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03Y1 -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 Google Patents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03Y1
KR200235603Y1 KR2019970029396U KR19970029396U KR200235603Y1 KR 200235603 Y1 KR200235603 Y1 KR 200235603Y1 KR 2019970029396 U KR2019970029396 U KR 2019970029396U KR 19970029396 U KR19970029396 U KR 19970029396U KR 200235603 Y1 KR200235603 Y1 KR 200235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shoba
nipple
piston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012U (ko
Inventor
안원기
Original Assignee
안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기 filed Critical 안원기
Priority to KR2019970029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37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load-det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93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especially adapted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화차의 영차 또는 공차시 중량에 따라 브레이크를 자동제어 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적용되는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 진동시 풀림현상으로 인한 마모 및 나사산 파손현상을 방지하고 피스톤의 승강시 동일한 압력을 갖도록 하며 에어 유출공을 2단으로 하여 기능이 향상 되도록 상·하측 몸체가 구비되고 하측몸체 내에는 감지봉의 승강에 따라 상·하측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되는 쇼바체가 구비되고, 상기 쇼바체 내에는 작동오일과 피스톤이 설치되며, 쇼바체의 상단에는 작동봉 및 지지체를 상측 스프링에 의해 탄설시키며 상측몸체 내에는 상·하측 공간을 두되 작동봉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고 스프링에 탄설되는 밸브체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에는 각각 에어압유입니플과 에어압유출니플을 연결 설치하여서 된 응하중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과 지지체를 체결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에어압유입니플의 상부에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공간부와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2차 에어압유출니플을 설치하며, 상기 피스톤이 '

Description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
본 고안은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103337호에 의해 이미 제안 된 열차의 영차(盈車 : 짐을 가득실은 화차) 또는 공차(空車 : 화차에서 화물을 모두 내린 화차)시 중량에 따라 브레이크를 자동제어 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적용되는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 조립 구성 부품의 분해가 간결토록 하여 부품의 교체 수리가 용이함은 물론 진동시 풀림현상으로 인한 마모 및 나사산 파손현상을 방지하고 피스톤의 승강시 동일한 압력을 갖도록 하며 에어 유출공을 2단으로 하여 기능이 향상 되도록 한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에 관한 것이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응하중 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고정볼트(23)로 상호 체결되는 상·하측 몸체(22, 21)가 구비되고 하측몸체(21)내에는 감지봉(26)의 승강에 따라 상·하측 스프링(33, 27)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되는 쇼바체(24)가 구비되고, 상기 쇼바체(24)내에는 작동오일과 하측몸체(21)에 고정 설치된 피스톤(28)이 설치되며, 쇼바체(24)의 상단에는 쇼바체(24)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봉(29) 및 지지체(29')를 상측 스프링(35)에 의해 탄설시키며 상측몸체(22)내에는 상·하측 공간(22', 22")을 두되 작동봉(29)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고 스프링(36)에 탄설되는 밸브체(30)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22', 22")에는 각각 에어압유입니플(31)과 에어압유출니플(32)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상측몸체(22)의 상단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체결되며 에어압배출세공(43) 기밀용 오링(41)과 ""형 단면의 패킹(42)이 구비되는 캡(40)과, 상기 쇼바체(24)내의 작동오일의 누설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쇼바체(24)의 상단 내연부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패킹(51)이 구비된 밀봉체(50)와, 상기 감지봉(26)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커버(61)에 의해 지지되며 감지봉(26)의 파손 방지와 가압력을 중심으로 안내하여 수직 승강을 유도하여 주기 위한 구름볼(60)과, 상기 감지봉(26)의 접촉되는 하측몸체(2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접면부위의 마찰 감소로 인한 승강 동작의 원활성을 유도하는 테프론 재질의 지지링(70)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0은 매출세공, 81은 함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응하중 밸브는 작동봉과 지지체가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진동시 풀림현상이 발생되어 각부가 마모되거나 나사산이 파손되고, 피스톤의 승강시 상·하측의 단면이 동일하지 않아 상측과 하측의 압력차가 발생되어 승강의 어려움이 발생되며, 또한 에어압유출니플이 단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능에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이나 충격발생시에도 마모나 나사산 파손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피스톤의 상·하측 단면을 동일하게 하여 승강시 상측과 하측의 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에어압유출니플을 2단으로 하여 다기능을 부여된 새로운 형태의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볼트로 상호 체결되는 상·하측 몸체가 구비되고 하측몸체 내에는 감지봉의 승강에 따라 상·하측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되는 쇼바체가 구비되고, 상기 쇼바체 내에는 작동오일과 하측몸체에 고정 설치된 피스톤이 설치되며, 쇼바체의 상단에는 쇼바체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봉 및 지지체를 상측 스프링에 의해 탄설시키며 상측몸체 내에는 상·하측 공간을 두되 작동봉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고 스프링에 탄설되는 밸브체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에는 각각 에어압유입니플과 에어압유출니플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상측몸체의 상단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체결되며 에어압배출세공 기밀용 오링 단면의 패킹이 구비되는 캡과, 상기 쇼바체내의 작동오일의 누설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쇼바체의 상단 내연부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패킹이 구비된 밀봉체와, 상기 감지봉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커버에 의해 지지되며 감지봉의 파손 방지와 가압력을 중심으로 안내하여 수직 승강을 유도하여 주기 위한 구름볼과, 상기 감지봉의 접촉되는 하측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접면부위의 마찰 감소로 인한 승강 동작의 원활성을 유도하는 지지링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응하중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과 지지체를 체결핀으로 결합하고, 상기 에어압유입니플의 상부에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공간부와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2차 에어압유출니플을 설치하며, 상기 피스톤이 '' 형상을 갖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응하중 밸브, 121:하측몸체,
122:상측몸체, 122a, 122b:공간부,
122c:공기통로, 122', 122":공간,
124:쇼바체, 126:감지봉,
128:피스톤, 129a:체결핀,
130:밸브체, 130':보조 밸브체,
131:에어압유입니플, 132:에어압유출니플,
132':2차 에어압유출니플, 136, 136':스프링,
140:캡, 150:밀봉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23)로 상호 체결되는 상·하측 몸체(122, 121)가 구비되고 하측몸체(121)내에는 감지봉(126)의 승강에 따라 상·하측 스프링(135, 127)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되는 쇼바체(124)가 구비되고, 상기 쇼바체(124)내에는 작동오일과 하측몸체(121)에 고정 설치된 피스톤(128)이 설치되며, 쇼바체(124)의 상단에는 쇼바체(124)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봉(129) 및 지지체(129')를 상측 스프링(135)에 의해 탄설시키며 상측몸체(122)내에는 상·하측 공간(122', 122")을 두되 작동봉(129)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는 배출세공(180)이 천설된 밸브체(130)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122', 122")에는 각각 에어압유입니플(131)과 에어압유출니플(132)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상측몸체(122)의 상단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체결되며 에어압배출세공(43) 기밀용 오링(141)이 구비되는 캡(140)과, 상기 쇼바체(124)내의 작동오일의 누설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쇼바체(124)의 하단 내연부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패킹(151)이 구비된 밀봉체(150)와, 상기 감지봉(126)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커버(161)에 의해 지지되며 감지봉(126)의 파손 방지와 가압력을 중심으로 안내하여 수직 승강을 유도하여 주기 위한 구름볼(160)과, 상기 감지봉(126)의 접촉되는 하측몸체(12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접면부위의 마찰 감소로 인한 승강 동작의 원활성을 유도하는 테프론 재질의 지지링(170)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출 세공(180')이 천설된 작동봉(129)과 지지체(129')가 체결핀(129a)으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압유입니플(131)의 상부에 공간부(122b)와 공간부(122a)와는 보조 밸브체(130')의 작동에 의해 연통되게 하고, 스프링(136)에 의해 보조 밸브체(130')가 탄설되고, 상기 상측공간(122')과 공간부(122a)를 공기통로(122c)로 연통되도록 하고 공간부(122b)에는 2차 에어압유출니플(132')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28)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6는 스프링, 180'는 배출세공, 181은 함체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이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하중 밸브(110)는 화차의 일정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화차에 실려진 화물의 중량에 의해 화차의 하중이 점차 증가하면 화차는 중량에 의해 소정폭으로 하강하게 되며 화차의 중량이 영차 선정 하중까지 도달하면, 하강 되던 응하중 밸브(110)의 감지봉(126)이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조정볼트 윗부분에 접촉된다.
따라서, 감지봉(126)의 구름볼(160)이 조정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상단에 닿아 하강이 정지됨에도 불구하고 응하중 밸브(110)는 계속적으로 하강되므로 감지봉(126)이 하측몸체(121)안으로 들어가는 상태가 됨에 따라 감지봉(126)을 눌러 주던 하측 스프링(127)을 위로 밀어 수축시키게 되고 쇼바체(124)를 밀어 주게 된다.
이때, 쇼바체(124)는 매우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쇼바체(124)내의 작동오일이 유동되는 피스톤(128)과 쇼바체(124)와의 틈새를 좁게 하여 진행속도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며 약 5mm 이내의 상승거리를 가지며 도달 시간은 약 10초 정도로 소요된다.
이와 같이, 작은 이동거리에도 불구하고 긴 이동시간이 소요되게 함은 화차의 중량이 영차 근접하중에 있을 때 선로 곡선부에서 화차의 좌우진동과 같은 순간적인 유동상태에서 감지봉(126)이 수초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조정볼트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영차시가 아니면서 감지봉(126)을 동작시키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응하중 밸브(11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태에서, 서서히 승강된 쇼바체(124)의 상면은 상측 스프링(135)에 의해 탄발 밀착된 지지체(129')를 상승시키게 되어 작동봉(129)이 상승되고 스프링(136')의 힘으로 하측공간(122")을 막고 있던 밸브체(130)를 들어 올려 상·하측 공간(122', 122")이 개통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에어압유입니플(131)을 통해 에어압이 유입 충진된 상측공간(122')내의 에어압이 하측공간(122")으로 유입되어 에어압유출니플(132)을 통해 공지의 화차 제동라인의 일부인 중계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어 화차의 브레이크를 2중으로 강력히 제동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차의 하중이 위에서 보다 더 가하여지면, 감지봉(126)이 일정거리 만큼 더 상승하게 되어 밸브체(130)의 선단이 보조 밸브체(130')를 밀면서 이를 들어 올리게 되면 보조 밸브체(130')에 의해 차단되었던 공간부(122a)의 압력 공기가 공간부(122b)를 통해 2차 에어압유출니플(132')로 압송하여 별도의 제동라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화차의 제동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어 위에서 보다 더 강한 제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차의 화물이 내려져 공차 상태가 되면, 화차가 상승되고 응하중 밸브(110)도 상승되고 감지봉(126)도 원위치로 되어 조정볼트에서 떨어지게 됨에 따라, 하측 스프링(127)이 탄발되어 쇼바체(124)를 하강시키고 작동봉(129) 및 지지체(129')도 상측 스프링(135)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되고 동시에 스프링(136, 136')에 의해 밸브체(30)와 보조 밸브체(130')와 밸브체(130)도 하강되어 초기와 같이 공간부(122a)(122b) 상측공간(122')과 하측공간(122")을 폐쇄시켜 주며 에어압 유출니플(132, 132')에 유입되었던 에어압은 에어압 배출세공(180, 18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제동력을 낮추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화차의 하중에 따라, 이에 적절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부품의 마모나 나사산 파손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피스톤의 상·하측 단면을 동일하게 하여 피스톤의 승강시 상측과 하측의 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에어압유출니플을 2단으로 하여 다기능을 부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정볼트(123)로 상호 체결되는 상·하측 몸체(122, 121)가 구비되고 하측몸체(121)내에는 감지봉(126)의 승강에 따라 상·하측 스프링(135, 127)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되는 쇼바체(124)가 구비되고, 상기 쇼바체(124)내에는 작동오일과 하측몸체(121)에 고정 설치된 피스톤(128)이 설치되며, 쇼바체(124)의 상단에는 쇼바체(124)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봉(129) 및 지지체(129')를 상측 스프링(135)에 의해 탄설시키며 상측몸체(122)내에는 상·하측 공간(122', 122")을 두되 작동봉(129)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고 스프링(136)에 탄설되는 밸브체(130)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122', 122")을 두되 작동봉(129)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고 스프링(136)에 탄설되는 밸브체(130)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상호 개폐되도록 하고 상·하측 공간(122', 122")에는 각각 에어압유입니플(131)과 에어압유출니플(132)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상측몸체(122)의 상단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체결되며 에어압배출세공(43) 기밀용 오링(141)이 구비되는 캡(140)과, 상기 쇼바체(124)내의 작동오일의 누설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쇼바체(124)의 하단 내연부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패킹(151)이 구비된 밀봉체(150)와, 상기 감지봉(126)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커버(161)에 의해 지지되며 감지봉(126)의 파손 방지와 가압력을 중심으로 안내하여 수직 승강을 유도하여 주기 위한 구름볼(160)과, 상기 감지봉(126)의 접촉되는 하측몸체(12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접면부위의 마찰 감소로 인한 승강 동작의 원활성을 유도하는 테프론 재질의 지지링(170)을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응하중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29)과 지지체(129')를 체결핀(129a)으로 결합하고, 상기 에어압유입니플(131)의 상부에 상측공간(122')과 공간부(122a)는 공기통로(122c)로 연통되게 형성시키고, 보조 밸브체(130')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부(122a)(122b)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공간부(122b)과 연통되도록 2차 에어압유출니플(132')이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128)의 형상을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을 하는 화차의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
KR2019970029396U 1997-10-23 1997-10-23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KR200235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96U KR200235603Y1 (ko) 1997-10-23 1997-10-23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96U KR200235603Y1 (ko) 1997-10-23 1997-10-23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12U KR19990016012U (ko) 1999-05-15
KR200235603Y1 true KR200235603Y1 (ko) 2001-11-26

Family

ID=5389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396U KR200235603Y1 (ko) 1997-10-23 1997-10-23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6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12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310B2 (en) Vertical position compensating device for a vehicle
CN107672613B (zh) 一种低重心高卸净率散装水泥铁路罐车
KR200235603Y1 (ko) 화차의자동제어장치용응하중밸브
US6352315B1 (en) Load dependent braking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CN103253284B (zh) 铁路车辆轴箱悬挂式自调高转向架
CN103253282B (zh) 铁路车辆中央悬挂式自调高转向架
KR200295244Y1 (ko) 화차의 제동장치용 다이아프램식 응하중 밸브
CA1279309C (en) Jack assembly for railroad cars
US4801179A (en) Load-dependent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for pneumatic brakes of rail vehicles
CA1149759A (en) Hydro-pneumatic brake actuator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brake shoe clearance
CN103253283B (zh) 铁路车辆转向架心盘高度自动调整装置
US4231554A (en) Control valve for vehicle air springs and the like
KR0138404B1 (ko) 캡 에어 서스팬션용 레벨링 밸브
US2872787A (en) Fluid operated power lifting unit for dumping vehicles
SU759431A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грузов по трубопроводу i
KR960009986Y1 (ko) 열차의 적공 자동제어 장치용 응하중 밸브
US4230374A (en) Brake control apparatus for railway cars
KR100186760B1 (ko) 화차 제동자동 제어장치
CN210106281U (zh) 一种自卸卡车的举升阀
KR100796242B1 (ko) 하중감지밸브
US5269594A (en) Load responsive air brake control valve for providing continuously variable brake pressure
CN205916146U (zh) 铁路车辆液压式自调高转向架
US3960411A (en) Empty-load brake with lading controlled reservoir
JPS581379Y2 (ja) ダンプトラック等における荷台昇降速度制御装置
KR200384944Y1 (ko) 철도차량용 부하감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