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34Y1 - 와이퍼모터 - Google Patents

와이퍼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34Y1
KR200237634Y1 KR2020010010484U KR20010010484U KR200237634Y1 KR 200237634 Y1 KR200237634 Y1 KR 200237634Y1 KR 2020010010484 U KR2020010010484 U KR 2020010010484U KR 20010010484 U KR20010010484 U KR 20010010484U KR 200237634 Y1 KR200237634 Y1 KR 200237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ston
pneumatic
casing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택
Original Assignee
오동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택 filed Critical 오동택
Priority to KR2020010010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34Y1/ko

Links

Landscapes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모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에 형성되어 공압유입구(102)로 유입된 공압이 유동되는 공압유동관(110)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전후로 유동되는 피스톤(120)과; 와이퍼에 연결되는 로드(130)와; 상기 로드(13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120)에 연결되어 피스톤(120)의 전후유동력을 로드(130)에 전달시켜 로드(13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어부재(140); 그리고, 상기 로드(130)에 결합되어 좌우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130)를 회전시키는 수동제어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퍼모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공압을 이용하여 로드를 구동시킴에 의해 와이퍼를 구동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공압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모터{wiper motor}
본 고안은 와이퍼 모터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며, 공압차단시 수동조작에 의해 와이퍼의 유동이 가능한 와이퍼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퍼 모터의 경우에는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모터와 연결된 와이퍼를 구동시킴에 의해 유리면에 엉겨붙은 먼지, 빗물등의 오염물질을 제거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모터의 경우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사용함에 의해 외부의 전기제어에 의해 동작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며,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압을 이용하여 샤프트를 구동시킴에 의해 와이퍼를 구동시키며, 공압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제어가 가능한 와이퍼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와이러모터의 평면단면도.
도2 - 제어부재에 피스톤 및 로드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싱 101 : 밀폐덮개
102 : 공압유입구 103 : 유동편
104 : 밸브 110 : 공압유동관
120 : 피스톤 121 : 리테이너
122 : 결합돌기 130 : 로드
140 : 제어부재 141 : 제1연결자
142 : 제2연결자 150 : 수동제어기
151 : 손잡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공압유입구로 유입된 공압이 유동되는 공압유동관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전후로 유동되는 피스톤과; 와이퍼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전후유동력을 로드에 전달시켜 로드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어부재; 그리고,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좌우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수동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퍼모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로드와 연결된 제1연결자와; 일측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연결자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의 외주면에 리테이너가 결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압에 의해 와이퍼가 구동되며, 공압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조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모터의 평면단면도이고, 도2는 제어부재에 피스톤 및 로드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모터는 크게 케이싱(100)과, 공압유동관(110)과, 피스톤(120)과, 로드(130)와, 제어부재(140) 그리고 수동제어기(15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싱(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양측면이 개구된 대략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개구부에 밀폐덮개(101)가 결합됨에 의해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외부로 부터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는 케이싱(100)을 따라 관형상으로 형성된 공압유동관(110)이 형성되며, 상기 공압유동관(110)은 공압유동관(110)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싱(100)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공압유입구(102)로 유입된 공압이 공압유동관(110)을 통하여 케이싱(100)의 공간부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에는 외부의 공압이 유입되는 공압유입구(102)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압이 유입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공압유입구(120)로 유입된 공압에 의해 소정유동되는 유동편(103)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편(103)은 밸브(104)와 연결되어 밸브(10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즉, 상기 공압유입구(102)로 공압이 유입되면 유동편(103)이 소정유동됨과 동시에 밸브(104)를 제어하여 상기 공압유동관(110)의 좌측으로 공압이 유입되게 한다.
상기 케이싱(100)의 원주면 중앙부는 개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후술하는 로드(130)가 후술하는 피스톤(120)과 연결되어 좌우 회전된다.
상기 피스톤(120)은 대략 원형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간부를 따라 전후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20)의 단부인접부 원주외주면에는 리테이너(121)가 형성되어 공압유동관(110)을 통하여 공간부로 유입된 공압이 리테이너(121)에 배력으로 작용되어 피스톤(120)을 전후로 소정 유동시킨다.
그리고 피스톤(120)의 원주면에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연결자(141)가 상기 결합돌기(121)에 결합된다.
상기 로드(13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원주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피스톤(120)의 유동에 의해 전후로 유동된다.
상기 제어부재(140)는 크게 제1연결자(141)와 제2연결자(142)로 구성되어 피스톤(120)의 병진운동을 로드(13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 전달시킨다.
상기 제1연결자(141)는 대락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상기 로드(130)의 원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자(142)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상기 피스톤(120)의 결합돌기(12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연결자(142)에 피봇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0)이 전후로 유동되면 유동력이 제2연결자(142)로 전달되고, 제1연결자(141)로 전달되어 상기 로드(130)를 소정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수동제어기(15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에 손잡이부(151)가 형상되고 타측은 상기 로드(130)의 원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51)를 잡고 전후로 유동시키면 로드(130)는 소정회전을 하게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공압유입구(102)로 공압이 유입되면 상기 유동편(103)이 소정유동되어 밸브(104)를 제어시키게 되어 밸브(104)는 상기 공압유동관(110)의 좌측편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공압은 공압유동관(110)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의 좌측편으로 유입되어 리테이너(121)에 배력으로 작용되어 리테이너(121)가 소정유동됨과 동시에 피스톤(120)이 우측으로 소정유동된다, 피스톤(120)이 유동되면 피스톤(120)의 유동력이 제어부재(140)를 통하여 로드(130)에 전달되어 로드(130)가 소정 회전된다.
피스톤(120)이 우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밸브(104)가 제어되어 공압이 공압유동관(110)을 통하여 공압유동관(110)의 우측으로 유동되어 피스톤(120)의 우측에 형성된 리테이너(121)에 배력으로 작용된다. 상기의 배력에 의해 피스톤(120)이 다시 좌측으로 유동되며 유동력이 로드(130)에 전달되어 로드(130)가 소정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됨에 의해 로드(130)는 계속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하여 로드를 구동시킴에 의해 와이퍼를 구동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압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에 형성되어 공압유입구(102)로 유입된 공압이 유동되는 공압유동관(110)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전후로 유동되는 피스톤(120)과;
    와이퍼에 연결되는 로드(130)와;
    상기 로드(13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120)에 연결되어 피스톤(120)의 전후유동력을 로드(130)에 전달시켜 로드(13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어부재(140); 그리고,
    상기 로드(130)에 결합되어 좌우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130)를 회전시키는 수동제어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로드(130)와 연결된 제1연결자(141)와;
    일측은 상기 피스톤(1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연결자(1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자(14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20)은 피스톤(120)의 외주면에 리테이너(121)가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모터.
KR2020010010484U 2001-04-13 2001-04-13 와이퍼모터 KR200237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84U KR200237634Y1 (ko) 2001-04-13 2001-04-13 와이퍼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84U KR200237634Y1 (ko) 2001-04-13 2001-04-13 와이퍼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34Y1 true KR200237634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84U KR200237634Y1 (ko) 2001-04-13 2001-04-13 와이퍼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4991B2 (ja) チューブポンプおよび保持機構
KR200382597Y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KR200237634Y1 (ko) 와이퍼모터
CA2426980A1 (en) Legged robot
CN209839284U (zh) 先导阀
CN216867679U (zh) 一种新型记忆合金驱动气阀
JP4425230B2 (ja) 空気注入/排出装置
US20060198741A1 (en) Air pump with air flow control
KR100454410B1 (ko) 유로전환밸브
WO2006043740A1 (en) An aquarium wave-making water device
CN201711948U (zh) 正逆转开关组及其气动工具
CN211229908U (zh) 一种汽车门锁控制器
CN101829982A (zh) 正逆转开关组及其气动工具
CN217203259U (zh) 一种洗衣机排水阀及洗衣机
JP2008073841A5 (ko)
CN109955681A (zh) 空调出风气流调控机构
KR100675347B1 (ko) 전동창문용 구동장치
CN216812342U (zh) 一种叶片式摆动气缸
CN210686393U (zh) 充放气装置
US20230400031A1 (en) Air pump device adapted to small-sized inflatable product and inflatable product
CN218177992U (zh) 一种电动阀
CN218763678U (zh) 一种新风阀门组件、新风机构和空调器
KR200380854Y1 (ko) 삼방 밸브장치
CN212131487U (zh) 手动轮式机构
CN114321444B (zh) 多功能比例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