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50Y1 -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 Google Patents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50Y1
KR200237750Y1 KR2020010002558U KR20010002558U KR200237750Y1 KR 200237750 Y1 KR200237750 Y1 KR 200237750Y1 KR 2020010002558 U KR2020010002558 U KR 2020010002558U KR 20010002558 U KR20010002558 U KR 20010002558U KR 200237750 Y1 KR200237750 Y1 KR 200237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handle
lighting function
hea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문
Original Assignee
백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문 filed Critical 백용문
Priority to KR2020010002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50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먹을 때 손잡이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고, 손잡이부에 캐릭터, 도형 또는 문자 등의 표장을 표현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퍼 올리거나 찍어 올릴 수 있는 헤드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일직선 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통상적인 수저의 형상을 갖되;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내부에 회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를 통해 전기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회로부에 부착된 다수의 점등수단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Spoon having lighting function}
본 고안은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먹을 때 손잡이부가 점등되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의 식생활은 밥이나 국, 나물류를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들을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먹게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을 통칭하여 수저라 표현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수저 중 숟가락은 일반적으로 은, 백동, 놋쇠,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음식물을 퍼 올리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하여 국물 등을 떠먹게 되는 식사용 도구나 액상의 약을 먹기 위한 의약용 도구 등으로 대략 사용되어 진다.
한편, 가정에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식사시간에 음식물을 먹지 않으려고 하여 부모 등과 신경전이 벌어지고, 심한 경우에는 부모 등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을 먹지 않으려고 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을 유혹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되지만 수저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음식물을 달게 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식물을 먹을 때 손잡이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식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에 캐릭터, 도형 또는 문자 등의 표장을 표현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사에 대한 흥미를 더욱 더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건전지의 교환이 필요없도록 하거나, 건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몸체부와 회로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의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드부 20 : 몸체부
30 : 손잡이부 31 : 공간
40 : 회로부 41 : LED
42 : 태양전지 43 : 판스프링
50 : 덮개 P: 표장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음식물을 퍼 올리거나 찍어 올릴 수 있는 헤드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일직선 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통상적인 수저의 형상을 갖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내부에 회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를 통해 전기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회로부에 부착된 다수의 점등수단이 점등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에는 그 일측면 또는 전면에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캐릭터, 도형 또는 문자 등의 표장이 표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로부는 그 구동전원으로서 태양전지(solar battery)를 사용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건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소정 공간의 일측에 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회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몸체부와 회로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의 회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음식물을 퍼 올리거나 찍어 올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헤드부를 나타내고, 20은 일단이 상기 헤드부(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그 중심선이 상기 헤드부(10)와 동일 직선상에 존재하는 몸체부를 나타내고, 30은 일단이 상기 몸체부(20)의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나타내고, 31은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헤드부(10)는 숟가락의 경우에 음식물을 퍼 올리기에 적합하도록 바닥이 함몰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포크의 경우에는 음식물을 찍어 올리기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가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10) 및 몸체부(20)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3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에는 그 일측면 또는 전면에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캐릭터, 도형 또는 문자 등의 표장(P)이 채색되거나 스티커 등에 의해 부착되어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40은 상기 손잡이부(30)의 소정의 공간(31)에 안착되는 회로부를 나타내고, 41은 상기 회로부(40)에 부착되어 상기 헤드부(10) 및 몸체부(20)를 통해 전기가 흐르는 경우에 점등 또는 점멸되는 LED를 나타내고, 42는 상기 회로부(40)에 부착되어 상기 LED(41)의 구동전원이 되는 전지(battery)를 나타내고, 43은 상기 몸체부(20)와 회로부(40)를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부 공간(31)에서 연결시키는 판스프링을 나타내고, 50은 상기 소정 공간(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지(42)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덮개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고안은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의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즉, 전지(42), LED(41), 몸체부(20), 헤드부(10), 인체(60)가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유아 또는 어린이가 본 고안의 수저를 들고 음식물을 먹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10)를 입으로 가져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60)가 헤드부(10)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의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전지(42)에 의해 전류가 LED(41), 몸체부(20), 헤드부(10) 및 인체(60)를 거쳐 접지로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LED(41)가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LED(41)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수저 표면의 표장(P)에 빛이 조사되어 표장(P)이 밝게 표현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유아 또는 어린이는 식사에 대한 흥미가 유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수저의 손잡이부에 점등수단을 구비하여 음식물을 먹는 경우에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수저의 손잡이부에 스피커 및 음성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음식물을 먹는 경우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전원인 기존의 수은전지 대신에 교체가 필요없는 태양전지(solar battery)(42')를 적용함으로써 그 구조의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는 음식물을 먹을 때 손잡이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고, 손잡이부에 캐릭터, 도형 또는 문자를 성형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식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건전지의 교환이 필요없도록 하거나, 건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식물을 퍼 올리거나 찍어 올릴 수 있는 헤드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일직선 상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통상적인 수저의 형상을 갖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내부에 회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 및 몸체부를 통해 전기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회로부에 부착된 다수의 점등수단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그 일측면 또는 전면에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표장이 표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그 구동전원으로서 태양전지(solar battery)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회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KR2020010002558U 2001-02-03 2001-02-03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KR200237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58U KR200237750Y1 (ko) 2001-02-03 2001-02-03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58U KR200237750Y1 (ko) 2001-02-03 2001-02-03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229A Division KR20020064809A (ko) 2001-02-03 2001-02-03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50Y1 true KR200237750Y1 (ko) 2001-09-25

Family

ID=730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558U KR200237750Y1 (ko) 2001-02-03 2001-02-03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9793A (en) Children{40 s feeding utensil
US5939983A (en) Toy that provides an indication when an end user consumes a consumable substance
US4207673A (en) Cuttlery
US6054156A (en) Contact activated sound and light generating novelty food containers
US6163258A (en) Toy that provides an indication when an end user consumes a consumable substance
US5190491A (en) Animated paddle
EP3117739A1 (en) Toothbrush
US4778428A (en) Illuminated flying saucer
KR20020064809A (ko)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KR200237750Y1 (ko) 점등기능을 갖는 수저
US10898016B1 (en) Illuminated dome scene cup
US7175311B2 (en) Top with a lighting device
CN210095384U (zh) 一种儿童温感音乐餐具
CN201153477Y (zh) 发光糖
CN202145379U (zh) 音乐盒
CN216854375U (zh) 一种交互式训练勺
WO1998048677A1 (en) Novelty article
CN206994237U (zh) 一种易拆装月饼模具
CN214286683U (zh) 麦形闪光糖果玩具
CN211130579U (zh) 一种散发味道的勺子
JP3231486U (ja) 発光菓子キット
CN211380680U (zh) 一种带有发光装置的水杯
KR200165160Y1 (ko) 발광넥타이
KR20000011006U (ko) 유아 및 어린이용 멜로디, 발광 모듈이 내장된 스푼
JP2018007953A (ja) 食事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