32)에 의하여 스크루(43)가 상승하게 된다. 즉, 화장솔(40)은 저장통(50) 상단의 구멍(51)을 통하여 용기(10)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솔대(41)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42)이 저장통(50)의 구멍(51)을 막아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화장솔(40)이 용기(10) 외부로 나오더라도 저장통(5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은 항상 굳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1, 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1)는 화장솔(4)을 본체(2)로부터 완전히 빼낸 후 사용하는 것이므로, 화장솔(4)과 솔대(5)에 묻은 마스카라 내용물이 쉽게 굳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에 본체(2) 안에 담긴 내용물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의 마스카라 용기(10)의 경우, 저장통(50) 안에 담겨 있는 마스카라 내용물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이 저장통(50) 내부 벽에 고착된 상태로 그대로 남아 있어서(도 2A의 70) 결국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용기에 담긴 내용물 전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안에 담긴 마스카라 내용물 전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마스카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주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상단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하단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중단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최종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이 소비되는 양만큼 용기 내부의 용적을 줄여 용기 안에 담긴 내용물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마스카라 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 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의 주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카라 용기(100)는 마스카라 내용물(102)을 담고 있는 원통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 하단에 체결된 하단 본체(112)와, 하단 본체(112)의 바깥쪽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가압 받침(120)과, 본체(110)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130)으로 구성된다.
가압 받침(120)의 내부 바닥면에는 가압봉(122)이 형성되어 하단 본체(112)쪽으로 연장되고, 가압 받침(120)의 내벽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걸림턱(124)과 하부 걸림턱(126)이 형성된다 또한, 하단 본체(112)의 외벽 하부에도 걸림턱(113)이 형성되고, 하단 본체(112)의 바닥면에는 가압봉(12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평상시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은 가압 받침(120) 안에 끼워져 상부 걸림턱(124)에 걸려 있으며, 가압 받침(120)의가압봉(122)은 그 끝이 하단 본체(112)의 관통구멍 안에 끼워진 상태로 있다.
본체(110)와 하단 본체(112) 내부에는 래치트 봉(140)이 설치된다. 래치트 봉(140)의 상단부에는 화장솔(142)이 결합되어 본체(110)의 상부쪽에 위치하며, 래치트 봉(140)의 하단부는 하단 본체(112)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래치트 봉(140)의 표면에는 미세한 피치의 톱니(140a)들이 형성된다. 하단 본체(112)의 하부에는 가압판(162)이 설치되며, 래치트 봉(140)은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44)가 가압판(162)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164) 안에 끼워짐으로써 가압판(162)과 결합한다. 또한, 하단 본체(112)의 내부에는 스프링(160)이 설치된다. 스프링(160)의 양단은 각각 본체(110)의 바닥면과 가압판(162)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한편, 뚜껑(130) 안쪽에는 본체(110) 상단에 형성된 화장솔 입구(도 5A의 118)를 밀폐시키는 마개(132)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내주면과 래치트 봉(140)의 외주면 사이에는 피스톤 조립체(150)가 설치된다. 사용 초기에 피스톤 조립체(150)는 본체(110)의 바닥에 위치하며, 마스카라 내용물(102)은 피스톤 조립체(150) 위쪽의 본체(110) 내부 공간에 담기게 된다. 피스톤 조립체(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스톤(152), 제2 피스톤(154), 판 스프링(156)으로 구성된다. 피스톤 조립체(150)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마스카라 용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마스카라 용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100)의 상단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A는 뚜껑(도 3의 130)을 벗긴 상태를, 도 5B는 마스카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솔(142)을 꺼낼 때의 상태를, 도 5C는 마스카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솔(142)을 완전히 꺼낸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을 열면 화장솔(142)이 본체(110) 안에서 내용물(102) 속에 잠겨 있다. 본체(110)의 상단부는 뚜껑을 씌울 수 있게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본체(110) 상단부의 외벽에는 뚜껑을 회전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114)이 형성되며, 본체(110)의 상단에는 화장솔(142)을 꺼낼 수 있도록 화장솔 입구(118)가 형성된다. 또한, 화장솔 입구(118)에는 돌출턱(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턱(116)은 래치트 봉(14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146)과 관련하여 소정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5C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것이다.
도 5B는 마스카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솔(142)을 꺼낼 때의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트 봉(140)이 상승하면서 화장솔(142)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 때, 화장솔(142)에는 적정량의 내용물(102)이 묻어 화장솔(142)과 함께 본체(110)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110) 안의 내용물(102) 잔량은 도면에 x로 표시된 만큼 줄어들게 되고, 그 만큼 내용물(102) 상부면이 낮아져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내용물(102)의 상부면이 전혀 낮아지지 않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실제로 내용물(102)의 상부면은 전혀 낮아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래치트 봉(140)과 피스톤 조립체(도 7의 150)의 상호작용 때문으로서, 뒤에서다시 설명된다.
본체(110) 밖으로 화장솔(142)을 완전히 꺼낸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화장솔 입구(118)의 돌출턱(116)에 래치트 봉(140) 상단의 경사면(146)이 닿기 때문에 래치트 봉(140)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즉, 화장솔 입구(118)의 돌출턱(116)은 래치트 봉(140)의 멈춤턱 역할을 수행하며, 본체(110)를 밀폐해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102)을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도 6A 내지 도 6C의 작동 상태도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100)의 하단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설명은 래치트 봉(140)의 상승과 하강 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초기에는 하단 본체(112) 내부에 설치된 가압판(162)이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받아 하단 본체(112)의 바닥면까지 밀려 있다. 그에 따라, 가압 받침(120) 역시 하단 본체(112)의 하부쪽에 위치한다.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은 가압 받침(120) 안에 끼워져 상부 걸림턱(124)에 걸려 있으며, 가압 받침(120)의 가압봉(122)은 그 끝이 하단 본체(112)의 관통구멍 안에 끼워져 가압판(162)의 밑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있다. 한편, 본체(110)와 하단 본체(112) 사이에는 고무 패킹(111)이 개재된다.
마스카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받침(120)을 위쪽으로 누르면, 가압봉(122)이 가압판(162)을 밀면서 스프링(16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래치트 봉(140)을 상승시킨다. 계속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받침(120)이 본체(110)에 닿을 때까지 밀어 올리면, 가압 받침(120)의 하부걸림턱(126)이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을 넘으면서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이 하부 걸림턱(126)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160)은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되며, 도 5C의 화장솔(142)은 완전히 본체(110) 밖으로 꺼내진다.
반대로, 힘을 가하여 가압 받침(120)을 아래쪽으로 빼면 가압 받침(120)의 하부 걸림턱(126)이 다시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을 넘으면서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가압 받침(120)이 도 6A의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고 래치트 봉(140)이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도 7A 내지 도 7E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마스카라 용기(100)의 중단부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설명에서 래치트 봉(140)과 피스톤 조립체(150)의 작용이 명확해질 것이다. 래치트 봉(140)의 표면에는 미세한 피치의 톱니(140a)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 조립체(150)는 제1 피스톤(152), 제2 피스톤(154), 판 스프링(156)으로 구성되며, 제2 피스톤(154)의 안쪽 표면에는 몇 개의 톱니(154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피스톤(152)은 본체(110)의 내벽에 접하고 있고, 제2 피스톤(154)은 래치트 봉(140)의 표면에 접하면서 양쪽의 톱니(154a, 140a)가 서로 물려 있다. 제1피스톤(152)과 제2 피스톤(154)은 서로 체결되어 있다. 판 스프링(156)은 한쪽 끝이 제1 피스톤(152)과 제2 피스톤(154)에 끼워져 있고 다른쪽 끝이 본체(110)의 내벽에 접촉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조립체(150)는 사용 초기에 본체(110)의바닥에 닿아 있다. 그 후, 도 7B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카라를 사용하기 위하여(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솔(142)을 꺼내기 위하여) 래치트 봉(140)을 상승시키면(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받침(120)을 위쪽으로 누르면), 래치트 봉(140)과 제2 피스톤(154)의 톱니(140a, 150a)가 서로 물려 있기 때문에 피스톤 조립체(150)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피스톤 조립체(150)가 상승하면 그만큼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 저장공간의 용적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앞서 도 5B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했듯이, 본체(110) 안의 내용물(102) 잔량이 줄어들더라도 내용물(102)의 상부면은 전혀 낮아지지 않는다.
한편, 피스톤 조립체(150)의 상승 작용은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 압력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래치트 봉(140)이 피스톤 조립체(150)를 밀어 상승시키더라도 피스톤 조립체(150)는 본체(110)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 만큼만 상승하기 때문에 내용물(102)이 본체(110) 밖으로 넘치는 일은 없다. 도 5B에서 내용물(102)이 화장솔(142)에 묻어 배출됨으로써 생긴 본체(110) 상부의 공간(x)이 피스톤 조립체(150)의 상승에 의하여 없어지게 되면, 본체(1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다. 본체(1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조립체(15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스톤(152)이 본체(110) 벽쪽으로 밀리면서 래치트 봉(140)과 제2 피스톤(154)의 톱니(140a, 154a)가 서로 이탈되어 래치트 봉(140)만 상승하고 피스톤 조립체(150)는 제자리에 있게 된다.
한편, 마스카라 사용 후 래치트 봉(140)을 하강시킬 때는 피스톤 조립체(150)가 래치트 봉(140)과 함께 하강하지 않는다. 도 7E를 참조하면, 래치트봉(140)과 제2 피스톤(154)에 형성된 톱니(140a, 154a)의 경사각 때문에 래치트 봉(140)은 쉽게 아래쪽으로 빠질 수 있지만, 피스톤 조립체(150)는 판 스프링(156)의 경사각 때문에 본체(110) 내벽에 밀착한 상태에서 더 이상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마스카라의 사용이 반복될 때마다 피스톤 조립체(150)는 소정의 피치만큼씩 상승하면서 내용물 저장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조립체(150)는 본체(110) 내부의 상단부까지 상승하여 본체(110) 내부에 담긴 마스카라 내용물(102)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카라 용기는 내용물이 소비되는 양만큼 피스톤 조립체가 상승하여 용기 내부의 용적을 줄이기 때문에 용기 안에 담긴 내용물을 전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품의 수명이 증가하고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마스카라 내용물(102)이 담긴 본체(110) 내부에 화장솔(142)을 설치하고, 상기 화장솔(142)이 상기 본체(110) 밖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화장솔(142)에 묻은 마스카라 내용물(102)을 사용하는 종래의 마스카라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 하단 본체(112)가 체결되고, 상기 하단 본체(112)의 바깥쪽에 가압 받침(12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하단 본체(112)의 내부에 가압판(162)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 받침(120)에 가압봉(122)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162)의 밑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판(162)에 결합된 래치트 봉(140)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화장솔(142)과 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과 상기 래치트 봉(140)의 외주면 사이에 피스톤 조립체(150)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 받침(120)을 위쪽으로 눌러 상기 가압봉(122)이 상기 가압판(162)을 밀어 상기 스프링(16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상기 래치트 봉(140)을 상승시키며, 상기 래치트 봉(140)의 상승에 따라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가 상승하면서 상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 저장 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받침(120)의 내벽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걸림턱(124)과 하부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 본체(112)의 외벽 하부에 걸림턱(113)이 형성되고, 사용 초기에 상기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은 상기 가압 받침(120) 안에 끼워져 상기 상부 걸림턱(124)에 걸려 있으며, 상기 가압 받침(120)을 위쪽으로 눌러 상기 본체(110)에 닿게 하면, 상기 하단 본체(112)의 걸림턱(113)은 상기 하부 걸림턱(126)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용기(100).
KR2020010005480U 2001-02-28 2001-02-28 마스카라 용기 KR200239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480U KR200239139Y1 (ko) 2001-02-28 2001-02-28 마스카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480U KR200239139Y1 (ko) 2001-02-28 2001-02-28 마스카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139Y1 true KR200239139Y1 (ko) 2001-09-26

Family

ID=7306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480U KR200239139Y1 (ko) 2001-02-28 2001-02-28 마스카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1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301A1 (en) * 2003-10-06 2005-04-14 Young-Yug Kim Ascent and descent type mascara
KR200461892Y1 (ko) * 2009-12-11 2012-08-13 (주)아모레퍼시픽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301A1 (en) * 2003-10-06 2005-04-14 Young-Yug Kim Ascent and descent type mascara
KR200461892Y1 (ko) * 2009-12-11 2012-08-13 (주)아모레퍼시픽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891B1 (en) Structure of a make-up pen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JP3624189B2 (ja) 物質特に液体リップスティックをパッケージングし分与する装置
KR200416565Y1 (ko) 겔상 화장조성물 용기
KR102131199B1 (ko) 화장품 용기
KR200393383Y1 (ko) 립스틱 케이스
CN215382053U (zh) 推压式重填型化妆品容器
KR101146213B1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JP4679446B2 (ja) マスカラ容器とアプリケータとの組み立て部品及びこの化粧への適用方法
KR200370575Y1 (ko)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US7255510B2 (en) Rotating dispenser for liquid cosmetics
KR200239139Y1 (ko) 마스카라 용기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130877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US5201809A (en) Applicator for cosmetics
KR102281200B1 (ko) 리필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0571507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210158272A (ko) 내용물 용기
KR200239128Y1 (ko) 마스카라 용기
KR200297638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10005880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200367724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KR200288441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H0637772Y2 (ja) 液体化粧料等の収納容器
KR200492636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고밀도 액상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