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67Y1 - 상품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67Y1
KR200236067Y1 KR2020010009737U KR20010009737U KR200236067Y1 KR 200236067 Y1 KR200236067 Y1 KR 200236067Y1 KR 2020010009737 U KR2020010009737 U KR 2020010009737U KR 20010009737 U KR20010009737 U KR 20010009737U KR 200236067 Y1 KR200236067 Y1 KR 200236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guide
cover
tag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20010009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67Y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 도난 방지장치에 관해 제시한다. 본 고안은 전자감응센서가 내장된 하측태그, 하측태그와 조립되는 상측태그, 상품을 관통하여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 테이퍼 단면을 갖는 캡형의 커버, 일단에 플랜지를 가지고 커버의 조립구멍 및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내측에서 조립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가이드, 일단에 플랜지를 가지고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푸셔, 가이드와 푸셔 사이에 개재되며 고정핀 외주의 네크부에 몸체의 일부가 진입하는 복수의 로킹볼, 푸셔를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의 요소들을 내장하는 하측태그의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품으로부터의 제거시 로킹볼이 커버에 엉겨붙거나 서로 뒤엉키지 않고, 로킹볼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의 내주면과 로킹볼들 및 고정핀이 꽉 맞물려있더라도 가이드가 로킹볼을 쳐주게 되어 고정핀을 상,하측태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삽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핀이 로킹볼들의 중심을 벗어나는 오삽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Description

상품 도난 방지장치{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본 고안은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각종 상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열 상품에 직접 장착되어 도난에 의해 상품이 밀반출 될 경우 출입구에 설치되어 송,수신안테나가 내장된 게이트 통과시 상품의 도난을 감지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매장 등 각종 상품의 매장들은 많은 상품을 매장에 직접 진열해놓고 영업을 하는 바, 상품 안내중인 판매원의 눈을 피한 도난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물론, 매장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도난의 위험이 그다지 많지 않지만, 예컨대 백화점이나 대형 의류매장 등과 같은 대규모의 매장에서는 매장의 특성상 도난사고의 우려가 높고, 실제로 상품판매의 혼잡한 틈을 이용한 도난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규모를 갖춘 매장에서는 판매원과는 별도로 상품 감시원을 배치하거나, 또는 상품의 안내와 감시를 위해 필요이상의 판매원을 고용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상품가격과 매장유지비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사회적 흐름상 각종 매장들이 대형화하는 추세인 바, 매장 관리인원도 그에 따라 증가되어 가격상승과 경영압박의 이중고를 유발시키고 있다.
한편, 상품 도난방지를 위한 방안으로 폐쇄회로(CC)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기도 하지만, 이 역시 부대비용의 부담이 있고 사각지대 존재와 사후조치라는 카메라의 특성상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매장의 규모에 관계없이 별도의 감시원 등을 고용하지 않고 상품 안내를 위한 최소한의 판매원과 계산원만으로 도난의 우려 없이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가 출현하였다.
도 1에 이러한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전자감응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로커바디(locker body:1)와, 상품(A)을 관통하여 로커바디(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a와 같이 고정핀(6)을 상품(A)에 관통시켜 상품(A)의 이면쪽에서 로커바디(1)의 조립구멍(1a)에 끼우면, 고정핀(6) 외주의 네크(neck)부(6a)에 로커바디(1)의 로킹볼(locking ball:3)들이 푸셔(pusher:4) 및 스프링(5)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품 도난 방지장치는 상품(A)에 부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로커바디(1)와 고정핀(6)의 분리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품(A)이 도난에 의해 무단 유출 될 경우 출입구에 설치되어 송,수신안테나가 내장된 게이트 통과시 전자감응센서와 송,수신안테나에 의해 상품의 도난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게 됨으로써 도난을 알리게 된다.
한편, 상품(A)이 정상적으로 판매된 경우 계산대에서 도 1b와 같이 로커바디(1)의 주위에 자석으로 이루어진 분리기(8)를 위치시키면, 푸셔(4)와 로킹볼(3)들이 분리기(8)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테이퍼(taper)형 커버(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로킹볼(3)이 고정핀(6)의 네크부(6a)로부터 빠져나와 고정핀(6)의 구속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고정핀(6)을 로커바디(1)로부터 분리하여 상품(A)에서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제거시킨다. 그러면, 출입구의 송,수신안테나가 내장된 게이트에서 어떠한 신호도 감지되지 않게 된다. 나머지 부호 7은 고정핀(6)의 헤드(head)부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는 커버(2)가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력을 갖는 분리기(8)에 의해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상품(A)으로부터 제거시 커버(2)가 자화(磁化)되어 로킹볼(3)들이 커버(2)에 엉겨 붙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로킹볼(3)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고정핀(6)이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거시 로킹볼(3)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버(2)의 바닥면과 로킹볼(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고정핀(6)을 로커바디(1)로부터 뽑아내면 그 인력에 의해 로킹볼(3)들이 뒤엉켜 붙을 우려가 매우 높고, 이로 인해 스프링(5)에 의한 복귀시 로킹볼(3)이 커버(2)의 조립구멍(2a)을 폐색(閉塞)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이 경우, 고정핀(6)을 다시 끼울 때 로킹볼(3)에 막혀 고정핀(6)이 잘 삽입되지 않아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할뿐만 아니라 자칫 고정핀(6)이 로킹볼(3)들의 중심을 벗어나서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고정핀(6)이 분리기(8)가 없는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되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또한, 로킹볼(3)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로킹볼(3)들의 정렬이 좋지 않아 커버(2)의 내주면과 로킹볼(3)들 및 고정핀(6)이 꽉 맞물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분리기(8)에 의해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상품(A)으로부터 제거시 고정핀(6)이 상품 도난 방지장치로부터 빠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상품으로부터의 제거시 로킹볼이 커버에 엉겨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핀을 상,하측태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로킹볼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의 내주면과 로킹볼들 및 고정핀이 꽉 맞물려있더라도 가이드가 로킹볼을 쳐주게 되어고정핀을 상,하측태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핀의 분리시 로킹볼들의 뒤엉킴에 의한 커버 조립구멍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핀의 재삽입이 용이해짐은 물론 고정핀이 로킹볼들의 중심을 벗어나는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2는 본 고안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고안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측태그 13: 상측태그
12: 커버 15: 푸셔
16: 스프링 17: 가이드
18: 로킹볼 20: 고정핀
21: 헤드 22: 핀
23: (핀의) 네크부 30: 분리기
A: 상품 S: 전자감응센서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도난 방지장치는, 전자감응센서가 내장된 하측태그와, 하측태그와 조립되는 상측태그와, 상품을 관통하여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자력을 갖는 분리기에 의해 상품으로부터 제거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 테이퍼 단면을 갖는 캡형의 커버; 일단에 플랜지(flange)를 가지고 커버의 조립구멍 및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내측에서 조립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가이드(guide); 일단에 플랜지를 가지고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푸셔; 가이드와 푸셔 사이에 개재되며, 고정핀 외주의 네크부에 몸체의 일부가 진입하는 복수의 로킹볼; 푸셔를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의 요소들을 내장하는 하측태그의 하우징(housing)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커버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및 푸셔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품으로부터의 제거시 로킹볼이 커버에 엉겨붙거나 서로 뒤엉키지 않고, 로킹볼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의 내주면과 로킹볼들 및 고정핀이 꽉 맞물려 있더라도 가이드가 로킹볼을 쳐주게 되어 고정핀을 상측태그 및 하측태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삽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핀이 로킹볼들의 중심을 벗어나는 오삽입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되므로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품 도난 방지장치는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송,수신안테나가 내장된 게이트(도시하지 않음) 통과시 송,수신안테나와 반응하는 전자감응센서(S)가 내장된 하측태그(10)와, 하측태그(10)와 조립되는 상측태그(13) 및 상품(A)을 관통하여 상측태그(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20)으로 구성된다.
하측태그(10)는 대략 컵형의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11)내에 테이퍼 단면을 갖는 캡형의 커버(12)가 수용되고, 하우징(11)의 개구에 내부를 차폐시키는 상측태그(13)가 결합된다. 커버(12)는 가장자리에 플랜지(12b)를 구비하여 하우징(11)의 내주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턱(11a)에 안착되고, 상측태그(13)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하우징(11)내에 위치 고정되어 하우징(11)과 함께 작동공간(19)을 형성한다.
커버(12)는 후술한 로킹볼(18)들에 위치변화에 따른 유동공간이 확보되도록 그 개구 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즉 상부가 복개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협하광의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고정핀(20)이 관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12)는 로킹볼(18)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비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태그(13)의 중앙에도 고정핀(20)이 관통하는 조립구멍(13a)이 커버(12)의 조립구멍(12a)과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커버(12)의 조립구멍(12a)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고정핀(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튜브(tube)로 구성된 가이드(17)가 내측으로부터 조립된다. 가이드(17)의 일단에는 커버(1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한 로킹볼(18)들을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7a)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17)는 커버(12)를 지나 리드(13)의 조립구멍(13a)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12)의 안쪽, 즉 작동공간(19)에는 고정핀(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튜브로 구성되어 후술한 로킹볼(18)들을 가이드(17) 쪽으로 밀어주는 푸셔(15)가 설치된다. 푸셔(15)의 일단에도 가이드(17)의 플랜지(17a)와 대향하도록 플랜지(15b)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15b)와 하우징(11)간에는 푸셔(15)를 가이드(17)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이러한 푸셔(15)는 역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고정핀(20)이 관통하는 커버(12)의 조립구멍(12a) 및 가이드(17)의 조립구멍(17a)과 동축을 이루는 조립구멍(15a)을 가지고 있다.
한편, 푸셔(15)와 가이드(17) 사이에는 후술한 고정핀(20) 외주의 네크부(23)에 고정핀(20)을 삽입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4개의 로킹볼(18)이 개재된다. 이 때, 각 로킹볼(18)들이 이루는 중앙 공간은 고정핀(20)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러한 로킹볼(18)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자성체의 금속이나 고강도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가이드(17) 및 푸셔(15)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력을 갖는 분리기(30)에 의한 제거시 로킹볼(18)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리기(30)에 의한 제거시 가이드(17), 푸셔(15) 및 로킹볼(18)은 함께 이동되므로 상품으로부터의 제거시 로킹볼(18)이 커버에 엉겨붙거나 서로 뒤엉키지 않고, 로킹볼(18)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12)의 내주면과 로킹볼들(18) 및 고정핀(20)이 꽉 맞물려 있더라도 가이드(17)가 로킹볼(18)들을 쳐주게 되어 고정핀(20)을 상측태그(13) 및 하측태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핀(20)은 헤드(21)의 한쪽면에 상측태그(13)에 삽입되는 핀(22)을 가지며, 핀(22)의 외주 소정부위에는 로킹볼(18)의 일부가 진입하는 네크부(23)가 형성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작용을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매장에 진열할 상품(A)에 고정핀(20)을 꽂는다. 그러면, 고정핀(20)의 헤드(21)는 상품(A)의 한쪽면에 걸리고 핀(22)만 상품(A)을 관통하여그 이면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상품(A)을 관통한 핀(22)을 하측태그(10)와 상측태그(13)로 구성된 상품 도난 방지장치에 꽂는다. 즉, 상측태그(13)의 조립구멍(13a) 및 커버(12)의 조립구멍(12a)에 삽입된 가이드(17)의 조립구멍(17a)에 핀(22)을 끼운다. 핀(22)이 가이드(17)를 통과하면, 핀(22)의 지름이 로킹볼(18)들이 이루는 공간보다 크기 때문에 그 선단이 로킹볼(18)들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킹볼(18)들은 고정핀(20)의 삽입력에 의해 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약간 뒤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테이퍼 단면을 갖는 커버(12)에 의해 로킹볼(18)들이 스프링(16)의 압축방향으로 동시에 밀려나 그들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고, 따라서 핀(22)이 로킹볼(18)들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22)이 로킹볼(18)들 사이를 통과하여 그 네크부(23)가 커버(12)의 내부로 진입하고 나면, 푸셔(15)가 스프링(16)의 복원탄성에 의해 로킹볼(18)들을 다시 가이드(17) 쪽으로 이동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로킹볼(18)들의 일부가 핀(22)의 네크부(23)에 진입하게 됨으로써 고정핀(20)을 삽입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핀(20)과 상,하측태그(10,13)의 분리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상품(A)이 도난에 의해 무단 유출될 경우 출입구에 설치된 게이트의 송,수신안테나와 하측태그(10)에 내장된 전자감응센서(S)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게 됨으로써 무단 유출을 알려 상품(A)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품(A)이 정상적으로 판매되어 대금지불이 완료되고 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산대에서 상품(A)에 부착된 하측태그(10)의 주위에 자력을 갖는 분리기(30)를 위치시킨다. 그러면, 푸셔(15)와 가이드(17)가 로킹볼(18)들을 사이에 개재한 채 분리기(30)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핀(22)의 선단쪽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로킹볼(18)들이 커버(12)의 테이퍼면에 의해 핀(22)의 선단방향으로 동시에 밀려나게 됨으로써 핀(22)의 네크부(23)로부터 빠져나와 핀(22)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이 때, 로킹볼(18)들은 푸셔(15)와 가이드(17)가 이루는 일정한 간격내에 위치하여 그들과 동시에 이동할 뿐만 아니라 커버(12)가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커버(12)에 부착되는 일없이 매우 원활하게 이동되고, 가이드(17)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분리기(30)에 의해 가이드(17)는 로킹볼(18)들을 쳐주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볼(18)들이 이동하여 핀(22)의 구속이 해제되면, 고정핀(20)을 상,하측태그(10,13)로부터 뽑아내어 양자를 분리시킨다. 이 때에도 로킹볼(18)들은 여전히 푸셔(15)와 가이드(17) 사이에 개재된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핀(20)의 분리에도 종래와 같이 서로 뒤엉키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초기의 정렬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커버(12)의 내주면과 로킹볼들(18) 및 고정핀(20)이 꽉 맞물려 있더라도 가이드(17)가 로킹볼(18)들을 쳐주게 되어 고정핀(20)을 상측태그(13) 및 하측태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핀(20)을 상,하측태그(10,13)로부터 분리하여 상품(A)에서 제거시키고 나면, 출입구에 설치된 게이트의 송,수신안테나에서 어떠한 신호도 감지되지 않아 상품(A)의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정핀(20)을 분리시키고 나서 분리기(30)를 제거하면, 푸셔(15)와 가이드(17) 및 로킹볼(18)들이 스프링(16)의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역시 로킹볼(18)들은 가이드(17)와 푸셔(15) 사이에 개재되어 그 정렬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동시에 복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서로 뒤엉켜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가이드(17)의 조립구멍(17a)을 폐색시키는 등의 불량 없이 신속하게 복귀된다. 그러므로 고정핀(20)의 재삽입시에도 막힘 없이 매우 원활하게 삽입이 이루어짐은 물론 고정핀(20)이 로킹볼(18)들이 이루는 중심을 벗어나 오삽입되는 불량은 더더욱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측태그로부터 고정핀을 제거할 때 로킹볼이 커버에 엉겨붙거나 서로 뒤엉키지 않고, 로킹볼이 반탄성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의 내주면과 로킹볼들 및 고정핀이 꽉 맞물려 있더라도 가이드가 로킹볼을 쳐주게 되어 고정핀을 상측태그 및 하측태그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로킹볼들이 이동 중에도 초기의 정렬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재삽입도 용이함은 물론 고정핀이 로킹볼들의 중심을 벗어나는 오삽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품 도난 방지장치의 신뢰성과 사용의 편의성 등을 크게 향상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전자감응센서가 내장된 하측태그와, 하측태그와 조립되는 상측태그와, 상품을 관통하여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자력을 갖는 분리기에 의해 상기 고정핀을 상품으로부터 제거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
    테이퍼 단면을 갖는 캡형의 커버;
    일단에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커버의 조립구멍 및 상측태그의 조립구멍에 내측에서 조립되며,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가이드;
    일단에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며,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푸셔;
    상기 가이드와 푸셔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핀 외주의 네크부에 몸체의 일부가 진입하는 복수의 로킹볼;
    상기 푸셔를 상기 가이드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요소들을 내장하는 상기 하측태그의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도난 방지장치.
KR2020010009737U 2001-04-07 2001-04-07 상품 도난 방지장치 KR200236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37U KR200236067Y1 (ko) 2001-04-07 2001-04-07 상품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37U KR200236067Y1 (ko) 2001-04-07 2001-04-07 상품 도난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17A Division KR100372928B1 (ko) 2001-04-06 2001-04-06 상품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67Y1 true KR200236067Y1 (ko) 2001-10-11

Family

ID=7309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737U KR200236067Y1 (ko) 2001-04-07 2001-04-07 상품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1985B2 (en) Security device for ring products
US8368543B2 (en) EAS tag with wrapping tethers and cover
EP0594324B1 (en) Theft-protection device providing force-sensitive tamper detection
US9652954B2 (en) Integrated lock and pin security tag
US8547229B2 (en) Multi-attach disposable tag
US20120043228A1 (en) Security device for products on display packaging
US10593178B2 (en) Box edge security device
US10385591B2 (en) EAS tag with shackle
EP0516713A1 (en) Improved electronic anti-theft merchandise tag
EP3414748B1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tag
US9702170B2 (en) Hooked device for marking commercial articles
AU3010901A (en) Security device which is compatible with various electronic product monitoring systems and a method for securing products
US20190323269A1 (en) Product security device with engagement pin
US20230237891A1 (en) Security tag
US20130119145A1 (en) EAS Tag With Benefit Denial Features
KR100372928B1 (ko) 상품 도난 방지장치
KR200236067Y1 (ko) 상품 도난 방지장치
KR100752916B1 (ko) 상품 도난 방지장치
CN110998679A (zh) 钱包报警器
JP2000357279A (ja) 自鳴式物品監視装置
JP3326164B2 (ja) 自鳴式物品監視装置
KR200373495Y1 (ko) 상품 도난 방지장치
NL7901218A (nl) Bevestigingsinrichting.
KR19980065111U (ko) 진열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