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38Y1 -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38Y1
KR200237638Y1 KR2020010010781U KR20010010781U KR200237638Y1 KR 200237638 Y1 KR200237638 Y1 KR 200237638Y1 KR 2020010010781 U KR2020010010781 U KR 2020010010781U KR 20010010781 U KR20010010781 U KR 20010010781U KR 200237638 Y1 KR200237638 Y1 KR 200237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교
Original Assignee
정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교 filed Critical 정원교
Priority to KR2020010010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3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01),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103), 일반 키보드(106), 키보드(106)와 PC(300)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 스위치(105),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 M.P.U.(101)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104)을 포함하여 키보드에 일체화되거나, 별도의 인터페이스유니트(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Multifunctional keyboard assembly and its interface unit for inputing into personal communicational deveice}
본 고안은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 휴대폰 및 인터넷 폰 등)와 키 입력을 위한 보조 장치인 키보드 및 마우스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편리한 음성통화를 위한 핸즈프리 기능, 그리고 단말기 충전을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는 기존의 음성 통신 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탈피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서비스의 대표적인 기능으로 문자 송/수신 서비스, 증권 정보 송/수신, 인터넷 접속, 채팅 기능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가 차세대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어 사용자의 수가 1인 1PC(Personal CoM.P.U.ter)의 수준보다 앞서 가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계층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며, 서비스 업체에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분야 중에서 특히 기존의 PC(Personal CoM.P.U.ter)를대처하는 기능(채팅, 전자상거래 등)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는 수요층도 청년 층을 기반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장치 키패널(Key Panel)은 휴대를 위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작고, 입력키의 구성이 한정된 관계로 사용상의 불편한 요소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 부터도 휴대가 가능한 소형 키보드를 제작하여 보급하거나, PC를 이용한 방법들이 고안되었으나, 이 또한 컴퓨터라는 중간 매체를 활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으로서 휴대성이 가장 중요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통신 및 음성통신을 위하여 장시간 개인 휴대용 보통신단말기를 이용하면 단말기의 전원 소모가 많게 되어 역시 휴대성을 저해한다는 문제점 또한 상존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키패널 이외에 부가 장치인 PC 키보드를 활용하여 중간매체(인터페이스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 단말기는 핸즈프리 기능과, 충전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는 데에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안되는 인터페이스 단말기는 자체 M.P.U.(Micro Processor Unit)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고 휴대가 간편하게 설계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시하는 하드웨어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도 1 의 구성으로서 구현되는 작동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에서 키보드에 일체화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에서 별도의 인터페이스장치로서 구현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중앙처리장치
200: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
102: 핸즈프리컨트롤유니트
103: 충전기
106: 키보드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는;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 일반 키보드, 키보드와 PC 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 스위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와 M.P.U.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 를 포함하여 키보드에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또 다른 구성 상의 특징은;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위한 인터페이스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니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 일반 키보드, 키보드와 PC 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스위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와 M.P.U.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유니트에 통상적인 키보드 및 마우스, 개인용컴퓨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시하는 하드웨어적인 블록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구성으로서 구현되는 작동플로우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에서 키보드에 일체화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구성도, 도 4 는 별도의 인터페이스장치로서 구현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구성도이다.
도 1 의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01),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103), 일반 키보드(106), 키보드(106)와 PC(300)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 스위치(105),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 M.P.U.(101)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104)로 구성되어 있다.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는 각종 핸드폰의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한 이어폰, 마이크 단자와 연결하여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내부 증폭 회로를 통하여 스피커를 작동하고, 통합형 키보드(100) 외부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핸드폰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M.P.U.(101)는 핸즈프리 작동 유무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충전기(103)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충전 용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충전 기능을 제공하고, M.P.U.(101)에 의하여 충전 용량을 조절하여 과부하를 방지한다.
이때 M.P.U.에는 자체 A/D(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과부하 방지 처리를 한다.키보드(106)는 일반적으로 PC에서 사용되어지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데이터 입력 방식은 시리얼 통신을 사용한다.
M.P.U.(101)와 메모리(104)는 다양한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 제조사의 통신 프로토콜 및 입력 데이터 변환을 지원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키패널에서 숫자 1을 누르는 역할을 통합 키보드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일반 키보드(501)의 Function Key(F1-F12)는 단말기 키의 메뉴 키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가 이를 지원한다.
그리고,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각기 다른 방법의 한글 입력 방식과 영문 입력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일반 키보드를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값을 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500)에서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값으로 변환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 제공되어지는 단말기를 직접 제어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규정된 통신 속도와 전용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며 그러한 기술은 기히 공지의 것으로서 여기에서의 상술은 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M.P.U.(101)에 구현되어 질 소프트웨어의 작동흐름의 순서도를 보여주고 있다.
순서도에서 (400)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가 본 발명품에 장착이 되어 있는지를 비교하고, 장착이 되었다면 장착된 단말기의 종류를 확인·설정(401)하여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전용 프로그램은 각 제조사 단말기마다 다른 형식을 취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 위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스텝 (402)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를 핸즈프리 모드로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한 스위치 정보를 받아들여서 음성 통화 시, 자동으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403)은 장착된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여 완충전이 된 상태면 충전을 실행하지 않고, 완충전 상태가 아니면 충전 모드(404)를 실행시킨다.
(405)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음성통신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음성통신이 완료되는 시점을 판단하는 (407)과정을 거쳐 완료가 되면 (408)로 진행한다.
(408)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 모드, 즉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없다면 (400)으로 진행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있다면 입력키 값을 단말기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409)과정을 처리한다. (409)과정이 완료되면 M.P.U.시스템과 단말기간의 통신 작업(410)을 수행한다.
(411)은 키입력 처리가 완료되고, 다음 키 값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변환 작업과 단말기에 데이터 송신 작업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키보드에 일체화 시킨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성의 다양한 종류의 키보드 형식(501)을 기반으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구현한 것을 도시한다.
입력장치(502)는 터치패드 마우스 또는 볼 마우스로서 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 입력 장치로 활용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형태가 PDA와 인터넷 폰인 경우 윈도우 환경, 즉 다양한 명령 아이콘의 클릭을 통한 명령 전달 시스템임을 감안하여 구성된 것이다.
마이크(503)은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 되어있고, 음성통화를 할 때 사용자의 음성 입력 장치이다. 스피커(504)는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 되어있고, 음성통화를 할 때 상대통화자의 음성 출력 장치이다.
LED 표시장치(505)는 단말기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적색일 경우 충전모드 상태를 표현하고, 초록색일 경우 충전 완료를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개인 휴대용 통신단말기 거치대(506)는 단말기가 장착되는 기구적 장치로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잘 볼 수 있고, 고정된 다양한 장치적 구조를 가진다.
단말기 통신커넥터(507)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와 통신을 하는 커넥터로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커넥터를 지원한다.
핸즈프리 전환 스위치(508)는 핸즈프리 사용 설정을 사용자가 할 수 있도록 하는 On/Off 스위치로서 On 일 경우 핸즈프리로 사용할 수 있고, Off 이면 핸즈프리 사용을 금지한다. 이때 핸즈프리 스피커 또는 마이크 레벨은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기능(키보드 전환 스위치 : On, Shift + 방향키: 마이크 레벨 조절, 방향키 : 스피커 레벨 조절)을 제공한다.
키보드 전환 스위치(509)는 사용되어지는 본 고안의 키보드가 PC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스위치다.
마우스 전환 스위치(510)는 마우스 입력 장치를 PC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스위치다.
전원 공급 장치(511)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의 전원 입력 장치로서 외부 어답터를 사용하고, 규격은 입력 AC 110 -220, 출력 DC 5V이다.
키보드 접속용 케이블(512)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 케이블이다.
마우스 접속 케이블(513)은 본 고안의 구성 키보드가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 케이블로서 구성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는 종래의 키보드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별도로 독립된 유니트(Unit)로서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의 인터페이스장치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의 인터페이스유니트(600)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되는 휴대용의 케이싱(C)에 수납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구성에서는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일종인 일반 키보드 형식(601)과 마우스(602)를 입력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품의 기능과 장치적 구조를 추가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의 인터페이스장치인 독립형 인터페이스유니트(600)는 일반적으로 보급된 키보드와 마우스 입력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입력장치(602)는 터치패드 마우스 또는 볼 마우스로서 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 입력 장치로 활용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형태가 PDA와 인터넷 폰인 경우 윈도우 환경, 즉 다양한 명령 아이콘의 클릭을 통한 명령 전달 시스템임을 감안하여 고안하였다.
마이크(603)은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 되어있고, 음성통화를 할 때 사용자의 음성 입력 장치이다. 스피커(604)는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 되어있고, 음성통화를 할 때 상대통화자의 음성 출력 장치이다.
LED 표시장치(605)는 단말기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적색일 경우 충전 모드 상태를 표현하고, 초록색일 경우 충전 완료를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개인 휴대용 통신단말기 거치대(606)는 단말기가 장착되는 기구적 장치로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잘 볼 수 있고, 고정된 장치적 구조를 가진다.
단말기 통신커넥터(607)은 시스템과 통신을 하는 커넥터로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커넥터를 지원한다.
핸즈프리 전환 스위치(608)는 핸즈프리 사용 설정을 사용자가 할 수 있도록 하는 On/Off 스위치로서 On 일 경우 핸즈프리로 사용할 수 있고, Off 이면 핸즈프리 사용을 금지한다.
이때 핸즈프리 스피커 또는 마이크 레벨은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기능(키보드 전환 스위치 : On, Shift + 방향키: 마이크 레벨 조절, 방향키 : 스피커 레벨 조절)을 제공한다.
키보드 전환 스위치(609)는 사용되어지는 본 고안의 구성의 인터페이스유니트(600)가 PC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스위치다.
마우스 전환 스위치(610)은 마우스 입력 장치를 PC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스위치다.
전원 공급 장치(611)은 본 고안의 인터페이스유니트(600)의 전원 입력 장치로서 외부 아답터를 사용하고, 규격은 입력 AC 110 - 220, 출력 DC 5V이다.
키보드 접속용 케이블(612)은 문자톡톡 시스템이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 케이블이다.
마우스 접속 케이블(613)은 본 고안의 인터페이스유니트(600)를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 케이블이다.
키보드 접속 커넥터(614)는 일반 키보드(601)와 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600)과의 연결을 위하여 제공되는 접속 커넥터로서 일반적인 PS2/USB 잭을 제공한다.
마우스 접속 커넥터(615)는 일반 마우스(602)와 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600)과의 연결을 위하여 제공되는 접속 커넥터로서 일반적인 PS2/USB 잭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는 키보드에 일체화시키거나 별도의 유니트로서 구성하여 보급할 수있게 됨으로서,
기존의 키보드(key board)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문자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들이 데이터 입력 방식이 기존 방식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또한, 단말기 충전 회로를 추가하여 단말기 동작시 밧데리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고, 핸즈프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음성 통신을 할 때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8)

  1.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01),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103), 일반 키보드(106), 키보드(106)와 PC(300)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 스위치(105),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 M.P.U.(101)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104)을 포함하여 키보드에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2. 휴대폰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를 위한 인터페이스유니트(6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니트(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01),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와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기(103), 일반 키보드(106), 키보드(106)와PC(300)와 중앙처리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컨트롤 스위치(105),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200)와 M.P.U.(101)와의 데이터 통신 및 관련 컨트롤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 프로토콜 DB(104)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유니트(600)에 통상적인 키보드 및 마우스, 개인용컴퓨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컨트롤유니트(102)은 각종 핸드폰의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한 이어폰, 마이크 단자와 연결하여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내부 증폭 회로를 통하여 스피커를 작동하고, 통합형 키보드(100) 외부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핸드폰으로 전달하고, 상기 M.P.U.(101)는 핸즈프리 작동 유무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03)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충전 용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충전 기능을 제공하고, M.P.U.(101)에 의하여 충전 용량을 조절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며, 상기 M.P.U. 에는 자체 A/D(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어, 소프트웨어적으로 과부하 방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M.P.U.(101)와 메모리(104)는 다양한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 제조사의 통신 프로토콜 및 입력 데이터 변환을 지원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상기 일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값을 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500)에서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값으로 변환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키보드 전환 스위치(509)를 구비하여 사용되어지는 키보드가 PC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키보드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마우스 전환 스위치(510)를 구비하여 마우스 입력 장치를 PC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ff)로 사용할 것인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마우스 전환 스위치 : On)로 사용 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키보드를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키보드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용인 키보드 접속용 케이블(512),
    키보드가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PC의 마우스 입력 장치의 케이블로 제공하는 PS2/USB 접속용인 마우스 접속 케이블(5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 인터페이스장치.
KR2020010010781U 2001-04-17 2001-04-17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KR200237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81U KR200237638Y1 (ko) 2001-04-17 2001-04-17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81U KR200237638Y1 (ko) 2001-04-17 2001-04-17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38Y1 true KR200237638Y1 (ko) 2001-10-11

Family

ID=7308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81U KR200237638Y1 (ko) 2001-04-17 2001-04-17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48B1 (ko) * 2010-12-22 2012-02-20 (주)옴니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48B1 (ko) * 2010-12-22 2012-02-20 (주)옴니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468B2 (en) Multifunctional keyboar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197650A1 (zh) 通话中的交互方法和设备
US20070232233A1 (en)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JP2001249739A (ja) 情報処理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電話端末接続方法
CN101943957A (zh) 一种带加速度传感器的触摸屏手机和鼠标输入的方法
US20100123643A1 (en) Handheld device with secondary screen for soft key descriptors
CN1725902A (zh) 手机遥控器
CN201571178U (zh) 一种手机线控耳机的实现装置
US20060019706A1 (en) Mobile phone with mouse device
KR200237638Y1 (ko) 개인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입력용 키보드 및 그인터페이스장치
CN101945151A (zh) 一种触摸屏手机和键盘输入的方法
KR100391289B1 (ko)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다용도 키보드
KR200600953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CN201611895U (zh) 组合式手机
JP4755152B2 (ja) 音声通信システム
KR20000059177A (ko)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
JP2001159946A (ja) 入力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819314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14177382U (zh) 一种智能组网的触屏公共电话系统
CN211670967U (zh) 一种带音频信号转换为无线蓝牙信号的无线充电装置
CN2894126Y (zh) 有蓝牙遥控与拨号功能的无线电话听筒和对应的网络电话
KR100358584B1 (ko) 인터넷 도메인 접속용 키를 구비한 전화기
KR200244167Y1 (ko) 다용도 키패드
KR20080025979A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