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738Y1 -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 Google Patents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738Y1
KR200238738Y1 KR2020010008142U KR20010008142U KR200238738Y1 KR 200238738 Y1 KR200238738 Y1 KR 200238738Y1 KR 2020010008142 U KR2020010008142 U KR 2020010008142U KR 20010008142 U KR20010008142 U KR 20010008142U KR 200238738 Y1 KR200238738 Y1 KR 200238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afety cap
gas container
container
residu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주) 코니웰 com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니웰 com filed Critical (주) 코니웰 com
Priority to KR2020010008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738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잔여가스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일회용 부탄가스용기는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된 후 미량의 잔여 가스가 잔존된 채 폐기되어 소각시에 화재나 화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위험성을 초래하며 잔여 가스가 잔존된 채 버려져 분리 수거 재활용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내의 잔여가스를 유출시키려면 못이나 칼을 용기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여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돌출된 분출관 보호를 위해 제공되는 안전캡 내부에 배출장치를 형성 제조하여 제공하면 사용자가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안전캡 내부 내벽에 위치된 누름판(40)을 손가락으로 회동시켜 고정시킨다음 안전캡을 닫으면 누름판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어 잔여가스를 전부 유출시킬 수 있다. 잔여가스 유출후 폐 가스 용기와 안전캡을 각각 분리 수거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잔여가스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Safe-cap of which butane-gas tool for one tine is formed residual discharge equipment.}
본 고안은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탄가스 용기 안에 남아있는 잔여가스를 제거해야만 분리 수거 재활용이 가능하고 화재나 화상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스용기 안전캡(10) 내부에 배출장치를 형성 제조하여 유통시키면 일회용 부탄가스를 사용한 후 가스용기의 안전캡(10) 내부 내벽에 위치된 누름판(40)을 손가락으로 회동시켜 고정시킨다음 안전캡을 닫으면 누름판(40)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어 잔여가스를 전부 유출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그대로 폐기하거나, 못이나 칼을 용기 측면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여 잔여가스를 처리함으로써 불편하고 인체에 손상을 주는 등 위험성을 초래하였고, 도구와 용기의 마찰로 부탄가스 용기가 폭발하는 등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 특성상 야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회용 부탄가스는 사용 후 구멍을 뚫을 만한 마땅한 기구가 없어서 구멍을 뚫지 않고 대부분 그냥 버리고 있는 실정으로 쓰레기 소각시에 잔여가스의 압력 상승으로 폭발하여 화재나 화상을 입는 등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잔여가스가 처리가 안된 상태로 분리 재활용을 함으로써 재활용업체에서 수거하기를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 안전캡(10) 내부에 배출장치를 형성하여 제조, 유통시키면 각 가정이나 음식점 또는 야외에서 일회용 부탄가스를 사용한 후 잔여가스 처리에 있어서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처리하던 것을 안전캡(10) 내부 내벽에 위치된 누름판(40)을 손가락으로 회동시켜 고정시킨 다음 안전캡(10)을 닫으면 누름판(40)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어 잔여가스를 전부 유출시키므로써 가스용기 소비자가 직접 잔여가스를 배출 처리 할 수 있어 가스용기 사용자의 의무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어 편리하다. 본 고안은 안전캡 제조시 한번의 공정으로 배출장치가 완성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스용기 생산 자동라인에서 결합되어 가스용기의 안전캡 내부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가스용기 외관상 심플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므로 잔여가스 처리 후 분리수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 1은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돌출된 분출관 보호용 안전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으로 잔여가스를 유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전캡 15. 지지대
20. 고정턱 25. 배출구멍
30. 체결턱 35. 체결홈
40. 누름판 45. 분출관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가스용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부탄가스용기는 사용된 후에 미량의 잔여가스가 잔존된 채 버려져 소각시에는 화재나 화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서 위험성을 초래하며 잔여가스가 잔존된 채 버려져 분리 수거 재활용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내의 잔여가스를 유출시키려면 못이나 칼을 용기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여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돌출된 분출관(45) 보호를 위해 안전캡(10)이 제공되는데 이 안전캡(10) 내부에 배출장치를 형성 제조하여 제공하면 사용자가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안전캡(10)내부 내벽에 위치된 누름판(40)을 손가락으로 회동시켜 고정시킨다음 안전캡(10)을 닫으면 누름판(40)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어 잔여가스를 배출시키고 가스통 용기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돌출된 분출관 보호용 안전캡을 도시한 것으로서, 안전캡(10)은 유통과정에서나 각 가정에서 부탄가스 용기나 스프레이 가스용기의 가스 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용기 제조자가 제공하는 것으로 부탄가스 용기와 이탈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턱(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체결턱(30)이 가스용기 상단 분출관 외측홈(35)에 고정된다. 안전캡(10) 내부는 빈 공간으로 분출관(45) 보호용도로만 쓰이고 있으며 이점에 착안하여 안전캡 내부 빈 공간 내벽에 배출장치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의 종단면도로써 안전캡(10) 내부 내벽에 지지대(15)가 형성되고, 지지대 한쪽에 눌림판(40)이 지지대(15)와 연결되어 내벽에 위치하며 누름판(40) 중앙에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분출관(45)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통과하게 하고 안전캡 상단 중앙에도 배출구멍(25)이 형성되어 안전캡(10) 내의 배출가스를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으로 잔여가스를 유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안전캡(10) 내부 내벽에 위치한 누름판(40)을 손가락으로 회동시키면 반대편 지지대(15)에 형성된 고정턱(20)이 누름판(40)을 고정시켜주고 안전캡(10)을 폐가스용기 외측 체결홈(35)에 끼우면 누름판(40)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여 잔여가스가 유출된다. 잔여가스를 안전캡 밖으로 유출시킬수 있도록 누름판 중앙과 안전캡 상단에 배출구멍(25)이 형성되어 잔여가스를 전부 유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의 배면도로서,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분출관 보호용 안전캡(10) 내부에 배출장치가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안전캡(10)을 빼고 닫기 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안전캡 탈착시 안전캡을 두 손가락으로 누르면 안전캡의 얇은 부분이 안쪽으로 눌리게 되어 탈착하기 편리하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 이외에도 헤어 스프레이용기, 폐인트 스프레이용기 등에 적용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잔여가스를 배출할 수 있어 불의에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에 미량의 잔여가스가 잔존된 상태로 처리되어 화재나 화상 등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그러므로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가스용기 안전캡(10)내부에 형성되어 유통,판매되면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를 사용한 후 안전캡(10) 내부에 있는 배출장치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가스용기 소비자가 직접 잔여가스를 배출 처리 할 수 있어 가스용기 사용자의 의무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공정으로 배출장치가 완성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을 할 수가 있어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돌출된 분출관(45) 보호용 안전캡(10)에 있어 안전캡 내부 내벽에 잔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누름판(40)을 형성하여 일회용 부탄가스를 사용한 후 잔여가스 처리에 있어 소비자가 안전캡(10) 내부에 있는 누름판(40)을 회동시켜 반대편 지지대에 고정시킨다음 안전캡을 닫으면 안전캡 체결턱이 가스용기 체결홈에 고정되고 누름판(40)이 분출관(45)을 누르게 되어 잔여가스를 유출시킬수 있으며 누름판 중앙과 안전캡 상단에 배출구멍(25)이 형성되어 유출된 잔여가스를 밖으로 배출시킬수 있는 일회용 부탄가스 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KR2020010008142U 2001-03-23 2001-03-23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KR200238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142U KR200238738Y1 (ko) 2001-03-23 2001-03-23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142U KR200238738Y1 (ko) 2001-03-23 2001-03-23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738Y1 true KR200238738Y1 (ko) 2001-10-10

Family

ID=7309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142U KR200238738Y1 (ko) 2001-03-23 2001-03-23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7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81B1 (ko) * 2006-04-17 2007-03-28 손인찬 조직적 인터넷망 인프라를 활용한 그리드 도너 확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381B1 (ko) * 2006-04-17 2007-03-28 손인찬 조직적 인터넷망 인프라를 활용한 그리드 도너 확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23231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скрытия
KR200238738Y1 (ko) 일회용 부탄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가 형성된 안전캡
CN205435924U (zh) 一种文件销毁碎纸机
EP1406041A3 (fr)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cartouche perforable
JP2004075124A (ja) ガス抜き機能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KR100642717B1 (ko) 잔류가스제거장치가 구비된 부탄가스용기
KR200235816Y1 (ko) 일회용 가스용기의 잔여가스 배출장치
KR200173356Y1 (ko) 가스용기의 잔류가스제거용캡
CN200995159Y (zh) 一种碎纸机的安全装置
KR101614784B1 (ko) 화재 방지 기능을 가지는 가스캔 처리장치
CN212062238U (zh) 一种开关的反自锁结构
CN202940149U (zh) 一种应急开关保护装置
KR200398696Y1 (ko) 소형 가스용기의 천공장치
KR200179803Y1 (ko)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KR200171394Y1 (ko) 잔여가스 제거용 돌침이 내장된 일회용 가스용기 캡
KR20000072685A (ko) 안전 가스용기
KR200198338Y1 (ko) 가연성 고압가스용기의 잔류가스 배출공 천공핀
CN2844048Y (zh) 一种灭火器喷嘴保险护罩
KR200404393Y1 (ko) 잔존가스 폐기가 용이한 가스 용기용 안전캡
KR200267711Y1 (ko) 다용도 캔 천공기
KR950005615Y1 (ko) 휴대용 액화충전용기의 폐기처분 안전핀
KR200166319Y1 (ko) 가연성액화연료용기천공기
KR200182999Y1 (ko) 잔류가스 제거용 부재가 설치된 가스용기
KR20040087822A (ko) 부탄개스통 및 스프레이 빈용기 구멍내는 기구
KR19980032382U (ko) 잔가스 제거 송곳이 달린 휴대용 가스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