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76Y1 - 숏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숏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76Y1
KR200237276Y1 KR2020010011331U KR20010011331U KR200237276Y1 KR 200237276 Y1 KR200237276 Y1 KR 200237276Y1 KR 2020010011331 U KR2020010011331 U KR 2020010011331U KR 20010011331 U KR20010011331 U KR 20010011331U KR 200237276 Y1 KR200237276 Y1 KR 200237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distribution port
hole
forming apparatus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보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보스틸
Priority to KR2020010011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76Y1/ko

Links

Landscapes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소정의 구멍을 가진 분배구(30)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수장하는 냉각통(12)으로 구성되는 숏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3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32)과 동일하게 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부착되는 세라믹판(3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숏트 셩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숏트 성형장치{SHOT MOLDING DEVICE}
본 고안은 숏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각종 표면연마를 목적으로 하는 숏 피닝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숏트를 성형하기 위한 숏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숏트는 강철 및 주철 그리고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성형되는 소립자로서 피가공품의 표면에 투사되면서 표면을 연마하거나 청소하는 숏 피닝작업 혹은 숏 블라스트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숏트는 로(爐)에서 용융된 금속을 분배구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배출시키게 되면서 원형상태가 되도록 성형을 하게 되는 것으로, 탕도와 연결되는 분배구를 가진 투입장치와, 상기 투입장치의 아래에서 회전하는 턴 테이블과,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숏트 성형장치에 의해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분배구는 금속소재로서 저면 바닥에 다수의 구멍을 가진 것으로 고온의 용융금속이 계속적으로 통과하게 됨에 따라 상기 구멍은 내측면이 미세하게 용융되면서 점차 구멍의 크기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성형되는 숏트의 입자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상기 분배구는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고정식 분배구는 미세한 구멍으로 통과되는 용융금속의 배출속도가 느리게 되면서 생산량이 저하된다. 그리고 냉각수의 원활한 소통이 되지 않아 작업성이 좋지 않고, 숏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분배구의 구멍을 보호하게 되면서 분배구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숏트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배구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서 미세한 구멍으로 용융금속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숏트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숏트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숏트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중앙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숏트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숏트 성형장치에서 투입장치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턴 테이블 12:냉각통
14:회전축 18:스크레이프
20:팽창탱크 22:냉각수 저장탱크
30:분배구 32:구멍
34:세라믹판 36:구멍
40:기둥 100:본체
110:투입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숏트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중앙 단면도로서 구동장치(16)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소정의 구멍을 가진 분배구(30)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수장하는 냉각통(12) 및 냉각수 저장탱크(22)로서 구성된다.
도면에 따르면, 하부의 회전축(14)은 일측으로 소정의 기어와 구동장치(16)가 장착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14)의 상부에는 원형의 턴테이블(1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는 냉각통(12)이 장착되어 외부의 냉각수 공급수단에 의해 냉각수가 수장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0)의 일측 상부에는 기둥(40)에 부착된 지지대(42) 위로 안착되는 분배구(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3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미세한 바람직하게는, 얻고자 하는 숏트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의 구멍(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30)의 상부에는 로(爐)와 연결된 탕도(50)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배구(30)의 내부에는 세라믹판(34)이 끼워지며 분배구의 바닥면과 고정된다. 상기 세라믹판(34)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분배구에 형성된 구멍(32)과 동일한 위치 및 크기의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탕도를 통해 분배구 내부로 투입된 용융금속은 상기 세라믹판(34)의 구멍(36)을 통과하여 턴테이블 위로 떨어지게 되는 것으로, 내열성이 강한 세라믹판은 각 구멍을 통해 고온의 용융금속이 통과하게 되더라도 구멍의 변화가 생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30)를 고정시키는 기둥(40)에는 일측면으로 통상의 바이브레이터(44)가 장착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44)는 기둥과 지지대(42)를 통해 상기 분배구(30)에 진동을 주게 되는 것으로 분배구(30)에 채워진 용융금속을 구멍(32,36)으로 더욱 신속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10)의 중앙 상부에는 냉각수 저장탱크(22)가 구비되고 냉각수 공급관(24)에 의해 냉각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22) 하부로 연결된 공급관(26)은 턴테이블 하부의 냉각통(12) 내측면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10) 및 냉각통(1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22) 역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0)의 내측 상면에는 위로 돌출되는 팽창탱크(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탱크 내측면으로 드레인관(28)이 연결되어 하부의 드레인 탱크(29)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통(12) 내부의 냉각수가 상기 용융금속에 의해 고열이 될 때 팽창탱크 내부로 이동된 냉각수는 드레인관(28)을 통해 드레인 탱크(29)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숏트 성형장치는 로(爐)에서 용융된 금속이 탕도(50)를 통해 분배구(30)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용융금속은 세라믹판(34) 및 분배구(30)의 각 구멍(36,32)을 통해 배출되면서 미세한 입자로 턴테이블(10) 위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융금속 입자는 턴테이블의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되면서 고체상태의 숏트로 완성되는 것으로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후방에 설치된 스크레이퍼(18)에 의해서 턴테이블의 외측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숏트 성형장치는 고열의 용융금속이 분배구(30)의 구멍(32)을 통과하게 되더라고 내열성이 강한 세라믹판(34)의 구멍(34)은 크기가 변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분배구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완성된 숏트는 항상 일정한 크기로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가 바이브레이터(44)의 동작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서, 용융금속의 배출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숏트의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통(12)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는, 냉각수 저장탱크에서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고 팽창탱크를 통해 고온의 냉각수가 배출되게 되면서 냉각효과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는 숏트의 성형성이 좋아 품질이 향상된다.

Claims (3)

  1.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소정의 구멍을 가진 분배구(30)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수장하는 냉각통(12)으로 구성되는 숏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3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32)과 동일하게 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부착되는 세라믹판(3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숏트 셩형장치.
  2.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소정의 구멍을 가진 분배구(30)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수장하는 냉각통(12)으로 구성되는 숏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30)를 고정시키는 기둥(40)의 일측으로 바이브레이터(44)가 장착되어 상기 분배구에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트 성형장치.
  3.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소정의 구멍을 가진 분배구(30)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수장하는 냉각통(12)으로 구성되는 숏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0)의 상부에는 냉각수 저장탱크(22)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에 연결된 공급관(26)은 턴테이블 하부의 냉각통(12)과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내측 상면에는 위로 돌출되는 팽창탱크(20)가 구비되며, 상기 팽창탱크 내측면으로 드레인 관(28)이 연결되어 하부의 드레인 탱크(29)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숏트 성형장치.
KR2020010011331U 2001-04-20 2001-04-20 숏트 성형장치 KR200237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31U KR200237276Y1 (ko) 2001-04-20 2001-04-20 숏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31U KR200237276Y1 (ko) 2001-04-20 2001-04-20 숏트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76Y1 true KR200237276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31U KR200237276Y1 (ko) 2001-04-20 2001-04-20 숏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62093A (en) Means for making abrasive material
US3594142A (en) Processes for the pelletization of metallurgical slag
KR19990013759A (ko) 반응고 상태의 금속슬러리 제작방법
SU143339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нкого измельчени материалов
KR200237276Y1 (ko) 숏트 성형장치
CN1886216B (zh) 用于制作半固态金属浆的设备
JP2008000776A (ja) スラリー製造方法及びスラリー製造装置
JP2008000777A (ja) スラリー製造方法及びスラリー製造装置
JP2001198827A (ja) ブラスト加工装置
KR101063435B1 (ko) 신속한 열교환 기능을 갖는 주물사 냉각장치
KR100619133B1 (ko) 비철금속 연속주조장치
US448885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wder by dividing a melt
JP2000280162A (ja) 円盤状物品の振動バレル研磨方法及びそのための振動バレル研磨装置
JPH0417605A (ja) 急冷凝固金属粉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SU865506A1 (ru) Зали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обежнолитейных машин
CN210587007U (zh) 一种均匀的淋沙机
US2230617A (en) Forming metal pellets
SU541861A1 (ru) Наклонный барабан
JPH01182029A (ja) バレル研磨用メディアの製造法
KR101820686B1 (ko) 연주용 침지노즐 장치
JP2883531B2 (ja) 羽口清掃装置およびその清掃方法
JP2672039B2 (ja) 金属粉末製造方法
KR20000011815U (ko) 연주기용 몰드 냉각장치
JPH04337018A (ja) 金属粉末製造装置
JPH01139708A (ja) 急冷凝固式金属粉末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