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909Y1 -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 Google Patents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909Y1
KR200237909Y1 KR2020010011216U KR20010011216U KR200237909Y1 KR 200237909 Y1 KR200237909 Y1 KR 200237909Y1 KR 2020010011216 U KR2020010011216 U KR 2020010011216U KR 20010011216 U KR20010011216 U KR 20010011216U KR 200237909 Y1 KR200237909 Y1 KR 200237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ing
medicine
coefficient
cup
count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긍구
Original Assignee
동성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1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909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약을 복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을 어른용과 어린이용으로 분리되도록 구조를 변경하므로 상기 약 복용시 하나의 계수컵으로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계수컵으로 인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환자 또는 아픈 사람이 복용하는 약을 담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치가 새겨진 눈금부(12)로 이루어진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에 있어서, 상기 계수컵(10)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약이 담겨지는 제1계수부(20)와, 상기 제1계수부(20)의 타측면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약이 담겨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보다 작은 내, 외경을 갖는 제2계수부(30)와,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가 분리되도록 막는 막음판(4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structure of calculating cup for subdividing medicines}
본 고안은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약(용제 또는 분말)을 복용할 때 상기 복용되는 약을 어른용과 어린이용으로 분리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한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은 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 및 판매하는 약(액체로 된 용제 또는 고체로 된 분말 등)을 환자나 아픈 사람이 정확한 양을 담아 복용하도록 상기 약을 담는 것이다.
종래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약(용제 또는 분말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는 본체(11) 내에 담겨지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치수가 새겨져 있는 눈금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의 본체(11)는 담겨지는 약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11)의 형상은 원통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은 병원이나 약국에서 진료 및 진찰을 받고 나서 조제되는 약 즉, 액체로 된 물약인 용제 또는 고체로 된 분말로 이루어진 약을 받고 나서 상기 약을 복용할 때 계수컵(10)에 따라 적정량을 담은 다음 복용하게 된다.
즉, 계수컵(10)의 본체(11)가 투명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본체(11)의 외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치가 새겨져 있는 눈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상기 계수컵(10)의 눈금부(12)를 보면서 정확하게 담은 다음 환자나 아픈 사람은 상기 계수컵(10)에 담겨진 약을 복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은 어른이나 어린이가 같이 사용함에 따라 상기 계수컵에 담겨져 복용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여 상기 복용하는 약의 양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계수컵의 크기를 어른용으로 제작하면 상기 계수컵을 어린이가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어린이가 복용하는 약의 양이 어른이 복용하는 약의 양보다 작으므로 인해 상기 계수컵에 새겨진 눈금부로는 계수컵에 담겨지는 약의 양 즉, 어린이가 복용하고자 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담을 수 없다. 그리고, 계수컵을 어린이용으로 제작하면 상기 계수컵을 어른이 사용하고자 할 때 어른이 복용하는 약의 양이 어린이가 복용하는 약의 양보다 많으므로 인해 상기 계수컵에 복용하고자 하는 약을 한번에 담지 못하고 여러번에 거쳐서 담아 복용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약을 복용 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약의 양을 측정하여 복용할 수 없다.
또한,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을 어른과 어린이가 같이 사용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상기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을 어른용하고 어린이용으로 별도로 구비하므로 인해 별도의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상기 계수컵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약을 복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을 어른용과 어린이용으로 분리되도록 구조를 형성하므로 상기 약 복용시 하나의 계수컵으로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계수컵으로 인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계수컵 11: 본체
12: 눈금부 20: 제1계수부
30: 제2계수부 40: 막음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환자 또는 아픈 사람이 복용하는 약을 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치가 새겨진 눈금부로 이루어진 계수컵에 있어서, 상기 계수컵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약이 담겨지는 제1계수부와, 상기 제1계수부의 타측면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약이 담겨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제1계수부의 내, 외경보다 작은 내, 외경을 갖는 제2계수부와, 상기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가 분리되도록 막는 막음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짐과 함께 환자 또는 아픈 사람이 복용하는 약을 담을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어 투명한 재질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외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치가 새겨진 눈금부(12)로 이루어진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계수컵(1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되어 약이 담겨지는 제1계수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일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인 제1계수부(20)의 타측면에는 제1계수부(20)와 연이어서 연결되어 약이 담겨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보다 작은 내, 외경을갖는 제2계수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계수부(20)(30) 내, 외경의 직경은 상기와는 반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을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을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는 제1,2계수부(20)(30) 내, 외경의 직경 크기에 따라 어른용과 어린이용으로 구분하게 되는데, 상기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이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보다 크면 상기 제1계수부(20)는 어른용으로 상기 제2계수부(30)는 어린이용으로 사용하고,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이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보다 작으면 상기 제1계수부(20)는 어린이용으로 상기 제2계수부(30)는 어른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2계수부(20)(30) 내, 외경의 직경은 계수컵(10)의 사용용도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 사이에는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가 구분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약이 담겨져 있는 제1계수부(20)에서 제2계수부(30)로 또는, 약이 담겨있는 제2계수부(30)에서 제1계수부(20)로 상기 약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 간을 막는 막음판(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형성된 눈금부(12)의 치수는 어른용과 어린이용으로 구분됨과 함께 상기 어른과 어린이가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간격으로 각각 새겨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된 약(액체로 된 용제 또는 고체로 된 분말 등)을 환자나 아픈 사람이 적정량을 복용하고자 할 때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10)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약을 담는 계수컵(10)은 어른용으로 사용되는 제1계수부(20)와 함께 상기 제1계수부(20)와 연이어서 연결되게 형성되어 어린이용으로 사용되는 제2계수부(30)로 막음판(40)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계수부(20)의 내, 외경보다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계수컵(10)을 어른이 사용할 때에는 제1계수부(20)에 약을 담고, 상기 계수컵(10)을 어린이가 사용할 때에는 제2계수부(30)에 약을 담는다.
여기서, 계수컵(10)의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 같이 한정된 것이 아니며,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의 내, 외경을 서로 반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수컵(10)의 외관 즉, 본체(11)가 투명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계수부(20)와 제2계수부(30)의 외주연부에는 계수컵(10)의 용량에 맞도록 일정간격으로 치수가 새겨져 있는 눈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계수컵(10)의 제1계수부(20)와 2계수부(30)에 새겨져 있는 치수의 눈금부(12)를 보면서 복용하고자 하는 약의 적정량을 계수컵(10)에 담는다.
즉, 상기 계수컵(10)을 누가 사용할 것인지(어른, 어린이)를 확인한 후 상기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제1계수부(20) 및 제2계수부(30)를 정한 다음 상기 정해진 제1,2계수부(20)(30)의 눈금부(12) 치수를 보면서 계수부 내에 복용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담고 나서 상기 환자 또는 아픈 사람 즉, 약을 복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계수컵(10)에 담겨진 약을 복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2계수부(20)(30) 사이에는 막음판(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계수부(20)(30)의 어느 하나에 약이 담겨지면 상기 막음판(40)에 의해 약이 담겨진 계수부에서 다른 계수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의 구조를 제1계수부와 상기 제1계수부의 내, 외경보다 작은 내, 외경을 갖는 제2계수부로 분리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2계수부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눈금부의 치수를 용량에 맞도록 서로 다르게 새김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수컵으로 약을 복용할 때 어른과 어린이가 서로 다른 계수부를 통해 약을 복용하는 등 상기 계수컵을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계수컵에 형성된 서로 다른 계수부의 눈금부 치수를 보면서 복용하고자 하는 약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면서 계수컵 내에 담은 다음 환자나 아픈 사람이 복용하므로 인해 상기 약을 한 번의 측정으로 복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약을 복용하는 환자나 아픈 사람의 건강을 돌봄과 함께 상기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상기 약을 복용하는 어른과 어린이가 하나의 계수컵을 이용함에 따라 상기 어른용과 어린이용의 계수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을뿐더러 상기 계수컵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료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환자 또는 아픈 사람이 복용하는 약을 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복용되는 약의 양을 측정하여 담을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치가 새겨진 눈금부로 이루어진 계수컵에 있어서,
    상기 계수컵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약이 담겨지는 제1계수부와,
    상기 제1계수부의 타측면에 연이어서 형성되어 약이 담겨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제1계수부의 내, 외경보다 작은 내, 외경을 갖는 제2계수부와,
    상기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가 분리되도록 막는 막음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계수부와 제2계수부의 눈금부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수치가 각각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KR2020010011216U 2001-04-19 2001-04-19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KR200237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16U KR200237909Y1 (ko) 2001-04-19 2001-04-19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16U KR200237909Y1 (ko) 2001-04-19 2001-04-19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909Y1 true KR200237909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216U KR200237909Y1 (ko) 2001-04-19 2001-04-19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741A (en) Combined measuring spoon and receptacle
JP2021112641A (ja) 医薬品送達システム
US9159249B2 (en) System for facilitating preparation of medication doses
US6904867B2 (en) Calculated dose medicine dispenser
Ryu et al. Analysis of liquid medication dose errors made by patients and caregivers using alternative measuring devices
US7554434B1 (en) Electronic indicator system for medicine bottle
US8535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se measurement
US5896990A (en) Container with consumption indicator
US6779480B2 (en) Dial indicator cap
JP2022079520A (ja) 投薬キットを用いて医薬品を送達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213298A1 (en) Medicinal dosing apparatus
CN209922033U (zh) 一种药瓶
US3162301A (en) Pill dispenser
Yaffe et al. Inaccuracies in administering liquid medication
US20080168940A1 (en) Medicine cap counter device
JP5822270B2 (ja) カップ付きボトル
KR200237909Y1 (ko) 의약품 소분용 계수컵 구조
JP2022526615A (ja) 階段状投薬量標示を有する投薬システム
US898456A (en) Liquid measuring and transferring tube.
Shonna Yin Health literacy and child health outcomes: parental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errors
RU2329030C2 (ru) Мерное и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к колпачку на бутылке
CN206939222U (zh) 一种具有精细测量功能的药品片剂/丸剂计数装置
CN215133599U (zh) 一种儿童颗粒剂口服药量杯
GB2155436A (en) Measuring device
CN210036937U (zh) 一种计量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