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435Y1 -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35Y1
KR200238435Y1 KR2020010009325U KR20010009325U KR200238435Y1 KR 200238435 Y1 KR200238435 Y1 KR 200238435Y1 KR 2020010009325 U KR2020010009325 U KR 2020010009325U KR 20010009325 U KR20010009325 U KR 20010009325U KR 200238435 Y1 KR200238435 Y1 KR 200238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ixing part
holder
motor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3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민웅
Original Assignee
오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웅 filed Critical 오민웅
Priority to KR2020010009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35Y1/en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제의 낭비를 최소화 하면서, 향의 농도를 일정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향기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향기 발산장치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의해 씌어지며, 저면과, 상기 저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저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고정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방향제를 착탈식으로 수용하며 상기 제 1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방향제 홀더와, 상기 제 2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제 홀더를 향하도록 배치된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grance dissipat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constantly while minimizing waste of fragrance. The fragrance dissip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by a li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nd the li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econd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ttom and a fragrance which is detachably received, and an aromatic hold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 motor portion detachably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a fan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disposed to face the perfume holder.

Description

향기 발산장치{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Aroma Dissipation Device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본 고안은 향기 발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방향제 홀더와 모터부 및 팬을 설치하여 송풍에 의해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 발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for emitting fragrance by blowing air by installing a fragrance holder, a motor unit and a fan for accommodating fragrance in the main body.

종래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나 냄새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장소인 호텔, 음식점, 공중화장실, 등의 곳에서는 향기 발산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향기 발산장치의 유형으로는 액체 향을 수용하는 본체가 마련되고 그 본체의 상부에 구멍이 형성된 뚜껑이 마련되어 그 뚜껑의 회전 량에 따라 구멍의 개, 폐 정도를 결정하여 구멍을 통해 향이 발산되게 한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본체 내에 수용된 액체 향이 개, 폐된 구멍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짧은 거리로만 발산된다. 이와 같은 향기 발산장치는 본체내의 액체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실내의 향 밀도가 높아져 쾌적함 대신 불쾌감을 줄 수 있었고 또 본체내의 액체 향이 모두 발산되면 그를 폐기처분 하고 다른 향 발산 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출원번호 제1999-458199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향기 발산제가 사용되었다. 도 1은 상기 특허 출원의 향기 발산제를 도시한 것으로, 저부에 접착층(21)이 마련되고 그 상부에 향을 흡수한 흡습제(22)가 마련되며 이 흡습제(22)의 상면에 박리가(23)가 부착된 향 발산제(20)가 케이스 내에 다수개 포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향 발산제(20)는 필요한 곳에 향 발산제(2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케이스(24)로부터 하나의 향 발산제(20)를 인출해낸 다음 저부에 형성된 접착층(21)을 선택된 곳에 접착시킨 후 박리지(23)를 박리 시키면 향을 흡습한 흡습제(22)로부터 향이 발산되도록 되어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perfume emitting device has been widely used in places such as hotels, restaurants, public toilets, and the like, which are used by many people or places affected by odors. Among them, a type of fragrance dispersing device which is generally used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accommodating liquid aroma and a lid formed with a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lid. There is something that causes the fragrance to emanate through the hole. However, such a device emits only a short distance continuously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of the liquid odor contained in the main body. Such fragrance dissipation device is dissipated continuously because the liquid fragrance in the main body is continuously dissipated, which can give a sense of discomfort instead of comfort. Caused. 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alleviate this problem, a fragrance divergent as shown in Patent Application No. 1999-458199 has been used. FIG. 1 illustrates a fragrance diverging agent of the patent application, in which an adhesive layer 21 is provided at a bottom thereof, and an absorbent 22 absorbing aroma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eeling agent 23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bsorbent 22. The fragrance emanating agent 20 with) is packaged in a plurality of cases. The fragrance diverging agent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pulls out one fragrance diverging agent 20 from the case 24 in order to attach the fragrance diverging agent 20 to the place where necessary, and then the adhesive layer 21 formed at the bottom is selected. When the release paper 23 is peeled off after adhesion, the fragrance is released from the moisture absorbent 22 which absorbs the fragrance.

그러나 상기한 향기 발산제(20)는 사용 및 휴대가 용이하고 제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실내의 향 밀도 향상으로 인한 불쾌감과 향의 낭비원인은 동일하였다.However, the fragrance emanating agent 20 has the advantage of easy to use and carry and simple to manufacture, but also because the odor is emanating continuously, the cause of discomfort and waste of scent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fragrance density of the room was the same.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향제의 낭비를 최소화 하면서 향의 농도를 일정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향기 발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 fragrance dissipat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fragrance while minimizing the waste of fragrance.

도 1은 종래의 향기 발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ragrance emanation device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향기 발산장치의 결합 사시도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동작 설명도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본체 32: 홀더 고정부30: main body 32: holder fixing portion

40: 방향제 홀더 44,46: 돌출부40: perfume holder 44,46: protrusion

50: 방향제 60:모터부50: air freshener 60: motor portion

64: 팬 66:모터64: fan 66: motor

70: 뚜껑 72,73: 통풍구멍70: lid 72,73: ventilation hole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향기 발산장치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의해 씌어지며, 저면과, 상기 저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저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고정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방향제를 착탈식으로 수용하며 상기 제 1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방향제 홀더와, 상기 제 2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제 홀더를 향하도록 배치된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li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 first fixing part formed by the lid, and having a bottom face and one end of the bottom face, and the first fixing part. A fragrance holder detachably accommodating a main body portion and an air freshener having a second fix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and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detachable to the second fixing part. And a fan connected to the motor unit, the fan being fixed to the air freshener holder.

상기 구성에서 방향제 홀더는 저면으로 부터 직립 형성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과 각 격벽의 상단부로 부터 좌, 우로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방향제를 유지 시키기 위한 날개부와 상기 틀체의 일면에 외향으로 돌출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grance holder in the configuration is a frame body formed upright from the bottom,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 partitioning the frame and left and right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partition wall to maintain the fragrance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ng for protruding and protrud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또한 제 1고정부는 상기 저면의 양측부로 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2고정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평탄면과, 상기 각 평탄면에 상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홈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 1고정부는 상기 저면의 양측부로 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 2고정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평탄면과, 상기 각 평탄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식으로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홈을 구비하도록 형성 될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a pair of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formed upward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formed upwardly on each of the flat surfaces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protrusions.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t least one groove formed to be. In contrast, the first fixing part has a pair of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flat surfaces to be combined with the protrusions. It may be formed to have a groove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by sliding.

또한 모터부는 전원을 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상기 모터부에 전원을 연결해주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tor unit preferably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a switch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unit.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향기 발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erfume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향기 발산장치는 본체부(30)와, 방향제(50)를 수용하며 본체부(30)에 결합되는 방향제 홀더(40)와, 본체부(30)에 결합되는 모터부(64)와, 본체부(30)에 결합되어 본체부(30)와 결합된 방향제 홀더(30) 및 모터부(60)를 보호하기 위한 뚜껑부(70)로 구성된다. 본체부(30)는 정방향의 저면(31)과 저면(31)의 가장 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고정부(32)와 상기 제 1고정부(32)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 2고정부(38)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고정부(32)는 상기 저면(31)의 양측부로 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저면(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한쌍의 평탄면과 상기 각 평탄면에 상향으로 형성된 홈(34,36)을 구비한다. 39는 뚜껑부(70)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0, a fragrance holder 40, which receives the fragrance 50,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 Is coupled to the motor unit 64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fragrance holder 30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lid portion 70 for protecting the motor portion 60. . The main body 30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32 and the first fixing part 3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face 31 and the bottom face 31 in the forward direction. 2 fixing parts 38 are provided. The first fixing part 32 extends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face 31 and extends along the edges of the bottom face 31, respectively. Grooves 34 and 36; 39 is a screw for coupling the lid part 70 to the main body.

상기 제 2고정부(38)는 상기 제 1고정부(32)로 부터 소정거리 하단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고정부(38)는 상기 저면(31)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며, 모터부(60)를 수납 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 홀더(40)는 저면으로 부터 직립 형성되는 틀체(41)와, 상기 틀체(41)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43)과, 각 격벽(43)의 상단부로 부터 좌, 우로 연장되어 상기 격벽(4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44)에 상기 방향제(50)를 위치시키기 위한 날개부(42)와, 상기 틀체(41)의 외면에서 돌출한 돌출부(45)를 구성한다. 방향제 홀더(40)의 상기 공간부(44)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방향제(50)를 위치시킬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38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32 at a lower end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fixing portion 38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31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motor unit 60. The fragrance holder 40 extends left and right from a frame 41 which is formed upright from a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partitions 43 for partitioning the frame 41, and an upper end of each partition 43. The wing part 42 for positioning the said fragrance | flavor 50 in the space part 44 formed by the said partition 43 and the protrusion part 45 which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frame 41 are comprised. A plurality of fragrances 50 may be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44 of the fragrance holder 40 as necessary.

모터부(6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1)와, 상기 전원부(6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6)와, 상기 모터(66)와 결합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64)으로 구성된다. 모터부(60)는 또한 상기 모터(66)와 전원부(61)를 연결해주는 스위치(68)를 포함한다. 이 스위치(68)는 단순한 온/오프 스위치 또는 회전수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뚜껑부(70)는 상기 본체부(30)에 결합된 방향제 홀더(40)와 모터부(60)를 덮어 씌울수 있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부(70)의 하단과 상단에 복수의 통기 구멍(72,73)이 형성되어, 팬(64)의 동작에 의해 바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뚜껑 고정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74는 본체부(30)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부(도시 생략)와 결합되는 고정구멍(74)이다.The motor unit 60 is a power unit 61 for supplying power, a motor 66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61, and a fan that is combined with the motor 66 to generate wind. It consists of 64. The motor unit 60 also includes a switch 68 connecting the motor 66 and the power supply 61. The switch 68 may be either a simple on / off switch or a rotary switch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in multiple stages. The lid portion 70 may cover the perfume holder 40 and the motor portion 60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nt holes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lid portion 70. 72 and 73 are formed, and the lid fixing hole 7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wind can enter and exit by the operation of the fan 64. 74 is a fixing hole 74 coupled with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제 홀더(4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44)는 상기 제 1고정부(32)의 평탄면에 형성된 고정홈(34 또는 36)과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된다. 이 고정홈(34,36)에 끼워지는 방향제 홀더(40)의 위치에 따라 모터부(60)와의 거리가 조절되므로 향기 발산의 밀도를 조절할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60)는 본체부(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 2고정부(38)에 착, 탈식으로 끼워진다. 상기 뚜껑부(70)는 뚜껑 결합나사(39)에 의해 일단부가 결합되어 피봇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뚜껑부(70)가 이탈되지 않도록 뚜껑부의 하단에 형성된 뚜껑 고정구멍(74)에 상기 본체(30)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뚜껑 고정돌출부(도시 생략)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44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grance holder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4 or 36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32. The distance from the motor unit 6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agrance holder 40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s 34 and 36, so that the density of the fragrance emission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motor unit 60 is fitt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38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 detachably fitted. The lid portion 70 is pivotally coupled to one end by the lid coupling screw 39. At this time, the lid part 70 is coupled to the lid fix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 to the lid fixing hole 7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id part so as not to be separated.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기 제 2고정부(38)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2)는 배터리 수납부 또는 어댑터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68)를 눌러 전원을 연결하면 상기 모터(66)는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팬(64)으로 하여금 바람을 발생시킨다. 팬(64)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홀더 유지부(40)를 향하게 되므로 홀더 유지부(40)에 고정된 방향제(50)를 때리게 된다. 이 바람에 의해 방향제에 흡습되어 있던 향료분자가 뚜껑부의 구멍(72)을 통해 발산 되게 된다. 이때 뚜껑부(70)의 다른 통기구멍(73)은 외부의 공기를 향기 발산장치의 내부로 끌어들여 대기의 순환을 원활히 한다. 상기 방향제 홀더(40)는 향의 농도에 따라 다수의 방향제(50)를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고정부(3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4,36)에 그 농도에 따라 향의 농도를 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앞쪽의고정홈(36)에, 향의 농도를 연하게 하기 위해서는 뒷쪽의 고정홈(34)에 방향제(50)를 고정한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62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unit 60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unit 38 may be a battery accommodating unit or an adapter. When the power is connected by pressing the switch 68, the motor 66 generates power to cause the fan 64 to generate wind. The wind generated by the fan 64 is directed toward the holder holder 40, and thus strikes the air freshener 50 fixed to the holder holder 40. Due to this wind, the perfume molecules absorbed by the air freshener are diverted through the hole 72 in the lid portion. At this time, the other vent hole 73 of the lid portion 70 draws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fragrance dissipation device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the atmosphere. The fragrance holder 40 may not only place a plurality of fragrances 50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ragranc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4, 36) formed in the first fixing part 32 in the front fixing grooves 36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incense in accordance with its concentration, in the rear to soften the concentration of incense The fragrance 50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34.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이다. 도 5에서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5의 구성에서 도 2 및 도 3과 다른 구성은 제 1고정부(32)이다. 방향제 홀더(40)의 좌, 우 외면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고, 평탄면에는 상기 돌출부(46)가 결합되는 슬롯(37)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슬롯(37)은 연속된 긴 홈이므로 모터부(60)와 거리 조정을 보다 미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5 is a fragrance eman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S. 2 and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S. 2 and 3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is the first fixing part 32. Protruding portions 46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fragrance holder 40, and slots 37 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s 46 are coupled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lat surface. Since the slot 37 is a continuous long gro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unit 60 and the finer can be finer and easier.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먼저, 방향제의 수를 다수로 할 수 있는 방향제 홀더를 장착하고, 상기 방향제 홀더를 다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홀더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향의 농도 조절을 용이 하게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향제가 수명을 다하였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사용 할수 있으므로 향기 발산장치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ragrance holder can be mounted to a large number of fragrances, and since the holder holder is formed to fix the fragrance holders at different positions, the fragrance concentration can be easily adjusted. Not only that, the fragrance dispersing device itself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because the fragrance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fragrance reaches its end of life.

또한 종래의 향기 발산장치는 오랜 시간 동안 향이 계속 발산되어 방향제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과 실내 향의 밀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경우 모터부를 형성하여 필요시에만 향을 발산할 수 있으며, 모터부를 이용하여 좀더 광범위하게 향을 발산할 수 있어 방향제의 수명연장과 향기 밀도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ragrance dissipa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fragrance continues to diverge for a long time has a problem of short life of the fragrance and the density of the indoor fragrance is high,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motor unit can emit a fragrance only when necessary By using wealth, the fragrance can be emitted more extensively, which can reduce the problem of fragrance extension and fragrance density.

Claims (5)

복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뚜껑과,A li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상기 뚜껑에 의해 씌어지며, 저면과, 상기 저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저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고정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The main body portion which is covered by the lid, has a bottom surface, a first fix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econd fix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Wow, 방향제를 착탈식으로 수용하며 상기 제 1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방향제 홀더와,A fragrance holder detachably accommodating fragran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상기 제 2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모터부와,A motor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향제 홀더를 향하도록 배치된 팬을 구비한 향기 발산장치.And a fan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disposed to face the perfume hol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제 홀더는 저면으로 부터 직립 형성되는 틀체와,The fragrance holder is a frame formed upright from the bottom, 상기 틀체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과,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 partitioning the frame; 각 격벽의 상단부로 부터 좌, 우로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방향제를 유지 시키기 위한 날개부와,A w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air freshener in a space portion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partition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틀체의 일면에 외향으로 돌출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장치.The fragrance ema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protrusion projecting outwardly on one surface of the fram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저면의 양측부로 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 2고정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평탄면과,The first fixing part comprises a pair of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상기 각 평탄면에 상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슬라이딩 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장치.And at least one groove formed upwardly on each of the flat surfaces and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rotrusions in a sliding mann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저면의 양측부로 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 2고정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평탄면과,The first fixing part may include a pair of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which exten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extend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respectively; 상기 각 평탄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식으로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장치.And a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flat surfaces and coupled with the protrusion to change the position in a sliding manner. 제 1항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모터부는 전원을 공급을 위한 전원부와,The motor uni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상기 모터부에 전원을 연결해주는 스위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장치Fragrance dissipation device compri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power to the motor unit
KR2020010009325U 2001-04-03 2001-04-03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KR2002384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325U KR200238435Y1 (en) 2001-04-03 2001-04-03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325U KR200238435Y1 (en) 2001-04-03 2001-04-03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35Y1 true KR200238435Y1 (en) 2001-10-10

Family

ID=7306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325U KR200238435Y1 (en) 2001-04-03 2001-04-03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3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59B1 (en) * 2008-08-05 2011-03-03 최호상 potable air freshner
KR20160093209A (en) 2015-01-29 2016-08-08 다인크린텍(주) aromatic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59B1 (en) * 2008-08-05 2011-03-03 최호상 potable air freshner
KR20160093209A (en) 2015-01-29 2016-08-08 다인크린텍(주) aromatic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1095A (en) Air freshener dispenser
EP3482780B1 (en) Deodorization module and a storage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4925242B2 (en) Deodorizer
JP2001509421A (en) Evaporation dispenser
US4568521A (en) Solar-powered aroma generator
KR200238435Y1 (en) Apparatus for emitting perfumes
US6615410B1 (en) Toilet-ventilating device
KR20030023588A (en)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JPH0429818B2 (en)
US20060130221A1 (en) Multi-function toilet device
KR200393549Y1 (en) Lighting instruments having antioxidation vitamin
KR100491767B1 (en) air conditioner
JPS6320551B2 (en)
US20040247440A1 (en) Fan-tastic freshener
KR940005026Y1 (en) Perfumer
KR200384497Y1 (en) moisture and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KR200195189Y1 (en) A mirror give a nice smell
KR200262167Y1 (en)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JPH0672251A (en) Console box
KR200191786Y1 (en) A computer having an aromatic
KR200201098Y1 (en) Bench with function of aroma and deodorize
JP3111568U (en) Hot air heater that diffuses vitamin C components
KR200358672Y1 (en) Aroma cartridge for electric lamp
JP2005077046A (en) Humidifier
JP2002202090A (en) Electric fan with perf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