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047Y1 -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47Y1
KR200235047Y1 KR2020010002878U KR20010002878U KR200235047Y1 KR 200235047 Y1 KR200235047 Y1 KR 200235047Y1 KR 2020010002878 U KR2020010002878 U KR 2020010002878U KR 20010002878 U KR20010002878 U KR 20010002878U KR 200235047 Y1 KR200235047 Y1 KR 200235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exercise device
exercise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202001000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47Y1/ko
Priority to US09/794,351 priority patent/US2002010711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63B2022/06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with crank and handles being on opposite sides of the exercis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frontal body-plane of the user, e.g. the crank is behind and handles are in front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시간에 걸쳐서 운동을 하더라도 무릎관절에 충격이 거의 가하여지지 않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종래의 운동기구에 있어서, 회전손잡이를 관절형태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페달지지수단과 연결하고 관절형 연결부재와 회전손잡이의 사이에 충격흡수막대를 설치함으로써, 충격흡수막대가 페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관절형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빠져나오는 형태로 반복적인 피스톤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에는 페달지지수단에 연결된 스프로켓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이 종래의 운동기구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에 편한 상태로 오랫동안 운동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in an Elliptical Route}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운동기구(elliptical train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은 크게 실외운동과 실내운동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실외운동이 바람직한 것이기는 하지만 규칙적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쪼가리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내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내운동으로는 기구를 사용하는 것과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기구를 사용하면 운동의 지루함을 덜어주고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실내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운동기구들 중에서 페달을 밟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는 실내 자전거(indoor bicycle)이나 스테퍼(stepper) 등이 대표적이다. 실내 자전거는 통상적인 자전거를 베이스에 설치하여 바퀴가 공중에 떠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실외에서와는 달리 페달을 밟으면 바퀴가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공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된 장소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한편, 스테퍼는 소위 런닝머신의 대체품으로서, 좌우의 페달을 교대로 밟으면서 걷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실내 자전거 혹은 스테퍼는 페달이 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거나 혹은 단순히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부위의 근육만을 강화시킨다는 단점이 있고 무릎관절에 과다한 힘이 가하여지므로 무릎관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람이 실외에서 걸을 때의 발의 궤적과 흡사하게 페달이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된 운동기구가 이미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과도한 충격이 가하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에 걸쳐서 운동을 하더라도 무릎관절에 충격이 거의 가하여지지 않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동자가 필요로 하는 운동강도에 맞추어 페달의 진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구비된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종래의 운동기구에 있어서, 회전손잡이를 관절형태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페달지지수단과 연결하고, 관절형 연결부재와 회전손잡이의 사이에 충격흡수막대를 설치함으로써, 충격흡수막대가 페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관절형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빠져나오는 형태로 반복적인 피스톤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에는 페달지지수단에 연결된 스프로켓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이 종래의 운동기구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에 편한 상태로 오랫동안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프레임
112a, 112b : 고정부재 114a, 114b : 회전손잡이
116 : 고정손잡이 118 : 디스플레이 장치
120 : 제동장치 122 : 스프로켓
124 : 운동부하수단 140a, 140b : 페달지지수단
142 : 회전축 143a, 143b : 제1 아암
145a, 145b : 회전손잡이 연결부재 147a, 147b : 연결부재
148a, 148b : 충격흡수막대 149a, 149b : 제2 아암
150 : 지지부재 160a, 160b : 페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윗면에 설치되며 한 쌍의 고정부재(112a)(112b)가 부착된 프레임(110)과, 베이스(100)의 윗면에 설치되면서 지지부재(1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로켓이 관통되도록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142)과, 스프로켓(122)과 회전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제동장치(120)와, 회전축(142)과 프레임(110)에 부착된 고정부재 (112a)(112b)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페달지지수단(140a)(140b)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한 쌍의 고정부재(112a)(112b)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한 쌍의 회전손잡이(114a)(114b)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110)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손잡이(116)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페달의 회전수와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예컨대 디지털 회전계와 같은 검출수단(도시하지 않았음)과, 이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페달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8)를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특히, 프레임(110)에 부착되는 손잡이(114)(116)는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회전형 혹은 고정형 손잡이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구성 및 도면에서는 이를 한정한 것이 아니라 예시한 것이다.
한 쌍의 페달지지수단(140a)(140b)은 각각의 일단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지부재(1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42)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한쌍의 제1 아암(143a)(143b)과, 각각의 일단이 제1 아암(143a)(143b)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고 그 타단은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a)(145b)에 고정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47a)(147b)와, 각각의 일단은 프레임(100)의 고정부재 (112a)(112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고 그 타단은 회전손잡이 연결부재 (145a)(145b)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충격흡수막대(148a)(148b)를 구비한 회전손잡이 (114a)(114b)로 구성되며, 회전손잡이(114a)(114b)에 부착된 충격흡수막대 (148a)(148b)는 제1 아암(143a)(143b), 연결부재(147a)(147b), 회전손잡이(114a) (114b)의 연동에 의해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a)(145b)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반복동작 즉, 피스톤운동을 수행한다.
즉, 회전손잡이(114a)(114b)는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a)(145b)에 항상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고, 운동자가 페달(160a)(160b)을 밟을 때에 충격흡수막대 (148a)(148b)의 피스톤운동에 의하여 회전손잡이(114a)(114b)와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a)(145b)가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졌다 붙었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운동자의 관절에 가하여지는 충격이 최소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막대(147a)(147b)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페달(160a)(16b)은 제1 아암(143a)(143b), 연결부재(147a)(147b), 회전손잡이(114a)(114b)의 연동에 의해 타원형 궤적을 그리며 운동한다.
제동장치(120)는 스포로켓(122)과 회전동력 전달수단(예컨대, 벨트나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운동부하수단(124)으로 구성되며, 운동부하수단(124)은 그 후방의 작은 톱니바퀴(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스프로켓(122)과 교합하기 때문에, 제동장치(120)를 운동부하수단(124)에 맞닿도록 위치시키면 스프로켓(12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운동자가 페달(160a)(160b)을 밟을 때 요구되는 힘의 크기를 달라지게 함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행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운동자가 페달(160a)(160b)을 양발로 밟은 상태에서 페달(160a)(160b)중 어느 하나의 페달(160b)에 힘을 주게 되면, 힘을 받은 페달(160b)은 프레임 (100) 쪽으로 전진하면서 하향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페달(160b)과 일착된 연결막대(147b)와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된 제1 아암(143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된 회전손잡이(114b)도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한 다. 이와 같이 힘을 받은 페달(160b)에 의해 제1 아암(143b) 및 회전손잡이(114b)가 서서히 회전하게 되면, 연결막대(147b)에 고정부착된 회전손잡이 연결부재 (145b)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던 충격흡수막대(148b)도 서서히 회전손잡이 연결부재 (145b)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와 같이 하여 페달(160b)이 최저점에 도달하게 되면 (이때, 충격흡수막대 (148b)는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b)에서 빠져 나와 최대한 돌출된 상태가 된다), 페달(160b)은 운동방향을 바꾸게 된다. 이때,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지만, 페달(160b)이 최저점에 있을 때에 운동방향이 바뀌게 되면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b)에서 최대로 돌출된 상태의 충격흡수막대(148b)가 다시 서서히 회전손잡이 연결부재(145b)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페달(160b)을 밟고 있는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이 종래의 운동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다.
페달(160b)이 최저점에 도달하게 되면, 운동자는 이 페달(160b)과 대향하는 반대쪽 페달(160a)을 밟게 되고 따라서 반대쪽 페달지지수단(140a)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이 동작은 반대쪽 페달(현재 힘을 가하고 있는 페달) (160a)이 최저점에 도달할 때까지, 즉 현재 힘을 가하고 있는 페달(160a)과 대향하는 페달(160b)이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 결과, 페달(160a)(160b)의 운동궤적은 타원형을 이루게 되어, 운동자는 하체근육을 골고루 사용하면서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프레임(100)의 고정부재(112a)(112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된 회전손잡이(114a)(114b)를 이용하여 양 발로 페달(160a)(160b)을 구르는 동안 양 팔을 교호로 교차시키면서 상체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양 발로 페달 (160a)(160b)을 구르고 그와 동시에 양 팔로 회전손잡이(114a)(114b)를 작동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마치 사람이 양 팔을 흔들며 걸어가는 동작과 매우 흡사하다. 그리고, 프레임(100)에 고정부착된 고정손잡이(116)는 하체운동만을 할 때 안정된 상태의 운동자세가 되도록 지탱하고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의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무릎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이 종래의 운동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운동자는 실외에서 걸을 때와 거의 동일한 상태에서 편한 상태로 오랫동안 운동을 즐길 수 있다.

Claims (2)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서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로켓이 관통되도록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제1 아암과, 일단이 상기 제1 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손잡이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페달지지수단과, 상기 페달지지수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페달과, 일단이 상기 회전손잡이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중간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손잡이를 포함하고, 운동자가 상기 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페달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손잡이의 일단은 충격흡수막대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손잡이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충격흡수막대는 상기 페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손잡이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빠져나오는 형태로 반복적인 피스톤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더욱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20010002878U 2001-02-07 2001-02-07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235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78U KR200235047Y1 (ko) 2001-02-07 2001-02-07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US09/794,351 US20020107112A1 (en) 2001-02-07 2001-02-28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ro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78U KR200235047Y1 (ko) 2001-02-07 2001-02-07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047Y1 true KR200235047Y1 (ko) 2001-09-25

Family

ID=1970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78U KR200235047Y1 (ko) 2001-02-07 2001-02-07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20107112A1 (ko)
KR (1) KR2002350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310B1 (ko) 2009-10-12 2011-12-16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실외 겸용 실내 운동기능이 구비된 퀵보드
KR101242092B1 (ko) * 2010-12-13 2013-03-11 이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발전 장치
WO2014038856A1 (ko) * 2012-09-05 2014-03-13 Kim Su Jong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184B1 (en) 2001-04-17 2002-10-22 Sunny Lee Combined cycling and stepping exerciser
US7695408B2 (en) * 2006-08-22 2010-04-13 SJS Holdings, LLC Elliptical exercise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080070755A1 (en) * 2006-09-15 2008-03-20 Mckee Todd Machines and Methods for Combined and Isolated Upper and Lower Body Workouts
CN106798627A (zh) * 2017-03-01 2017-06-0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手动式膝关节康复训练机构
CN110025930A (zh) * 2019-04-16 2019-07-19 邹许 一种用于体育器械的康复践踏装置
CN111939004A (zh) * 2020-08-11 2020-11-17 王美玉 一种骨科病人康复锻炼护理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310B1 (ko) 2009-10-12 2011-12-16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실외 겸용 실내 운동기능이 구비된 퀵보드
KR101242092B1 (ko) * 2010-12-13 2013-03-11 이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발전 장치
WO2014038856A1 (ko) * 2012-09-05 2014-03-13 Kim Su Jong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07112A1 (en)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5022B1 (en) A roaming exerciser
EP0746386B1 (en) Treadmill with dual reciprocating treads
US5242343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5755642A (en) Exercise device
US6387015B1 (en) Exercise apparatus employing counter-resistive treading mechanism
EP1878476B1 (en) Pendulous exercise device
US7833133B2 (en) End of travel stop for an exercise device
US5626539A (en) Treadmill apparatus with dual spring-loaded treads
US6045487A (en) Exercise apparatus
US8062185B2 (en) Exercise device for cross training
US5910072A (en) Exercise apparatus
US5577985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5611756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7507186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20080161163A1 (en) Supplemental resistance assembly for resisting motion of an exercise device
KR200235047Y1 (ko)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US7381158B2 (en) Elliptical exerciser
US5989159A (en) Exercise device
US20030060337A1 (en) Surfboard simulating exerciser having handle device
KR100499232B1 (ko) 일립티컬
KR200207041Y1 (ko) 타원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페달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260586Y1 (ko) 전신 운동기
KR200299358Y1 (ko) 더블 트위스트형 운동기구
KR100396042B1 (ko) 전신 운동기
EP2186550B1 (en) Athletic apparatus with non-linear sliding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