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536Y1 - 라이스쿡 - Google Patents

라이스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536Y1
KR200236536Y1 KR2020010006647U KR20010006647U KR200236536Y1 KR 200236536 Y1 KR200236536 Y1 KR 200236536Y1 KR 2020010006647 U KR2020010006647 U KR 2020010006647U KR 20010006647 U KR20010006647 U KR 20010006647U KR 200236536 Y1 KR200236536 Y1 KR 200236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mount
water
button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삼표
Original Assignee
성삼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삼표 filed Critical 성삼표
Priority to KR2020010006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536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종래에는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쌀을 씻어서 밥을 하여도 숙련되지 않으면 물 조절을 잘못하여 밥이 설거나 3층밥을 하여 난감하여야 하는 일이 자주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으며 또한 쌀통을 따로 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위의 모든 불편한 점을 해결하였다. 즉 많은 양의 쌀을 넣을 수 있어서 쌀통 역할을 할 수 있고 세곡기(27)의 작용으로 쌀을 깨끗이 씻어서 적절한 물의 양으로 밥을 하기 때문에 아무리 초보자라도 밥이 설거나 3층밥이 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밥의 양도 3단계로 나누어 사람의 인원수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쌀통의 역할과 쌀의 양 조절에서 쌀 씻기 물조절 밥짓기 보온 등을 취사 버튼하나로 해낼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라이스쿡{ELECTRONIC RICE COOK}
전기의 발명이 있기전 인류는 불을 이용한 화력으로 일일이 쌀을 씻어서 가마솥 등 유사한 용기를 사용하여 취사를 하였으나 전기의 발명이후 급속한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전기를 이용한 전기 밥솥이 개발되었고 나아가서 지금은 밥솥과 보온 밥통을 겸한 제품이 개발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쌀을 씻고 물을 조절하는 일은 취사시의 필수과정이다. 또한 취사시의 뜨거운 수증기에 의해 분별력이 없는 유아들이 화상을 입는 일이 종종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쌀통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쌀통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쌀의 양 조절과 쌀을 씻어서 밥을 완성하는 과정까지 취사버튼(5) 하나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번거로움과 수고를 덜 수 있으며 기계에 의한 정확한 물의 양 조절로 초보자라도 양질의 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유아의 사고방지도 막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별도의 쌀통과 쌀을 씻고 물을 조절해서 밥을 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별력 없는 유아들의 사고방지 및 시간소비등을 한 시스템에서 버튼하나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바쁜 현대인의 편리함과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 실생활에 일조를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A-A선의 종단면도
도 3은 밥솥(31)의 좌측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6:쌀조절기 31:밥솥 46:수평조절계기
2:출입문 17:개폐기 32:개폐기 47:센스
3:본체 손잡이 18:타구 33:지지대 48:통풍망
4:전원버튼 19:입수관 34:안정홈 49:쌀없음 표시등
5:취사버튼 20:계수기 35:밥통 50:감지기
6:양조절버튼 21:망 36:롤러 51:받침턱
7:물조절기 22:개폐기 37:열판 52:보온표시등
8:세곡기세척버튼 23:개폐기 38:받침대 53:감지기
9:본체뚜껑 24:배수관 39:열선
10:접지 25:개폐기 40:레일
11:출입버튼 26:모우터 41:밥솥뚜껑
12:발 27:세곡기 42:스크류
13:높낮이조절기 28:통풍망 43:접전콕크
14:쌀통 29:배중관 44:밥솥손잡이
15:개폐기 30:열선 45:수압계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의 내부 종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쌀통(14), 쌀조절기(16), 세곡기(27), 밥솥(31) 등의 순서로 장치되어 있다. 실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를 놓을 적절한 자리에다 수평을 맞춘 후 장치하고 전원(4)과 입수관(19) 그리고 배수관(24)을 각각 소켓과 상, 하수도에 연결한 후 본체(1)의 상단 내부에 위치한 쌀통(14)에 쌀을 넣은 다음 본체(1)상단 외부에 위치한 양 조절 버튼(6)을 식사량에 맞게 선택하여 누르면 센스(47)에 의하여 쌀조절기(16)가 적절한 크기로 조절되며 이어서 취사버튼(5)을 누르면 개폐기(15)가 열리며 쌀조절기(16)내에 쌀이 채워진 후 개폐기(15)는 다시 닫히고 쌀조절기(16) 내부의 쌀은 개폐기(17)가 열리면서 세곡기(27)의 내부로 투입되며 동시에 배수관(24)에 연설된 개폐기(22)는 닫히고 입수관(19)에 연설된 개폐기(23)는 열리며 물은 망(21)을 통하여 세곡기(27)에 있는 쌀과 혼합되며 동시에 모우터(26)가 회전하며 모우터(26)에 연설된 스크류(42)의 힘으로 쌀을 씻으며, 배수, 입수 과정을 2∼3회 거쳐서 깨끗이 씻겨진 쌀은 개폐기(25)가 열리면서 물조절기(7)에 의해 조절된 적당량의 물과(표준으로 조절되어 있으므로 쌀의 건조상태와 미각의 차이에 따라 적당히 조절함) 함께 아래의 밥통(35)으로 투입된다.
동시에 개폐기(23)와 개폐기(22)는 닫히며 이때 밥솥 뚜껑(41)은 세곡기(27)하단에 개폐기(32)가 열린 상태에서 접속된 상태이다 세곡기(27) 내부의 쌀과 물이 밥통(35)으로 이동된 후 쌀알이 남는 경우를 대비해 타구(18)를 2~3회 작동시킨 후 개폐기(25)는 닫히고 지지대(33)에 의해서 밥솥뚜껑(41)이 닫히며 개폐기(32)도 닫힌다 이후의 과정은 진열에 의해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밥솥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밥이 되며 밥이 다된 후 출입버튼(11)을 누르면 출입문(2)이 열리면서 받침대(38)에 의해서 밥솥(31)이 나오며 밥솥뚜껑(41)은 도2에서와 같이 지지대(33)에 의해 본체(1)에 그대로 내장되어 있다. 밥솥(31)을 다시 넣을 때는 출입버튼(11) 누르면 다시 들어간다 사용자와 어린이의 실수로 밥솥(31)에 밥이 남아 있을 때나 쌀이 없을 때 또는 단수시에 취사 버튼(5)을 눌렀을 경우에 안전을 위해서 감자기(50, 53) 수압계(45) 개폐기(17)등의 작용을 센서(47)에 적절히 조정하여 입력시켜 사고를 방지토록 하였으며 또한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청소시에 물의 침투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의 내부 후면과 밥솥(31)의 배면에 도3과 같이 접전 부를 콕크형태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의 쌀통(14)에 쌀이 있는 한 누구라도 쉽게 취사버튼(5) 하나로 쉽게 밥을 지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방식이나, 쌀을 씻어서 일일이 물을 사람이 직접 조절하는 과정에서의 경험부족으로 설은 밥을 짓거나 3층밥을 짓는 등의 불편을 덜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쌀의 양과 쌀씻기 밥짓기 등을 한 시스템에서 쉽게 해결할 수 있으므로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시간 절약과 편리함을 함께 가져다주는 장치이다.

Claims (2)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통역할을 할수 있는 쌀통(14)과 쌀의 양을 자유로이 조절할수 있는 쌀조절기(16), 쌀을 깨끗이 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수 있는 세곡기(27), 밥을 지을수 있는 밥솥(31)등 모든 과정이 한 시스템에서 버튼하나로 해결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양조절버튼(6)에 의해서 쌀을 조절할 때 상하로 이동시켜 양을 조절할수 있는 쌀조절기(16)와 세곡기(27)에 연설된 망(21)을 통해 유입된 물을 스크류(42)의 회전력에 의해 쌀을 씻은후 입, 배수시켜 타구(18)를 이용해 남은 쌀알이 없도록 하여 적절한 물의 양과 함께 밥솥(31)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
KR2020010006647U 2001-03-05 2001-03-05 라이스쿡 KR200236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47U KR200236536Y1 (ko) 2001-03-05 2001-03-05 라이스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47U KR200236536Y1 (ko) 2001-03-05 2001-03-05 라이스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536Y1 true KR200236536Y1 (ko) 2001-10-06

Family

ID=7306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47U KR200236536Y1 (ko) 2001-03-05 2001-03-05 라이스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5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512B (zh) 自動炒食機
CN105147046A (zh) 沥米甑子饭蒸饭煲
KR200236536Y1 (ko) 라이스쿡
CN207654432U (zh) 一种智能留取药液量的中药煮药机
CN205018822U (zh) 一种新型电热水壶
CN106223651A (zh) 一种同一区域共用淋浴及干蒸桑拿浴的浴房
CN201748522U (zh) 多功能电暖炉
CN207755057U (zh) 一种液体加热器
CN206949900U (zh) 一种安全卫生的工作台
CN204813352U (zh) 沥米甑子饭蒸饭煲
CN213523835U (zh) 一种养生减肥茶调配恒温炉
CN211511068U (zh) 一种具有隐藏刀架的集成水槽柜
CN210055655U (zh) 一种多功能电烙蒸锅
CN209122845U (zh) 一种多功能桑拿房
CN207940660U (zh) 一种液体加热器
CN201547850U (zh) 多功能电暖炉
KR200297848Y1 (ko) 다목적 주방기기
CN207755055U (zh) 一种液体加热器
CN217593343U (zh) 一种新型足浴桶
CN204351703U (zh) 浴柜
CN205548350U (zh) 一种西米煮锅
CN205894212U (zh) 智能坐便器
CN205795500U (zh) 多功能节能食物脱脂降糖锅
CN110403506A (zh) 一种可调节角度的吹风装置
KR200315455Y1 (ko) 이중 취사 전기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