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46Y1 -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46Y1
KR200237146Y1 KR2020010007983U KR20010007983U KR200237146Y1 KR 200237146 Y1 KR200237146 Y1 KR 200237146Y1 KR 2020010007983 U KR2020010007983 U KR 2020010007983U KR 20010007983 U KR20010007983 U KR 20010007983U KR 200237146 Y1 KR200237146 Y1 KR 200237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eight
elliptical
height adjustm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2001000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46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포스트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원장공(9)이 내장된 직사각형의 하부 포스트(4)를 이용하여 타원형의 상부 포스트(3)를 높이조절캡(2)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확한 면에 상부포스트(3)을 고정시켜 간편,견고하면서도 미관상 좋은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바닥과 천정의 반력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이고 타원장공(9)이 내장되어있는 하부포스트(4)와 여기에 삽입될 타원형의 상부포스트(3)를 이용하여 하나의 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의 포스트가 설치가 되기 위해서는 상부포스트(3)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하부포스트(4)의 상단면에 장착된 높이조절캡(2)에 의해 상부포스트(3)의 적정한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포스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바, 상기의 높이조절캡(2)의 상단면에는 양방으로 상부포스트(3)를 잡아주는 스프링반력기능이 있는 양방의 래치(5a)형식의 물림스토퍼(5)기능으로 인해 상부포스트(3)의 면을 밀착시켜 물림고정시킴으로서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바, 본 고안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며 상부포스트(3)의 정확한 면에 고정이 가능하며 미관상 깨끗함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omitted}
본 고안은 각종 포스트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타원장공(9)이 내장된 직사각형의 하부 포스트(4)를 이용하여 타원형의 상부 포스트(3)를 높이조절캡(2)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확한 면에 상부포스트(3)을 고정시켜 간편,견고하면서도 미관상 좋은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닥과 천장 상간에 반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는 다양한 높이조절수단이 있으나, 그 중 포스트를 이루는 하부포스트의 상단에 캡을 씌워 삽입되는 상부포스트의 적정한 위치에 나사를 조임으로서 상부포스트가 고정됨으로서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바, 상기의 나사조임방법은 상부포스트의 면에 심각한 흠집을 내게 되어 고정위치를 이동할 시에는 그 흠집이 외부에 노출이 되게 되어 미관상 상당히 좋지 않으며 높이의 조절시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나사를 힘들게 조여야 하는 설치의 어려움이 있는 등에 비추어 간편, 견고하면서도 미관이 좋은 새로운 높이조절수단의 개발이 절실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타원형의 상부포스트(3)와 직사각형태이며 타원장공(9)이 내장되어 있는 하부포스트(4)와 하부포스트의 상단부에 타원공(8)이 형성되어 있고 래치(5a)형식의 복수개의 물림스토퍼(5)와 판스프링(6)을 요입홈(7)에 장착하여 반력에 의한 물림방식을 이용하여 물림스토퍼(5)가 상부포스트(3)에 물림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며 상부포스트(3)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높이고정캡의 고정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2:높이조절캡
3:상부포스트 4:하부포스트
5:물림스토퍼 5a:래치
5b:조절대 5c:고정대
6:판스프링 7:요입홈
8:타원공 9:타원장공
10:높이조절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높이고정캡의 고정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요부를 발췌한 투시도이며, 도 4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을 상기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1)는 대분하여 타원형의 상부포스트(3)와 이에 끼움연결되는 타원장공(9)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하부포스트(4), 그리고 하부포스트(4)의 하단에 연결되는 돌림나사식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하부높이조절대(10)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포스트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의 하부포스트(4)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포스트(3)를 고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고정캡(2)을 집중적으로 개량하였다.
상기의 하부포스트(4)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높이고정캡(2)은 하부포스트(4)와 높이고정캡(2)의 타원공(8)에 삽입되는 타원형의 상부포스트(3)를 고정시킴으로서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의 높이 고정캡(2)의 중앙에는 타원공(8)이 형성되고 타원공의 넓은 양방에는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상부가 타원공(8)쪽으로 밀려나가려는 성질의 래치(5a)형식의 물림스토퍼(5)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 상부포스트(3)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래치형식의 물림스토퍼(5)의 조절대(5b)를 타원공의 반대쪽으로 밀어서 상부포스트를 높이조절캡(5)과 하부포스트의 타원장공(9)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부포스트(3)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물림스토퍼(5)의 조절대(5b)를 놓게되면 판스프링(6)의 힘으로 상부포스트(3)의 벽면에 밀착하게 되어 양방에서 물림스토퍼(5)가 상부포스트(3)를 물게 되는 형태가 되므로 상부포스트(3)는 완전히 고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높이고정캡(2)의 중앙에 형성된 타원공의 양방의 각 요입홈(7)내에 고정장착되는 래치형식의 각 물림스토퍼(5)는 그 하면에 횡으로 소형장공이 형성되어 고정대(5c)을 연결함으로서 물림스토퍼(5)를 높이고정캡(2)의 요입홈(7)에 고정시키고 또한 U자형의 철판으로 된 판스프링(6)을 요입홈(7)의 내의 물림스토퍼(5)의 뒷면에 장착하여 판스프링(6)의 반력에 의하여 물림스토퍼(5)를 타원공(8)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판스프링(6)을 장착하게 되면 높이고정캡(2)의 구성은 완성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결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자면, 먼저 직사각형태의 하부포스트(4)의 상단부에 높이고정캡(2)이 장착되는바, 높이고정캡(2)은 중앙에 타원공(8)이 형성된 양방에 래치(5a)형식의 물림스토퍼(5)와 철판스프링이 들어갈 정도의 여유의 요입홈(7)이 형성되고 상기의 요입홈에 판스프링(6)이 먼저 장착되고 물림스토퍼(5)는 고정대(5a)를 요입홈(7)에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장착이 되어 조절대(5b)의 상하의 조작으로 물림스토퍼(5)의 상하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바, 물림스토퍼의 조절대(5b)를 타원공(8)의 반대쪽으로 밀면 상부포스트(3)가 원활하게 높이 조절캡(2)의 타원공(8)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지고 이때 원하는 높이에 맞추어 물림스토퍼의 조절대(5b)를 놓으면 판스프링(6)의 반력으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물림스토퍼(5)는 상부포스트(3)에 물림밀착하게 되고 결국은 물림스토퍼(5)가 상부포스트(3)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그러나 이상태는 다소 느슨한 상태가 될 수 있는바, 하부포스트(4)의 하단에 있는 높이조절대(10)를 회전시켜 미세한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서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서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의 포스트는 조립식으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설치된 포스트를 분리하고자 할 때 에는 높이조절캡(2)의 래치형식의 물림스토퍼(5)의 조절대(5c)를 반대면으로 밀어 상부포스트(3)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 상태에서 상부포스트를 분리시키면 쉽게 분해 및 분리가 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재설치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1)는 기존의 나사등을 이용함으로서 번거로우면서도 기둥에 흠집이 발생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지않는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직사각형태이며 타원장공이 형성된 하부포스트에 타원형의 상부기둥을 장착함으로서 포스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여 분리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나사등을 사용하지 않아 기둥의 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아 미관상 수려한 점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바닥과 천정의 반력에 의해 설치되며, 직사각형태이며 타원장공(9)이 내부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포스트(4)와 타원형의 상부 포스트(3)가 결합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1)에 있어서;
    상기의 직사각형태의 하부 포스트(4)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중앙에 타원공(8)이 형성되고 타원공의 상단면의 양방에 형성된 각 요입홈(7)에는 U자형의 판스프링(6)이 각 내장되고 판스프링(6)의 반력에 의해 작동되는 조절대(5b) 및 고정대(5c)가 형성된 래치(5a)형식의 물림스토퍼(5)가 각 결합 장착되어 판스프링(6)의 반력으로 물림스토퍼(5)가 상부 포스트(3)를 물림 고정시켜 주는 직사각형태의 높이조절캡(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10007983U 2001-03-19 2001-03-19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237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983U KR200237146Y1 (ko) 2001-03-19 2001-03-19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983U KR200237146Y1 (ko) 2001-03-19 2001-03-19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46Y1 true KR200237146Y1 (ko) 2001-10-08

Family

ID=7309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983U KR200237146Y1 (ko) 2001-03-19 2001-03-19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24B1 (ko) * 2020-01-29 2020-08-31 (주)정환 유아용 젖병 소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24B1 (ko) * 2020-01-29 2020-08-31 (주)정환 유아용 젖병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159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KR101596027B1 (ko) 입체감 구현이 가능한 천장마감시스템
KR200237146Y1 (ko) 포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426704Y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KR100827340B1 (ko) 창문용 크리센트
KR20080005702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JP4378758B2 (ja) 扉用ストッパー装置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200229948Y1 (ko) 원버튼식 샤워헤드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42742Y1 (ko) 독서실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0327604Y1 (ko) 드레스룸용 행거의 선반 높이 조절구
KR200192341Y1 (ko) 길이 조절용 밴드
JPS5940531Y2 (ja) 錠装置
KR200300716Y1 (ko) 등기구의 고정장치
JPS5911182Y2 (ja) 障子等の摺動装置
KR200372261Y1 (ko) 조립식 서랍
JPH0337466Y2 (ko)
CN213234658U (zh) 一种适配于移门导轨的滑轮组件和淋浴房
KR200362863Y1 (ko) 커튼봉 고정구
JPH0418443Y2 (ko)
KR930002228Y1 (ko) 키이보오드의 2단 경사 조절장치
KR940003929Y1 (ko) 인터폰 지지틀의 마감부재
KR200255960Y1 (ko) 미닫이 창문의 개방공간 설정장치
KR20040080082A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