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03Y1 -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03Y1
KR200237103Y1 KR2020010002602U KR20010002602U KR200237103Y1 KR 200237103 Y1 KR200237103 Y1 KR 200237103Y1 KR 2020010002602 U KR2020010002602 U KR 2020010002602U KR 20010002602 U KR20010002602 U KR 20010002602U KR 200237103 Y1 KR200237103 Y1 KR 200237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ower
rod
toile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KR2020010002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03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고안은 수세식좌변기에 있어서 용변후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는 고안으로 사용자가 좌판에 앉아 있는 동안의 체중을 이용하여 좌판 아래에 기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두어 사용자가 좌판에서 용변후 일어서면 기기가 작동 한다는 것이 본 고안의 요지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 변기.{A chamber pot drainage automatic by body weight.}
수세식 변기의 에 있어서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는 분야로 전자식센서에 의한 소변을 내려주는 기술이 종래 기술이며 좌변기의 경우는 손으로 물내림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이 종래의 기술임.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식 센서를 장착하기 어려워 전기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이에 대한 기술적 과제로는 습기에 대비 하는것 및 고장률이 없도록 하는 것이 과제가 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좌변기 사시도
도2는 본고안을 장착한 좌변기 사시도
도3 (a) 는 좌판 하단의 스위치 덮개
(b) 는 좌판 하단의 스위치
도4는 (a) 물내림 손잡이
(b) 손잡이 단면도
도5는 손잡이 강하 장치의 내부도
도6은 작동과정도
도7은 모타 동력선 스위치 부분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손잡이
2.물탱크
3.물탱크 덮개
4.좌판
5.충격완화 고무
6.전자석 스위치
7.균형을 위한 스프링
8.손잡이 강하장치
9.전선
10.물내림 쇠막대
11.끈걸이
12.충격완화 고무
13.끈스프링
14.승강봉
15.승강봉 상승용 스프링
16.승강봉의 전원 차단판
17.모타작동봉의 전원 차단판
18.모타작동봉 상승용 스프링
19.모타작동봉
20.전원 개폐돌기
21.전극심
22.전자석
23.전극
좌변기는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변기체가 세라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좌판을 두고 또 좌판(4)밑에 변기체와 좌판간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5)를 대고 있다.
본고안은 이 고무체에 손잡이 강하장치를 조작 할 수 있는 전원의 스위치를 내장하고 사용자가 변기에 앉았다 일어섰다 할 때의 체중을 이용하여 물내림 장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도5를 놓고 살펴본다.
도5의 그림은 물내림손잡이(1, 이하 손잡이라 칭함) 바로 및 에 부착시킨 손잡이 강하장치로 사용자가 좌판에 앉으면 체중에 의하여 좌판밑에 장착된 전자석(22) 스위치(6)가 눌리면서 전자석(22)이 작동된다. 전자석 스위치는 좌판 아래에 부착되어 있음은 전술했다.
전자석이 작동되면 자력의 힘으로 전자석 아래에 있는 모타작동봉(19,이하 작동봉이라 칭함.)이 전자석 에 달라붙으면서 작동봉 옆에 있는 모타스위치(21)를 작동 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즉 작동과정도인 도6의 두 번째 그림처럼 모타스위치가 (21) 수평으로 펴진다. 모타와 전자석은 각기 별도의 전원이 있으며 모타의 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타작동봉(19) 과 작동봉의 중간에 돌출된 원형의 돌기(20) 및 끝이 위로는 꺽여지지만 아래로는 꺽여지지 아니하는 모타스위치 (21) 의 특수한 형태에 의하여 모타가 한시적으로 작동된뒤에 모타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7에서 보는바와 같이 모타전원스위치(21)는 한쪽 끝이 위로는 꺽여지지만 아래로는 꺽여지지 않도록 되어있다.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6을 보면서 설명한다. 도6의 첫 번째 그림은 평상시의 상태로 전자석에 전원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이는 사용자가 앉아 있지 아니함을 뜻함) 작동봉이 그 자체의 중력으로 인해 아래로 내려와 작동봉을 올려주는 스프링(18)위에 얹혀있는 상태며 이때 모타스위치의 굴절되는 부분(21)이 작동봉돌기(20)옆에 위로 향하여 붙어 있다. 두 번째 그림은 전자석에 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로 (이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아 있음을 뜻함.)이때는 자력에 의해 작동봉이 전자석에 붙어 있으며 모타스위치(21)는 꺽여 있던 부분이 아래로 내려와 수평을 이루고 있다. 이때는 작동봉을 올려주는 스프링(18)과 작동봉(19)의 간격도 떨어져 있다. 작동봉을 받혀주는 스프링(18)을 둔 이유는 작동봉과 전자석의 간격을 가급적이면 좁히기 위해서 두었다. 세번째 그림은 다시 전자석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로(이는 사용자가 좌판에서 일어났음을 의미함.) 전자석에 자력이 상실되었으므로 작동봉이 자신의 무게에 의하여 다시 하강을 하게 된다.
작동봉이 하강 할 때는 내려오면서 작동봉돌기(20)에 의하여 모타전원 스위치가 옆으로 밀리면서 모타의 전원스위치가 서로 붙게되고 이때부터 모타가 돌면서 승강봉(14)과 승강봉 하단에 붙어 있는 전원차단판(16)이 동시에 밑으로 내려오고 승강봉의 상단은 물내림손잡이와 끈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물탱크의 물도 배수가 시작된다. 승강봉(도6에서 빗금부분)이 계속 아래로 내려오게되면 드디어 작동봉 하단에 붙어있는 작동봉전원차단판(17)을 눌러서 도6의 맨 끝그림처럼 작동봉의 돌기(20) 가 모타작동스위치(21)보다도 아래로 내려오고 또 이때 동시에 모타작동스위치(21)가 왼쪽으로 밀리면서 모타의 전원이 차단된다.
모타전원 스위치(21)는 작은판스프링(도7의 22)이 붙어 있으므로 평소에 전원스위치(21)를 왼쪽으로 밀고 있음. 모타의 전원이 차단되면 승강봉스프링(15)이 승강봉을 다시 위로 밀어올리고 (이때는 모타의 전원이 없으므로 모타의 회전축까지 역회전되면서 올라감) 작동봉은 하단에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약간 위로 올려지면서 다시 도6의 첫 번째 그림처럼 대기 상태로 된다. 이상이 작동과정의 일 순환이다.
승강봉이 하강 할때는 승강장치박스 상단이 도5에서 보는바와 같이 점선부분으로 휘어진다. 이는 방수를 위하여 박스 전체를 밀폐시켰고 상단부는 점선을 따라서 내려올수 있도록 신축성이 높은 고무로 처리했기 때문이다. 설치방법은 승강장치를 손잡이 하단에 강력본드로 붙이고난 뒤 박스 상단에 있는끈과 손잡이에 있는 연결고리(11)를 연결하면 된다. 전자석 스위치선(9)의 처리는 좌판자체가 '⊂'자의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좌판 아래의 코너선을 따라서 내려온 뒤 변기체와 물탱크가 만나는 코너선을 따라서 처리한 뒤 백색실리콘 등으로 접착한 한다.
물론 변기자체를 본고안에 따라 새로이 제작할 경우는 변기내부로 선을 처리할수있도록 제작함은 당연하지만 상기 설명은 기존의 변기에 장착 할 때의 설명이다.
좌판 아래의 전자석 스위치 역시 방수를 위해 고무커버로 완전히 감싸고 승강장치 내부도 꼭필요한 전자석에 붙어야 하는 작동봉의 상단만 철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모두 공업용 프라스틱등을 사용한다. 또 철재의 경우도 실리콘으로 얇게 포장을 하여 녹이 슬지 않도록 한다. 전자석 스위치는 어느정도 힘을 가해야 접선이되도록 스프링의 강도를 조절한다. 왜냐하면 청소등을 위해서 좌판을 덮는 정도로는 작동이 되지 아니해야 하고 사람의 평균체중 정도의 힘으로 누를 때 작동되도록 한다.
모타도 수중모타처럼 완전 방수처리를 하고 전원도 그다지 큰 힘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강압하여 12볼트정도로 사용함이 좋을 것이다 .항시 물이 많은 장소이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 감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다.
본 고안은 사람의 체중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센서등을 사용하는 경우처럼 오작동율이 없다. 즉 그냥 용변후 일어나면 그때 비로소 작동하고 배수가 되고 난뒤는 다시 전원이 차단된다.
본 고안은 집안은 물론 공중화장실에 설치하면 용변후 그냥 나가는 경우도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기 때문에 항상 위생적일 것이고 집에서도 어린애들에게 유용함은 물론 어른들도 용변후 세면하고 어쩌고 하다보면 깜박하고 그냥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편리하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장점을 찾을 수 있다. 사람의 습성은 하찮은 일일수록 귀찮아 하고 끝없는 편리성을 추구하도록 되어있다.
이는 남성용 소변기에 광센서에 의한 물내림장치를 보면 알 수 있다. 즉 바로 가슴 앞에 있는 손잡이도 누르기 귀찮아 하는데 좌변기의 경우는 용변후 뒤돌아서서 허리를 굽히고 손잡이를 눌러야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변후 일어서면 즉석으로 쏴 하면서 물을 내려주기 때문에 기분도 상쾌할 것이다.
또한 전자식 센서등에 의하여 죄변기에 물내림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여타센서를 이용할 경우는 많은 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마땅히 설치할 장소도 없다.
설령 등 뒤쪽에 설치를 한다해도 용변중 허리를 앞으로 굽히기도 하고 하는데 이런 때 오작동율도 높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간단한 장치로 해결되는 본 고안의 효과는 한층 높아지리라 본다.
끝으로 본 고안은 쭈그리고 앉는 변기의 경우도 전자석 스위치를 발로 밟는 부위에 설치하면 가능하다.

Claims (1)

  1. 변기의 물내림손잡이(1) 아래에 이 손잡이와 연결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봉(19)을 두고 이 승강봉은 모타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 뒤 모타에 전원이 들어올 때 승강봉이 하강하고 모타의 전원이 차단되면 승강봉은 승강봉상승스프링(15)에 의하여 다시 상승할 수 있도록 한 뒤 모타의 전원 개폐는 모타와 별개의 전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봉(19) 및 전자석(22)을 두고 이 작동봉이 상승할때는 모타선의 전원을 연결 할수 없지만 하강시는 모타선의 전원을 연결할수 있는 장치인 작동봉 돌기(20) 와 모타스위치(21)를 두어 작동봉은 작동봉 상단에 위치한 전자석의 전원이 들어올 때 상승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하강하도록 한 뒤 모타가 작동을 계속 함에 따라서 승강봉 하단에 있는 모타전원 차단판(16,17)이 작동봉을 아래고 끌어내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하고 전자석의 전원개폐는 좌판(4)아래에 부착시켜 사용자가 좌판에 앉으면 체중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일어서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 변기.
KR2020010002602U 2001-02-03 2001-02-03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KR200237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02U KR200237103Y1 (ko) 2001-02-03 2001-02-03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02U KR200237103Y1 (ko) 2001-02-03 2001-02-03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03Y1 true KR200237103Y1 (ko) 2001-09-26

Family

ID=7309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602U KR200237103Y1 (ko) 2001-02-03 2001-02-03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7818A (en) Toilet-seat flush-valve operating device
DK0722020T3 (da) Skylleindretning i en WC-cisterne
CN110080362A (zh) 一种自动翻盖和冲水的马桶
KR200237103Y1 (ko)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수장치를 작동시키는변기.
KR20100045804A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23763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JPH09316962A (ja) 電磁石で作動するトイレ用貯水タンクの排水装置
CN204023735U (zh) 便器电动排水阀
CN209854864U (zh) 一种多功能如厕系统
KR101071307B1 (ko) 풋 밸브를 구비한 소변기용 무전력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변장치
TWM550749U (zh) 預鑄浴廁平整蹲便結構
CN201771036U (zh) 一种低位自动冲厕水箱
KR100465195B1 (ko) 화변기 고정틀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CN2367647Y (zh) 门控式自动冲洗水箱
US20060031981A1 (en) Hands free toilet device
KR20150022496A (ko) 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101553350B1 (ko)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
CN2365278Y (zh) 抽水马桶机械式自动开闭盖冲水器
JP2002097697A (ja) 洋風便器装置
CN2484363Y (zh) 节水座便器
KR20180063639A (ko) 양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345810Y1 (ko) 수세식 좌변기의 자동 수세장치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CN2578418Y (zh) 自排式节水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