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23Y1 - 밧데리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밧데리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23Y1
KR200237623Y1 KR2020010010135U KR20010010135U KR200237623Y1 KR 200237623 Y1 KR200237623 Y1 KR 200237623Y1 KR 2020010010135 U KR2020010010135 U KR 2020010010135U KR 20010010135 U KR20010010135 U KR 20010010135U KR 200237623 Y1 KR200237623 Y1 KR 200237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attery
triac
polarity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23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을 시킬수 있는 밧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 사용자들에게 편리성 제공을 위한 밧데리의 극성에 관계없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용 교류전원을 제1차 코일에 인가하여 소정비율 비례한 교류 전압을 제2차 코일에서 출력하는 전압 변환 수단부와; 상기 전압 변환 수단부에 유기된 전류를 정방향 전류만 흐르도록 스위칭 하는 전류 흐름 제어부와;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 필요로 하는 트리거 전류를 흘려주는 게이트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신호 입력부의 전류 경로를 제공하고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밧데리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시 밧데리의 극성을 매번 확인하고 일치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밧데리 충전 장치{APPARATUS FOR BATTERY CHARGE}
본 고안은 밧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사용자들에게 편리성 제공을 위한 밧데리의 극성에 관계없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밧데리를 충전할 경우 밧데리의 극성과 그 충전 장치의 극성을 일치시켜야만 충전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극성을 구별해서 충전을 시켜야 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밧데리의 극성을 확인하지 않고 충전할 시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함으로 밧데리 충전시 항상 극성을 일치시켜 충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트라이액 소자를 사용하여 충전시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밧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밧데리의 충전 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압 변환 수단부 12: 전류 흐름 제어부
13: 게이트 신호 입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용 교류전원을 제1차 코일에 인가하여 소정비율 비례한 교류 전압을 제2차 코일에서 출력하는 전압 변환 수단부; 상기 전압 변환 수단부에 유기된 전류를 정방향 전류만 흐르도록 스위칭 하는 전류 흐름 제어부와;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 필요로 하는트리거 전류를 흘려주는 게이트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신호 입력부의 전류 경로를 제공하고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장치에 관한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용 교류전원(AC)을 제1차 코일에 인가하여 소정비율 비례한 교류 전압을 제2차 코일에서 출력하는 전압 변환 수단부(11)와; 상기 전압 변환 수단부(11)에 유기된 전류를 정방향 전류만 흐르도록 스위칭 하는 전류 흐름 제어부(12)와;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12)의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 필요로 하는 트리거 전류를 흘려주는 게이트 신호 입력부(13)와; 상기 게이트 신호 입력부(13)의 전류 경로를 제공하고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D1, D2)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용 교류 전원(AC)를 소정 권선비로 변압시켜 그에 따라 유기되는 전압 변환 수단부의 2차측 양(+)의 전류의 반사이클 구간 동안 제1 트라이액(TRIAC 1)은 다이오드(D3) 및 저항(R1)에 의해 게이트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온 상태가 되고 다이오드(D2)를 거쳐 밧데리(BAT 1)를 충전시키는 제1 경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수단부의 2차측에 음(-)의 전류가 흐르는 반사이클 구간에서는 다이오드(D4) 및 저항(R2)에 제2 트라이액(TRIAC2)의 게이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트라이액(TRIAC 2)은 도통 상태가 되어 상기 제2트라이액(TRIAC 2)과 다이오드(D1)를 거쳐 밧데리(BAT 2)를 충전시키는 제2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양방향 트라이액(TRIAC 1,TRIAC 2)은 밧데리(BAT 1,BAT 2) 극성에 관계없이 어느 극성 상태에서나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밧데리 극성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시 밧데리의 극성을 매번 확인하고 일치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용 교류전원을 제1차 코일에 인가하여 소정비율 비례한 교류 전압을 제2차 코일에서 출력하는 전압 변환 수단부와; 상기 전압 변환 수단부에 유기된 전류를 정방향 전류만 흐르도록 스위칭 하는 전류 흐름 제어부와;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조건으로 필요로 하는 트리거 전류를 흘려주는 게이트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신호 입력부의 전류 경로를 제공하고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는 변압기 2차측 양의 전압시 제1 트라이액의 게이트 전류에 의해 도통되어 충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1 트라이액과, 변압기 2차측에 유기된 음의 전압에서도 제2 트라이액의 게이트 전류에 의해 도통되어 충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2 트라이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흐름 제어부의 기동 신호로 작용되는 게이트 신호 입력부는 양의 주기에서 제1 트라이액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다이오드와 제1 저항, 음의 주기에서 제2 트라이액을 동작시켜 밧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제2 다이오드와 제2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충전 장치.
KR2020010010135U 2001-04-11 2001-04-11 밧데리 충전 장치 KR200237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35U KR200237623Y1 (ko) 2001-04-11 2001-04-11 밧데리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35U KR200237623Y1 (ko) 2001-04-11 2001-04-11 밧데리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23Y1 true KR20023762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35U KR200237623Y1 (ko) 2001-04-11 2001-04-11 밧데리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1384B2 (ja) Dc−dcコンバータ
CN101207336B (zh) 电源转换器的晶体管驱动电路
ATE383672T1 (de) Ein schaltnetzteil mit synchrongleichrichtung
WO2009057277A1 (ja) 電源装置
JP200526112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RE41015E1 (en) Bicycle battery charger and speedometer circuit
US20020041478A1 (en) Circuit for driving a solenoid
JP2005522177A5 (ko)
KR200237623Y1 (ko) 밧데리 충전 장치
RU2420858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сх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ребителем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717013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JP2014138531A (ja) 電源装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84530Y1 (ko) 단상 유도전동기의 전자식 기동장치
WO2008087951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5796172B2 (ja) 2線式負荷制御装置
US7166932B2 (en) Power circuit
JP3493226B2 (ja) 発電機の電圧調整回路
KR101501090B1 (ko) 절연형 전력변환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JP5073847B1 (ja) 二次電池の充放電方法
WO2002089286A8 (en) Dc-dc conversion charging apparatus
KR101921226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JP6090642B2 (ja) 充電装置
JPH07308062A (ja) 一石フォワードコンバータ
KR100234753B1 (ko) 저전력 스탠바이 회로
SU1408435A1 (ru) Экстремальный регул тор мощ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