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91Y1 -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 Google Patents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91Y1
KR200237291Y1 KR2020010011697U KR20010011697U KR200237291Y1 KR 200237291 Y1 KR200237291 Y1 KR 200237291Y1 KR 2020010011697 U KR2020010011697 U KR 2020010011697U KR 20010011697 U KR20010011697 U KR 20010011697U KR 200237291 Y1 KR200237291 Y1 KR 200237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container
inlet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6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to KR202001001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91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와, 유체의 배출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대향되어 형성된 유출구를 갖는 유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부캡과; 상기 공기 유입공에 대향되는 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캡과의 접근시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둘레영역에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체용기에 저장된 유체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ontainer having an inlet for injecting a fluid and an outlet formed opposite to the inlet for discharging the fluid, the outer container having at least one air inlet formed in the inlet for discharging air A cap;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an area opposite the air inlet hole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hole when approaching the outer cap, and an inner cap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a plate surface in a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As a result, the fluid stored in the fluid container can be easily and simply discharged.

Description

유체용기{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본 고안은, 유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배출시 주입구의 내부캡과 외부캡을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하는 유체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container that can easily discharge the fluid without separating the inner cap and the outer cap of the inlet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일반적으로 유체용기는, 물, 석유, 페인트 등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저장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플라스틱 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the fluid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fluids such as water, petroleum, paint, etc., and may be formed of plastic resin or metal according to the type of fluid to be stored.

도 4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51)의 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유체용기(51)는 사각통상 또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유체용기(51)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체용기(51)의 상부면에는 유체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53)와 유체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도시치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주입구(53)와 배출구 사이에는 손잡이(도시치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id container 51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Typically, the fluid container 51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hape, the fluid container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container 51 is formed with an inlet 53 for injecting a fluid and an outlet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fluid, and a handle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53 and the outlet. Formed.

주입구(53)와 배출구는 모두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된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에는 원하는 곳에 용이하게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자바라 형상의 배출관이 장착되어 있고, 주입구(53)에는 주입구(53)의 개폐를 위한 내부캡(60)과 외부캡(65)이 장착되어 있다. 내부캡(60)은 주입구(53)의 내경면에 접하도록 주입구(53)에 결합되며, 외부캡(65)은 주입구(53)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외부캡(65)의 결합을 위해 주입구(53)의 외경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캡(65)의 내경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Both the injection port 53 and the discharge port are formed in a tubular shape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 outlet port is equipped with a bellows-shaped discharge tube so that the flui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esired place, the inlet 53 is equipped with an inner cap 60 and an outer cap 6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53. The inner cap 60 is coupled to the inlet 53 to contact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let 53, the outer cap 65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53.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53 to couple the outer cap 65, and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outer cap 65.

이러한 유체용기(51)에 유체를 저장 및 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of storing and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fluid container 51 as follows.

먼저, 유체용기(51)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주입구(53)에 결합된 외부캡(65)과 내부캡(60)을 주입구(53)로부터 분리한 다음, 주입구(53)를 통해 유체를유입시켜 유체가 유체용기(51)에 수용되도록 한다.First, in order to store the fluid in the fluid container 51, the outer cap 65 and the inner cap 60 coupled to the inlet 53 are separated from the inlet 53, and then the fl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3. Th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fluid container 51.

그런 다음, 유체용기(51)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유체용기(51)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유체용기(51)를 들고, 배출구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유체용기(51)를 배출구 영역으로 기울인다. 이 때, 배출구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게 되면, 유체용기(51)내의 유체가 배출되는 만큼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은 진공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유체가 배출되면서 소정의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유체용기(51)내로 유입되기는 하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많을 때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지 아니하여 유체의 배출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가 배출되며 생기는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주입구(53)에 결합된 내부캡(60)과 외부캡(65)을 주입구(53)로부터 분리함으로 써, 유체가 배출되는 동안 주입구(53)를 통해 공기가 유체용기(51)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Then, when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fluid stored in the fluid container 51, holding the fluid container 51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fluid container 51, holding the fluid container 51 to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ilt to the outlet area. At this time,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s much space as the fluid is discharged in the fluid container 51 is generated, this space forms a vacuum. Of course, while the fluid is discharged, a predetermin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container 51 through the outlet, but when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fluid is large, the amount of the air is not large so that it serves to reduce the discharge rate of the fluid. do. To prevent this, the fluid is discharged by separating the inner cap 60 and the outer cap 65 coupled to the inlet 53 from the inlet 53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where the fluid is discharg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container 51 through the inlet 53 during the process.

그런데, 이렇게 주입구(53)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입구(53)로부터 내부캡(60)과 외부캡(65)을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출구를 통한 유체의 배출을 위해 유체용기(51)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유체용기(51)의 바닥면을 손으로 받치게 된다. 그러나, 유체용기(51)의 바닥면에는 작업자의 손을 지지해줄 만한 아무런 장치도 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작업자가 손에 힘을 많이 주어야 하며, 유체용기(51)의 바닥면이 지저분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더러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the inlet 53, the inner cap 60 and the outer cap 65 must be separated from the inlet 53, which causes troublesome work.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ilt the fluid container 51 to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operator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luid container 51 by hand. However, since there is no device on the bottom of the fluid container 51 to support the hand of the worker, the worker should give a lot of force to the hand, and if the bottom of the fluid container 51 is dirty, There is a problem that your hands get dirt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의 배출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container that can simplify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flui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용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분해 단면도,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according to FIG.

도 4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의 분해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fluid contain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유체용기 3 : 주입구1: fluid container 3: inlet

5 : 배출구 7 : 배출관5: outlet 7: outlet

10 : 내부캡 11 : 융기부10: inner cap 11: ridge

12 : 관통공 13 : 캡이탈구12: through hole 13: cap release

15 : 외부캡 16 : 공기유입공15: outer cap 16: air inlet hole

17 : 함몰부 20 : 손잡이홈17: recess 20: handle groove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유체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와, 유체의 배출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대향되어 형성된 배출구를 갖는 유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부캡과; 상기 공기유입공에 대향되는 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캡과의 접근시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둘레영역에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uid container having an inlet for injecting the fluid and the outlet formed opposite to the inlet for the discharge of the fluid, at least one air is installed in the inlet for the discharge of air An outer cap formed with an inlet hole;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an area opposed to the air inlet hole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hole when approaching the outer cap, and an inner cap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a plate surface in a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achieved by a fl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이웃하는 측벽중 어느 일측의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groove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is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an edge of any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손잡이홈은 상기 주입구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injection ho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본 유체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용기(1)는 원통이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fluid container,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in a square cylinder, the fluid container 1 may be formed in a cylinder or other forms, of course.

유체용기(1)의 상부면에는 유체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3)와, 주입구(3)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구(3)와 배출구(5) 사이에는 손잡이(9)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9)는 유체용기(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An inlet 3 for injecting fluid and an outlet 5 for discharging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let 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container 1, and the inlet 3 and the outlet 5 are formed. The handle 9 is formed between (). The handle 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uid container 1,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in a 'reverse U' shape.

한편, 주입구(3)와 배출구(5)는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폭만큼 돌출된 관상으로 형성되며, 배출구(5)에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자바라 형태의 배출관(7)이 장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port 3 and the discharge port 5 is formed in a tubula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width, the discharge port 5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pipe 7 of bellows type for discharging the fluid.

주입구(3)에는 주입구(3)의 내경면에 접하는 내부캡(10)과, 수나사산이 형성된 주입구(3)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부캡(15)이 결합되어 있다. 외부캡(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3)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 측벽과, 주입구(3)를 차단하는 상측벽을 가진다. 상측벽의 중앙영역에는 상측벽을 관통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벽의 내벽면에는 공기유입공(16)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 함몰된 함몰부(17)가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3 has an inner cap 10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let 3 and an outer cap 15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3 on which male threads are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outer cap 15 has a side wall on which a female thread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3, and an upper wall blocking the injection hole 3. An air inlet hole 16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upper wall, and an inner wall of the upper wall has a predetermined recessed portion 17 in the region where the air inlet hole 16 is formed. Is formed.

내부캡(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3)의 내경면에 접하는 측벽과, 주입구(3)를 차단하는 바닥면을 가지며, 측벽의 일측에는 내부캡(10)을 주입구(3)로부터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손가락공을 갖는 캡이탈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의 중앙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캡(15)의 공기유입공(16)에 대응되는 원통상의 융기부(11)와, 융기부(11)의 둘레영역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융기부(11)는 내부캡(10)의 측벽보다 소정 높게 형성되며, 주입구(3)에 내부캡(10)과 외부캡(15)의 결합시 외부캡(15)의 공기유입공(16)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융기부(11)는 외부캡(15)의 함몰부(17)와 형상맞춤되어 공기유입공(16)을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외부캡(15)을 내부캡(10)으로부터 소정 이격시키면 공기유입공(16)이 개방되어 내부캡(10)의 관통공(12)가 외부캡(15)의공기유입공(16)을 통해 유체용기(1)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상호 유동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ner cap 10 has a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3 and a bottom surface blocking the injection hole 3, and an inner cap 10 at one side of the side wall. The cap release port 13 which has a finger ball is formed so that () may be easily removed from the injection port 3. In the center area of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protrudes from the plate surface and corresponds to the air inlet hole 16 of the outer cap 1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ridge 1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through the surface are formed. Here, the ridge 11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wall of the inner cap 10, the air inlet hole of the outer cap 15 when the inner cap 10 and the outer cap 15 is coupled to the inlet 3 ( Block 16). In addition, the ridge 11 may be fitted with the recessed portion 17 of the outer cap 15 to seal the air inlet hole 16 in an airtight manner, and the outer cap 1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p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air inlet hole 16 is opened, the through hole 12 of the inner cap 10 allows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fluid container 1 to flow through the air inlet hole 16 of the outer cap 15. It becomes possible.

한편, 주입구(3)가 형성된 상부면에 대향되는 유체용기(1)의 바닥면의 일영역에는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된 손잡이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홈(20)은 바닥면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유체용기(1)의 측벽을 향하는 손잡이홈(20)의 일측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절취되어 있다.Meanwhile, a handle groove 20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luid container 1 opposite to the top surface on which the injection hole 3 is formed. The handle groove 20 is form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ne side of the handle groove 20 toward the side wall of the fluid container 1 is cut out from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구성에 의한 유체용기(1)를 이용하여 유체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fluid using the fluid container 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유체용기(1)의 주입구(3)에 결합된 외부캡(15)을 주입구(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리면, 외부캡(15)과 내부캡(10)이 점차 이격된다. 이에 따라, 내부캡(10)의 융기부(11)와 외부캡(15)의 함몰부(17)가 상호 이격되어 외부캡(15)의 공기유입공(16)이 개방된다. 그러면, 내부캡(10)의 관통공(12)과 외부캡(15)의 공기유입공(16)이 상호 연통되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공(16)과 관통공(12)을 통해유체용기(1)로 유입될 수 있다.First, when the outer cap 15 coupled to the inlet 3 of the fluid container 1 is turned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inlet 3, the outer cap 15 and the inner cap 10 are gradually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ridge portion 11 of the inner cap 10 and the recessed portion 17 of the outer cap 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open the air inlet hole 16 of the outer cap 15. Then, the through hole 12 of the inner cap 10 and the air inlet hole 16 of the outer cap 1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air inlet hole 16 and the through hole 12. It can flow into 1).

그런 다음, 작업자는 일측 손으로 유체용기(1)의 손잡이(9)를 파지하고, 다른 손을 손잡이홈(20)에 수용시켜 유체용기(1)를 받친다. 이런 상태에서 배출관(7)이 유체를 배출하고자 하는 장소를 향하도록 유체용기(1)를 기울인다. 그러면, 배출관(7)을 통해 유체용기(1)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외부캡(15)의 공기유입공(16)과 내부캡(10)의 관통공(12)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체용기(1)내로 유입된다.Then, the worker grips the handle 9 of the fluid container 1 with one hand, and accommodates the fluid container 1 by accommodating the other hand in the handle groove 20. In this state, the fluid container 1 is inclined so that the discharge pipe 7 faces the place where the fluid is to be discharged. Then,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fluid container 1 through the discharge pipe 7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inlet 16 of the outer cap 15 and the through hole 12 of the inner cap 10.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container (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캡(10)과 외부캡(15)에 상호 연통되는 공기유입공(16)과 관통공(12)을 형성하고, 유체의 저장시에는 공기유입공(16)을 폐쇄하고 유체의 배출시에는 외부캡(15)을 살짝 돌려 공기유입공(16)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배출시 내부캡(10)과 외부캡(15)을 모두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외부캡(15)과 내부캡(10)의 분리로 인한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용기(1)의 바닥면에 손잡이홈(20)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용기(1)를 기울이기가 용이하며, 손잡이홈(20)이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손이 더러워질 염려가 없다. 이에 따라, 유체의 배출작업이 간편하게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hole 16 and the through hole 12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ap 10 and the outer cap 15, and the air inlet hole 16 is closed when the fluid is stored.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by turning the outer cap 15 slightly so that the air inlet hole 16 is opene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both the inner cap 10 and the outer cap 15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ssle caused by the separation of the outer cap 15 and the inner cap 10. In addition, by forming the handle groove 2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uid container 1, it is easy to tilt the fluid container (1), since the handle groove 20 is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operator's hands are dirty There is no worry about quality. As a result,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fluid is easily facilit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용기에 저장된 유체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discharge the fluid stored in the fluid container.

Claims (3)

유체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와, 유체의 배출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대향되어 형성된 배출구를 갖는 유체용기에 있어서,In the fluid container having an inlet for injecting the fluid and the outlet formed opposite to the inlet for the discharge of the fluid,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외부캡과;An outer cap installed at the inlet and having at least one air inlet hole for discharging air; 상기 공기유입공에 대향되는 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부캡과의 접근시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둘레영역에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an area opposed to the air inlet hole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hole when approaching the outer cap, and an inner cap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a plate surface in a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Fl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이웃하는 측벽중 어느 일측의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And a handle groove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region adjacent to an edge of any one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손잡이홈은 상기 주입구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The handle groove is a fl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pposed to the inlet.
KR2020010011697U 2001-04-23 2001-04-23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KR2002372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697U KR200237291Y1 (en) 2001-04-23 2001-04-23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697U KR200237291Y1 (en) 2001-04-23 2001-04-23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91Y1 true KR200237291Y1 (en) 2001-10-12

Family

ID=7306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697U KR200237291Y1 (en) 2001-04-23 2001-04-23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9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804B1 (en) Plug device for sealing liquid container
US6045013A (en) Container containing liquid or the like therein
US6138290A (en) Movable fitting members for use with drain fittings
US4625884A (en) Jug, more particularly insulating jug
US20080210658A1 (en) Liquid Container
US5005732A (en) Oil can spout with flow control
KR200237291Y1 (en) fluid container for the liquid
JPH08117119A (en) Plug body of liquid vessel
KR200196149Y1 (en) A water pail equipped with air passageway
JP4869914B2 (en) container
KR20020026069A (en) A cover of a liguid container
KR0122554Y1 (en) Air pouring equipment of liquid receptacle
KR200179890Y1 (en) Liquid vessel of air suction tool
KR200305965Y1 (en) discharge structure of liquid case
KR200265447Y1 (en) storage container
JP4757526B2 (en) Weighing cap
KR200208366Y1 (en) Grease container with inner floating disk
KR0138487B1 (en) Liquid storage case
KR200197302Y1 (en) Cap of storage vessel
KR200174563Y1 (en) A dipper which is used as a funnel
JP2007302253A (en) Discharging container
KR970003538Y1 (en) Air injection & discharge hole for a air-mat
KR940004007Y1 (en) Device for discharging contents used in container for liquid
KR100549441B1 (en) Container and Device for opening container
KR200235162Y1 (en) A structure of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