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19Y1 -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19Y1
KR200238919Y1 KR2020010002508U KR20010002508U KR200238919Y1 KR 200238919 Y1 KR200238919 Y1 KR 200238919Y1 KR 2020010002508 U KR2020010002508 U KR 2020010002508U KR 20010002508 U KR20010002508 U KR 20010002508U KR 200238919 Y1 KR200238919 Y1 KR 200238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attached
attachment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일
Original Assignee
손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일 filed Critical 손영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19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자석을 이용하여 옷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옷감에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되는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는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재(50)와 의복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부재와 부착되는 외측부재(60)를 포함하고, 내측부재 및 외측부재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를 구비하는데, 내측부재 및 외측부재의 자력부착부는 자석 및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양측 자력부착부가 모두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측부재의 후면에는 핀을 설치하여 부착구를 옷감에 착용할 때 자석과 핀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는 핀을 사용하지 않고도 부착구를 옷에 착용할 수 있어 옷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구를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구의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단지 자석과 자성체를 붙였다 떼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서 부착구의 부착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ATTACHMENT DEVICE FOR CLOTH USING MAGNET}
본 고안은 의복용 부착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옷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에는 장신구나 명찰, 배지와 같은 다양한 물품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중 장신구는 인간의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주로 여성에 의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명찰이나 배지 또한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지위를 표시하기 위해서 학교, 군대와 같은 단체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현재 흔히 사용되는 부착구는 핀을 이용해서 옷감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부착구를 옷감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구에 달려있는 핀을 꽂아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렇게 핀을 이용해서 장신구나 명찰과 같은 부착구를 옷감에 결합하게 되면 옷감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더구나, 여러 종류의 부착구를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핀을 자주 꽂는 부위에는 옷감에 핀을 사용한 흔적이 많아져서 보기 흉하게 되며, 옷감의 올이 빠져서 결국 비싼 값을 주고 구입한옷을 망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핀을 이용해서 부착구를 옷감에 부착하는 과정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되며, 부착구를 일단 착용한 후 착용부위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에는 부착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다시 핀을 해제하고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부착구 착용부위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석을 이용하여 옷감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자석부와 장신구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자석부와 장신구부가 옷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내측부재와 외측부재가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석부 12..자석 14..자석 덮개
20, 40..장신구부 22, 42..장신구 몸체 24, 62..자성체
26, 76..홈 50..내측부재 52..내측자석
56..가이드 홈 60..외측부재 66..외측자석
78..핀 79..핀 고정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는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재(50); 및 의복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부재와 부착되는 외측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의 자력부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성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 모두의 자력부착부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양측 자력부착부의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는 의복에 부착하기 위한 핀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에는 각각 소정 위치에 가이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서로 부착될 때 부착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신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인 장신구는 대략적으로 자석부(10)와 장신구부(20)로 나뉘어 진다. 여기서, 자석부(10)는 의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장신구부(20)는 의복의 외부에 배치되어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복의 외부에 자석부와 장신구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의복의 내부에는 자석부 대신 자성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자석을 설치하여 보다 강한 자력에 의해 부착구를 부착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석부(10)는 자석(12)과 자석(12)의 측면 및 후면을 덮는 자석 덮개(14)로 이루어지며, 자석(12)과 자석 덮개(14)는 접착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서로 단단히 부착된다. 본 고안에서 자석(12)은 가장 흔한 형태인 원판형 형상을 가지며, 자석 덮개(14) 또한 이에 대응하는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석(12) 및 자석 덮개(14)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형태라도 가능하다. 자석 덮개(14)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자석(12)을 보호함과 동시에, 자석(12)의 자기력이 불필요한 방출되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장신구부(20)는 장신구 몸체(22)와 장신구 몸체(22)의 후면에 형성되어 자석(12)의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성체'란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말한다. 장신구 몸체(22)는 장신구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성체(24)는 또한 특정한 형태나 재료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체적인 외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자석(12)과의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석부(10)와 장신구부(20)가 실제 옷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서 자석부(10)와 장신구부(20)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서로 부착될 때에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옷감(30) 위에서 자석부(10)와 장신구부(20)의 부착 위치를 결정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서 자석부(10)의 자석(12)과 장신구부(20)의 자성체(24)를 서로 자성에 의해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자석부(10)는 옷감(30)의 안쪽에 배치되며 장신구부(20)는 옷감(3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옷감(30)은 여러 겹의 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석(12)과 자성체(24)가 부착되는 위치에서 옷감(30)은 약간 밀착되는 형태가 되며, 이는 장신구가 부착 이후에 옷감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자성체(24)는 장신구 몸체(22)의 후면에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장신구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신구 몸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석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장신구 몸체(22)에 소정 형상의 홈(26)을 형성하고, 그 홈(26)에 자성체를 삽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성체(24)를 장신구 몸체(22)의 후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장신구를 옷에 부착할 때 장신구 몸체(22)가 전체적으로 옷감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보다 뛰어난 외관을 보여주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의복용 부착구로서 일반적인 명찰 또는 이름표를 한 예로써 사용하였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자석이 의복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의복용 부착구는 참조번호 40으로 일반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 의복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의복용 부착구(40)는 내측부재(50)와 외측부재(60)로 이루어진다. 외측부재(60)는 의복의 외측에서 남이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장신구, 명찰 등으로 사용되며, 내측부재(50)는 이러한 외측부재(60)를 의복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측부재(50)에는 내측자석을 구비한 자력부착부(52)가 설치되며, 내측부재(50)에 설치된 자력부착부(52)는 이하에서 '내측자석'으로 명명한다. 내측부재(50)에는 또한 외측부재(60)와 부착되는 방향에서 내측자석(52)이 해당하는 위치에 내측자석용 홈(54)이 형성된다. 내측자석용 홈(54)은 내측자석(52)의 자력을 여과 없이 전달하여 보다 강한 자기력을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내측자석(52)은 내측자석용 홈(54)에 접착 또는 클램핑 등의 방식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외측부재(60)는 의복의 외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구 자체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부착구가 명찰로 사용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므로, 외측부재(60)가 사용자의 신분을 적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부재(60)는 다른 사람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므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외측부재(60)에는 내측자석(52)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가 형성되며, 자력부착부는 자성체가 될 수도 있고 영구자석이 될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자력부착부가 자성체(62)와 외측자석(66)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예가 본 고안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외측부재(60)에는 자성체(62)가 설치되며, 내측부재(50)와 부착되는 방향에서 자성체(62)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내측부재(50)의 내측자석(52)과 보다 강한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자성체용 홈(64)이 형성된다. 자성체(62)도 또한 자성체용 홈(64)에 접착 또는 클램핑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자성체(62)에는 또한 별도의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성체(62)에 설치되는 자석은 내측부재(50)의 내측자석(52)과 구별하기 위해 외측자석(66)이라 명명한다. 외측자석(66)의 설치를 위해서 자성체(62)에는 외측자석용 홈(6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자석(66)은 내측자석(5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측자석(52)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외측자석(66)을 설치하게 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부착구는 내측 및 외측자석(52, 66)의 자력에 의해서 의복을 사이에 두고 보다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외측부재(60)의 가장 바깥쪽, 즉 다른 사람에게 식별되는 위치에는 노출판(70)이 설치된다. 노출판(70)의 바깥 표면에는 사용자의 신분 등이 기록된다.
본 변형예에서 내측자석(52)과 외측자석(66)은 한 쌍의 원판형 소형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자석은 크기에 따라서 가격이 결정되므로, 원판형 소형 자석은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판형 자석을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은, 본 변형예의 부착구가 의복에 부착될 때 부착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자성체가 외측부재(60)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내측부재(50)에 자성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측부재(50)와 외측부재(60)는 서로 부착되는 위치에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홈(5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72)와 가이드 홈(56)은 내측부재(50)와 외측부재(60)가 서로 부착될 때 서로 적절한 위치에서 부착되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도면에서는 내측부재(50)에 가이드 홈(56)이 형성되고 외측부재(60)에 가이드 돌출부(7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어느 특정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는 외측부재(60)의 안쪽면, 즉 의복과 접촉하는 부분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예에서 외측부재(60)의 자성체(62)에는 소정 크기 및 형상의 홈(76)이 형성되며, 이 홈(76)의 내부에 공지된 형상의 핀(78)이 설치된다. 상기 홈(76)은 자성체(62)의 일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자성체(62)에서 홈(76)에 해당하는 영역에 구멍을 뚫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핀(78)은 핀 고정구(79)에 의해서 일부가 외측부재(6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상기 핀(78)은 핀 고정구(79)에 의해서 회전하여 홈(76) 바깥으로 돌출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착구는 자석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핀에 의해서도 옷에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는장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비록 장신구 및 명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의 기술은 옷에 부착되는 다른 여러 가지 용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를 사용할 경우, 핀을 사용하지 않고도 부착구를 옷에 부착할 수 있어 옷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구를 의복에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구의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단지 자석과 자성체를 붙였다 떼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서 부착구의 부착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Claims (4)

  1.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재(50); 및
    의복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부재와 부착되는 외측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의 자력부착부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 모두의 자력부착부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양측 자력부착부의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는 의복에 부착하기 위한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 및 상기 외측부재에는 각각 소정 위치에 가이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서로 부착될 때 부착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KR2020010002508U 2000-11-15 2001-02-02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KR2002389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10U KR200240089Y1 (ko) 2000-11-15 2000-11-15 자석 부착식 장신구
KR2020000031910 2000-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19Y1 true KR200238919Y1 (ko) 2001-10-25

Family

ID=730625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10U KR200240089Y1 (ko) 2000-11-15 2000-11-15 자석 부착식 장신구
KR2020010002508U KR200238919Y1 (ko) 2000-11-15 2001-02-02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10U KR200240089Y1 (ko) 2000-11-15 2000-11-15 자석 부착식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400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05B1 (ko) 2007-12-17 2008-04-25 주학식 의류용 장신구
KR20220045355A (ko) * 2020-10-05 2022-04-12 조양호 자석 클립형 패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05B1 (ko) 2007-12-17 2008-04-25 주학식 의류용 장신구
KR20220045355A (ko) * 2020-10-05 2022-04-12 조양호 자석 클립형 패치
KR102536714B1 (ko) * 2020-10-05 2023-05-24 조양호 자석 클립형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089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126B1 (en) Magnetic force eyeglass holder
US20230172295A1 (en) Magnetic button adapte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5974634A (en) Decorative multi-use magnetic buttons
US7914143B2 (en) Interchangeable charm system for glasses
CA2284650C (en) Magnetic attachment device
US20080023508A1 (en) Holder for attaching items to clothing
US11067827B2 (en) System to secure glasses to hat
US20120180522A1 (en) Magnetic Interchangeable Jewelry
US11696634B2 (en) Carrier, magnetically attachable to garment
US9936752B2 (en) Clothing personalization technologies
KR200238919Y1 (ko) 자석을 이용한 의복용 부착구
US6557377B1 (en) Magnetically secured jewelry display frame
JP2021534838A (ja) ラゲッジ及びバック用のジッププラー保持装置
US20230263291A1 (en) Ret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90053586A1 (en) Removably attachable jewelry ornament for a bracelet substrate
KR101954094B1 (ko) 패용이 용이한 배지
US10849381B2 (en) Removable button with magnetic disc insert assembly
KR200193558Y1 (ko) 자석식 장식부재
KR100734502B1 (ko) 명찰 부착구를 갖는 상의
KR200157277Y1 (ko) 자석식 장신구의 장식판착탈구조
JP2546966Y2 (ja) 磁石イヤリング
KR2004078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의류용 자석 부착구
JP2017086618A (ja) 装身具
JPH10327917A (ja) 装身具などの係止装置
JP3187202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