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65Y1 - Automatic music page turner - Google Patents

Automatic music page t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65Y1
KR200234965Y1 KR2020010009070U KR20010009070U KR200234965Y1 KR 200234965 Y1 KR200234965 Y1 KR 200234965Y1 KR 2020010009070 U KR2020010009070 U KR 2020010009070U KR 20010009070 U KR20010009070 U KR 20010009070U KR 200234965 Y1 KR200234965 Y1 KR 200234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tor
accommodating portion
carrier
shee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환
Original Assignee
박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환 filed Critical 박지환
Priority to KR2020010009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65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보를 자동으로 넘기기 위한 자동악보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는 입구를 갖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구성되어 있고 구속안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에 일단이 끼워져 정렬되도록 제공되며 타단에 악보가 끼워지는 다수의 막대들과,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로부터 막대들을 인출시키는 이젝팅수단과,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젝팅수단에 의하여 인출되는 막대를 구속안내수단과 협동하여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캐리어와,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악보를 한장씩 넘겨주는 막대를 캐리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원판캠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가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푸시스위치의 조작시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악보의 넘김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handing over sheet music.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n inlet are form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support are form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support are formed. A plurality of rod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fitted with a sheet music, ejecting means for drawing the rods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support, and being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by the ejecting means. And a carrier for moving the pulled out bar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in cooperation with the restraint guide means,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arrier,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operating the ro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rrier to pass the sheet music one by one is very simple and compact, can be easily placed on the existing music stand, and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limit switch, which is operated by the mechanical mechanism of the disc cam,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thereby smooth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without regard to the timing of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by the player. It can be effective.

Description

자동악보장치{AUTOMATIC MUSIC PAGE TURNER}Automatic Sheet Music Equipment {AUTOMATIC MUSIC PAGE TURNER}

본 고안은 악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악보를 한장씩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자동악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c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turn the sheet music one by one.

일반적으로 여러 페이지의 악보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주곡을 연주자가 오랜 시간 동안 악기로 연주하는 경우 연주자는 악보를 악보대에 올려놓고 손으로 악보를 한장씩 넘기면서 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직접 악보를 넘기면서 연주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악보를 넘기기 위하여 연주를 잠시 중단해야 하므로 연주에 많은 지장이 있다. 이에 따라 악보를 자동으로 넘겨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악보대가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when a player plays a musical instrument composed of several pages of music for a long time, the player places the sheet music on the music table and plays the sheet music by hand. As such, it is not onl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the performer to play the score directly, but also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playing because the player must pause the performance in order to pass the score.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utomatic sheet music stand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automatically pass music scores.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8700호의 자동악보대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가동판이 좌우로 이동되면 가동판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롤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기어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바가 좌우로 작동되면서 클립에 고정되어 있는 악보를 넘겨주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automatic music stand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88700, when the movable plate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the gear roller which meshes with the gear of the movable plate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and the bar is It is configured to turn the left and right music notes fixed to the clip.

그러나, 가동판이 악보대의 좌우로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가동판이 작동하는 공간이 크므로 전체 장치의 구성을 소형화하는데 제약을 받으며, 크기가 상당히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movable plat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usic rest, the space for operating the movable plate is large, and therefore,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is restricted, and the size of the movable plate is considerably increased and the weight becomes heavy.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수동악보대 또는 피아노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자동악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made of small size can be easily placed on the music stand of the existing manual music stand or piano can be used In addition, to provide a practical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는 입구를 갖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구성되어 있고, 구속안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에 일단이 끼워져 정렬되도록 제공되며, 타단에 악보가 끼워지는 다수의 막대들과;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로부터 막대들을 인출시키는 이젝팅수단과;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젝팅수단에 의하여 인출되는 막대를 구속안내수단과 협동하여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캐리어와;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inlet, and a restraining guide means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rods, one end of which is fitt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the musical notes being fitted to the other end; Eje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rods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support; A carrier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upport and moving the rod drawn by the ejecting means in cooperation with the restraint guide mea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support;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carri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drive means.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가 악보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usic stan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하우징, 지지대, 막대들, 제1 실시예의 이젝팅기구와 캐리어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the support, the rods, the ejecting mechanism and the carr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하우징, 지지대, 막대들, 제1 실시예의 이젝팅기구와 캐리어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the support, the rods, the ejecting mechanism and the carr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지지대와 막대들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support and the rod of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젝팅기구의 제2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jec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utomatic musical sco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모터의 정역회전을 전환시키기 위한 시소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esaw switch for switch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of FIG.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회로도,9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utomatic musical sco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10a to 10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utomatic musical sco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에서 지지대의 제1 수납부로부터 막대들이 인출되어 캐리어에 의하여 이동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12a to 12c is a view showing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rod is drawn out from the first housing of the support in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by the carrier,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에서 캐리어에 의하여 이동되는 막대들이 지지대의 제2 수납부에 수납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13A to 1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rods moved by a carrier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support in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하우징 20: 지지대10 housing 20 support

21: 제1 수납부 22: 제2 수납부21: first accommodating part 22: second accommodating part

23: 내턱 24: 외턱23: inside jaw 24: outside jaw

30a∼30f: 막대 40,140: 이젝팅기구30a to 30f: rod 40, 140: ejecting mechanism

41,141: 푸셔 43: 코일스프링41,141: Pusher 43: Coil Spring

142: 토션스프링 50: 캐리어142: torsion spring 50: carrier

51: 플랜지 52: 캐치홈51: flange 52: catch groove

60: 모터 70: 기어열60: motor 70: gear train

76: 구동기어 80: 푸시스위치76: drive gear 80: push switch

86: 시소스위치 90: 전원86: seesaw switch 90: power

100: 원판캠 110: 리미트스위치100: disc cam 110: limit switch

120: 전자회로120: electronic circui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하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슬롯(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기존의 수동악보대의 받침판(2) 또는 피아노 등의 악보받침판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악보(1)를 올려놓게 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10 constituting the appearance, the slot 1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has a narrow shape and a long shape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support plate 2 of the conventional manual music stand or a music support plate such as a piano. The musical score 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슬롯(11)과 근접하도록 지지대(2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에 입구(21a,22a)를 각각 갖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입구(21a,22a)가 180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위치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0)의 상면에는 제1 수납부(21)의 입구(21a)와 제2 수납부(22)의 입구(22a) 사이를 연결하는 반원형의 내턱(23)과 외턱(24)이 트랙(25)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있다.2 to 5, the support 2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close to the slot 11. The support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osition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respectively have inlets 21a and 22a on the upper side thereof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inlet 21a, 22a of the payment part 21 and the 2nd accommodating part 22 is formed so that the inclination path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maintains the angle of 180 degre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is a semicircular inner jaw 23 and outer jaw 24 connecting the inlet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inlet 22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It is protru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25).

한편, 지지대(20)의 내턱(23)과 외턱(24) 각각은 후술하는 다수의 막대(30a∼30f)들중 하나가 캐리어(50)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구속함과 동시에 제1 수납부(21) 또는 제2 수납부(22)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구속안내수단의 기능을 보유한다. 즉, 제1 수납부(21)의 위치를 악보(1)의 넘김동작시작위치라 하고 제2 수납부 (22)의 위치를 악보(1)의 넘김동작완료위치라 할 때, 제1 수납부(21)로부터 최상의 막대(30a)가 이동되면서 악보(1)의 넘김동작이 시작되며 최상의 막대(30a)가 제2 수납부(22)에 도달되면 악보(1)의 넘김동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사이의 일측 구간에서만 악보(1)의 넘김동작이 실시되고 타측 구간에서는 내턱(23)과 외턱(24)에 의하여 최상의 막대(30a)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일측 내면에는 정렬돌기(21b,21c,22b,22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20)의 중앙에 축구멍(26)을 갖는 보스(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하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each of the inner jaw 23 and the outer jaw 24 of the support 20 restrains the movement of one of the plurality of rods 30a to 30f described later by the carrier 5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 21 or has a function of restraint guide means for guiding entry into the second housing portion 22.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s referred to a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sheet music 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is referred to as the finished position of the sheet music 1,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s the best bar 30a is moved from 21,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starts, and when the best bar 30a reaches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is completed.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1 is performed only in one section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in the other section, the inner jaw 23 and the outer jaw ( 24) movement of the best rod 30a is impeded. Alignment protrusions 21b, 21c, 22b, and 22c are formed on one sid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 boss 27 having a shaft hole 2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20, and a hole 28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4와 도 12a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에는 악보(1)를 한장씩 넘겨줄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슬롯(11)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다수의 막대(30a∼30f)들의 일단이 끼워져 경사지게 정렬되어 있다. 막대(30a∼30f)들의 타단에는 악보(1)가 고정적으로 끼워지는 페이지홀더(31a∼30f)가 서로간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지홀더(31a∼30f)는 막대(30a∼30f)들의 타단을 수직하게 형성하고 그 끝단에 절제하여 구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별도의 클립, 바인더 등을 막대(30a∼30f)들에 일체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1 to 4 and 12A together, the first housing 21 and the second housing 22 of the support 20, the slot of the housing 10 so as to pass the sheet music 1 one by on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elongated rods 30a to 30f extending outwardly through 11 is fitted and inclinedly aligned. At the other ends of the bars 30a to 30f, page holders 31a to 30f to which the sheet music 1 is fixedly provided are provided so as to exclud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ge holders 31a to 30f are formed by vertically forming the other ends of the bars 30a to 30f and cutting them to the ends thereof,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integrally to 30a to 30f).

도 4와 도 5에 명확히 보이는 바와 같이, 막대(30a∼30f)들 각각의 일단에는 지지대(20)의 정렬돌기(21b,21c,22b,22c)에 끼워져 안내되도록 정렬홈(32a,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렬홈(32a,32b) 사이에 위치하는 막대(30a∼30f)들의 외면 상측에는 구속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막대(30a∼30f)들 각각의 정렬홈(32a,32b)이 지지대(20)의 정렬돌기(21b,21c,22b,22c)에 끼워져 안내됨으로써 막대(30a∼30f)들의 승강운동이 정확하게 수행된다. 도 4에는 지지대(20)의 정렬돌기(21b,21c,22b,22c)와 막대(30a∼30f)들 각각의 정렬홈(32a,32b)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제1 수납부(21)측의 정렬돌기(21b,21c)와 제2 수납부(22)측의 정렬돌기(22b,22c)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간격에 부합하도록 정렬홈 (32a,32b)을 막대(30a∼30f)들에 형성할 수도 있다.As clearly shown in Figs. 4 and 5, at one end of each of the rods 30a to 30f, the alignment grooves 32a and 32b are inserted into the alignment protrusions 21b, 21c, 22b, and 22c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guided. The restraint groove 3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ds 30a to 30f positioned between the alignment grooves 32a and 32b. As the alignment grooves 32a and 32b of each of the rods 30a to 30f ar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alignment protrusions 21b, 21c, 22b and 22c of the support 20, the lifting movements of the rods 30a to 30f are accurately performed. . 4 shows that the alignment protrusions 21b, 21c, 22b, and 22c of the support 20 and the alignment grooves 32a and 32b of each of the rods 30a to 30f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bu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alignment protrusions 21b and 21c on the side of 21 and the alignment protrusions 22b and 22c on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re formed at different intervals, and the alignment grooves 32a and 32b correspond to these intervals. May be formed on the rods 30a to 30f.

도 2, 도 3, 도 12a 내지 도 12c와 도 13a 내지 도 13c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각각에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로부터 막대(30a∼30f)들을 인출하는 제1 실시예의 이젝팅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이젝팅기구(40)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각각에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막대(30a∼30f)들을 지지하는 푸셔(41)와, 푸셔 (41)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바닥을 관통하여 푸셔(41)의 저면에 고정되는 안내봉(42)과, 푸셔(41)의 저부에 장착되어 푸셔(41)를 상승시키는 코일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푸셔(41)의 상면은 지지대 (20)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봉(42)의 하단에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각각의 저면에 걸려 푸셔(41)의 상승위치를 구속하는 스토퍼(4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각각의 입구 (21a,22a)를 통하여 막대(30a∼30f)들이 끼워질 때 푸셔(41)는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되어 막대(30a∼30f)들의 진입을 허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가 경사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막대(30a∼30f)들은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내에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고 정확하게 진입된다.Referring to FIGS. 2, 3, 12A to 12C, and FIGS. 13A to 13C,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2 of the support 2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21. ) And the ejecting mechanism 40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tracting the rods 30a to 30f from the second housing portion 22 is provided. The ejecting mechanism 40 of the first embodiment is equipped with a pusher 41 mounted to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supporting the rods 30a to 30f, Guide rods 42 fixed to the bottom of the pusher 41 to penetrate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so as to guide the lifting motion of the pusher 41, and the pusher ( It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43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41 to lift the pusher 41.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er 41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42, a stopper 42a is formed on the bottom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o restrain the raised position of the pusher 41. When the rods 30a to 30f are fitted through the inlets 21a and 22a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e pusher 41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43. It is lowered to allow entry of the rods 30a to 30f.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2 of the support 20 form an inclined path, the rods 30a to 30f are forme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 It enters smoothly and correctly with little force in the accommodating part 22.

도 6에는 이젝팅기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이젝팅기구(140)는 제1 실시예의 이젝팅기구(40)의 푸셔(41)와 마찬가지로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 각각에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막대(30a∼30f)들을 지지하는 푸셔(141)와,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일측에 장착되며 푸셔(141)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는 토션스프링(142)을 구비한다. 토션스프링(142)의 감김부(142a)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대(20)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고정편(143)에 고정되며 감김부 (142a)로부터 연장되는 일단(142b)은 지지대(20)를 관통하여 푸셔(141)의 저면과 접촉되고 타단(142c)은 지지대(20)를 관통하여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42)의 일단(142b)과 타단(142c)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푸셔(141)의 저면과 제1 및 제2 수납부(21,22)의 바닥에는 걸림편 (144a,144b)이 형성되어 있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ejecting mechanism. Referring to FIG. 6, the ejecting mechanism 14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pusher 41 of the ejecting mechanism 40 of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e pusher 141 which is mounted to move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rods 30a to 30f,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er 141 is mounted. It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142 for supporting and raising. The winding portion 142a of the torsion spring 142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143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20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e one end 142b extending from the winding part 142a penetrates the support 20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er 141, and the other end 142c penetrates the support 20 to the first receiving part 21.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2nd accommodating part 22. As shown in FIG. Engaging pieces 144a and 144b on the bottom of the pusher 141 and the bottom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21 and 22 to fix one end 142b and the other end 142c of the torsion spring 142, respectively. Is formed.

도 2, 도 3, 도 12a 내지 도 12c와 도 13a 내지 도 13c를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지지대(20)의 상측에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출되는 막대(30a∼30f)들을 운반하여 다른 하나에 수납시키는 원판형의 캐리어(50)를 구비한다. 캐리어(50)의 저면에는 지지대(20)의 트랙(25)에 끼워져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로부터 최상의 막대(30a)의 인출을 저지하는 환상의 플랜지(51)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1)의 일측에는 제1 수납부(21)와 제2 수납부(22)로부터 인출되는 막대(30a∼30f)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붙잡는 하나의 캐치홈(52)이 절취되어 있으며, 캐치홈(52)의 상측에는 막대(30a∼30f)들 각각의 구속홈(33)에 끼워져 막대(30a∼30f)들의 예를 들어 공회전이나 흔들림 등을 방지하는 구속돌기(5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캐리어(50)의 저면 중앙에는 지지대(20)의 축구멍(26)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전축(54)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54)의 하단은 축구멍(26)의 하측에 돌출되어 있다.2, 3, 12a to 12c and 13a to 13c again, 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0 and the first of the support 20 A disk-shaped carrier 50 which carries the rods 30a to 30f drawn out from on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stores them in the other. An annular flange 51 fitted to the track 25 of the support 20 on the bottom of the carrier 50 to prevent the best rod 30a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Is extended. One catch groove 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51 to hold the rods 30a to 30f drawn out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On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52, a constraining projection 53 is inserted into the constraining groove 33 of each of the bars 30a to 30f to prevent, for example, idling or shaking of the bars 30a to 30f. .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50 is formed a rotating shaft 54 which is rotatably fitted in the shaft hole 26 of the support 20,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54 protrudes below the shaft hole 26 have.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수단으로 모터(60)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60)의 구동력은 기어열(70)에 의하여 전달된다. 기어열(70)은 모터(60)의 모터축(61)에 장착되는 워엄기어(71)와, 워엄기어(7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제1 고정축(72)에 장착되며 워엄기어(71)와 맞물리는 기어(73a)와 이 기어(73a)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73b)를 갖는 제1 중간기어(73)와, 제1 중간기어(73)의 기어(73b)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제2 고정축 (74)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중간기어(75)와, 제2 중간기어(75)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캐리어(50)의 회전축(54)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구동기어(76)로 구성된다. 제1 고정축(72)과 제2 고정축(74)은 하우징(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제2 중간기어(75)와 구동기어(76)는 지지대(20)의 구멍(28)을 통하여 맞물려 있다.2 to 4 again, the motor 6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s a driving mean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60 is transmitted by the gear train 70. The gear train 70 is attached to the worm gear 71 mounted on the motor shaft 61 of the motor 60 and the first fixed shaft 72 so as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worm gear 71 and the worm gear 71. And a first intermediate gear 73 having a gear 73a engaged with the gear 73 and a gear 73b integrally formed with the gear 73a, and a gear 73b of the first intermediate gear 73 to rotate. 2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75 mounted on the fixed shaft 74 and the drive gear 76 fixedly mounted to the rotation shaft 54 of the carrier 50 so as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75. It is composed. The first fixed shaft 72 and the second fixed shaft 74 are fixedly mounted to the housing 1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75 and the drive gear 76 are holes 28 of the support 20. Interlocked through.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연주자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먼저, 도 1,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제어수단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푸시스위치(80)를 구비한다. 푸시스위치(80)는 케이스(81)의 상측에 스프링(82)에 의하여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6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1 버튼 (83a)과 제2 버튼(83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버튼(83a,83b) 각각의 하측에는 제1 및 제2 버튼(83a,83b)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1 접점(85a)과,제1 접점(85a)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제1 접점(85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점(85b)과 제3 접점(85c)이 제공되어 있다. 모터(60), 푸시스위치(80)의 제2 및 제3 접점(85b,85c)과 전원(90)은 전선(91)에 의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ans of various embodiment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60 by a player or a user. First, referring to FIGS. 1, 7 and 8,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ush switch 80. The push switch 8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81 so as to be biased by a spring 82 and includes a first button 83a and a second button 83b f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60. Doing. Below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the first contact 85a moves up and down by manipulating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ntact 85a. The second contact 85b and the third contact 85c, which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and electrically contact the first contact 85a and output an on-off signal, are provided. The motor 60, the second and third contacts 85b and 85c of the push switch 80 and the power supply 90 are connected by circuits 91 by a circuit 9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버튼(83a,83b)은 연주자의 발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으로 제1 버튼(83a)은 악보(1)를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모터(60)를 정회전으로 구동시키며, 제2 버튼(83b)은 악보(1)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되넘길 수 있도록 모터(60)를 역회전으로 구동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are operated by the player's foot, and the first button 83a sets the motor 60 so as to sequentially turn the sheet music 1 to the left. In rotation, the second button 83b drives the motor 60 in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music score 1 can be sequentially turned to the right.

제1 실시예의 제어수단에 있어서 모터(60)를 정역회전시키는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버튼(83a)과 제2 버튼(83b) 각각에는 일체로 연장된 누름편(84a)과 누름편(8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버튼 (83a,83b)은 누름편(84a,84b)을 개재하여 전환스위치의 일예로서 잘 알려진 시소스위치(86)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버튼(83a,83b)의 누름편 (84a,84b)이 교대로 눌려짐에 따라 시소스위치(86)는, 도 6에서 실선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90)의 극성을 교대로 변경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소스위치(86)를 예로 들었으나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다른 전환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a circuit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60 in the control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first button 83a and the second button 83b integrally extending the pressing piece ( 84a) and the pressing piece 84b are formed.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ar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seesaw switch 86, which is well known as an example of the changeover switch via the pressing pieces 84a and 84b. As the pressing pieces 84a and 84b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are alternately pressed, the seesaw switch 86 is supplied to the motor 60, as indicated by the solid and dashed lines in FI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y 90 to be alternately chan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esaw switch 86 is taken as an example,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other changeover switches may be used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60.

도 9와 도 10a 내지 도 10e에는 제어수단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제1 실시예의 제어수단과 마찬가지로 푸시스위치(8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제어수단에 있어서 푸시스위치(80)의 구성과 작동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제어수단의 내용을 참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접점(85a)의 상측에는 제1 접점(85a)과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4 접점(85d)과 제5 접점(85e)이 각각 제공되어 있다.9 and 10a to 10e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push switch 80 similarly to the control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80 in the control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refer to the contents of the control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fourth contact 85d and the fifth contact 85e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85a and output an on-off signal are provided above the first contact 85a, respectively.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구동기어(76)와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원판캠(1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01)에 의하여 작동되며 푸시스위치(70)와 협동하여 모터(60)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10)를 구비한다. 도 3에는 원판캠(100)이 구동기어(76)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으나, 원판캠(100)은 캐리어(50)의 회전축(54)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하여 장착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ed by the protrusion 10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 cam 100, which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drive gear 76, and is provided with the push switch 70. The limit switch 110 which cooperates and control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60 is provided. 3 shows that the disc cam 1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e gear 76, the disc cam 1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54 of the carrier 50 or separately configured. It can also be mounted.

도 3과 도 10a 내지 도 10e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110)는 원판캠(100)의 돌출부(101)와 직접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작동판(111)과, 작동판(111)과 연동하는 제1 접점(112a)과, 제1 접점(112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점(112b)과, 제1 접점(112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접점(11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판 (111)의 선단에는 원판캠(100)의 외면과 돌출부(101)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롤러(113)가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3 and 10A to 10E, the limit switch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01 of the disc cam 100 to operate elastically and the operation plate 111. A first contact 112a interlocked with 111, a second contact 112b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112a to output an on-off signal, and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112a. The third contact point 112c outputs an off signal. At the tip of the operating plate 111 is mounted a roller 113 for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 cam 100 and the protrusion 101 in the rolling motion.

또한, 도 9와 도 10a를 참조하면, 모터(60), 푸시스위치(80)의 제1 내지 제5 접점(85a∼85e), 리미트스위치(110)의 제1 내지 제3 접점(112a∼112c)과 전원(90)은 전선(92)에 의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60)는 리미트스위치(110)의 제1 접점(112a)과 전원(90)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90)은 푸시스위치(80)의 제3 및제5 접점(85c, 85e)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스위치(80)의 제2 접점(85b)은 리미트스위치(110)의 제2 접점(112b)에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스위치 (80)의 제4 접점(85d)은 리미트스위치(110)의 제3 접점(112c)에 연결되어 있다.9 and 10A, the motor 60, the first to fifth contacts 85a to 85e of the push switch 80, and the first to third contacts 112a to 112c of the limit switch 110. ) And the power supply 90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y the wire 92. The motor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112a of the limit switch 110 and the power supply 90, and the power supply 90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ifth contacts 85c and 85e of the push switch 80,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he second contact 85b of the push switch 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112b of the limit switch 110, and the fourth contact 85d of the push switch 80 is the limit switch 110.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112c.

제2 실시예의 제어수단에 있어서 푸시스위치(80)의 제1 및 제2 버튼 (83a,83b)은 제1 실시예의 제어수단과 마찬가지로 누름편(84a,84b)을 개재하여 전환스위치의 일예로서 잘 알려진 시소스위치(86)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버튼(83a,83b)의 누름편(84a,84b)이 교대로 눌려짐에 따라 시소스위치(86)는, 도 9에서 실선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90)의 극성을 교대로 변경시킨다. 즉, 도 9의 시소스위치(86)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60)가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60)와 전원(90)이 연결되고, 모터(60)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90)의 극성이 변경되도록 모터(60)와 전원(90)이 연결된다.In the control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83b of the push switch 80 are similar to the control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via the pressing pieces 84a, 84b as an example of the changeover switch. It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known seesaw switch 86. As the pressing pieces 84a and 84b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are alternately pressed, the seesaw switch 86 is supplied to the motor 60, as indicated by solid and dashed lines in FIG. 9.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y 90 to be alternately changed. That is, when the motor 60 rotates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seesaw switch 86 of FIG. 9, as shown by the solid line, the motor 60 and the power supply 90 are connected, and the motor 60 rotates in reverse.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dotted line, the motor 60 and the power supply 90 are connected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y 90 supplied to the motor 60.

도 11에 보이는 제3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푸시스위치(80)의 제1 및 제2 버튼(83a,83b)과 연동하여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90)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전자회로(120)를 구비하며, 이러한 전자회로(120)는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자회로(120)는 모터제어용 IC(Integrated Circuit) 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The control means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1 is an electronic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90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supplied to the motor 60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of the push switch 80. 120, the electronic circuit 120 is well know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meantime, the electronic circuit 120 may be configured by an IC (Integrated Circuit) for motor control.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악보를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모터의 정회전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작용이 제2 실시예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실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for passing the sheet music in the forwar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being performed by the control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2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에 막대(30a∼30f)들의 일단이 각각 끼워져 정렬되고, 최상의 막대(30a)가 캐리어(50)의 플랜지(51)에 지지되어 지지대(20)의 수납부(21)에 완전히 몰입되어 있으며, 막대(30a∼30f)들 각각의 페이지홀더(31a∼31f)에 악보가 한장씩 고정되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초기상태이다.As shown in FIG. 12A, one end of the rods 30a to 30f is fit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respectively, and the best rod 30a is attached to the flange 51 of the carrier 50. When the sheet music is completely immer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and the sheet music is fixed to the page holders 31a to 31f of each of the bars 30a to 30f,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 state available.

도 10a를 참조하면, 자동악보장치의 초기상태에서는 원판캠(100)의 돌출부 (101)에 리미트스위치(110)의 롤러(113)가 접촉되어 있다. 이때에는, 리미트스위치 (110)의 제1 접점(112a)과 제2 접점(112b)은 온되어 있으나 푸시스위치(80)의 제2 접점(85b)과 제3 접점(85c)이 오프되어 있으므로, 모터(60)에는 전원(90)이 공급되지 않아 모터(60)는 정지되어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0A, the roller 113 of the limit switch 11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01 of the disc cam 10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ntact 112a and the second contact 112b of the limit switch 110 are on, but the second contact 85b and the third contact 85c of the push switch 80 are off, Since the power supply 90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60, the motor 60 is stopped.

다음으로, 도 4, 도 9와 도 10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110)의 제1 접점(112a)과 제2 접점(112b)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주자가 발로 푸시스위치(80)의 제1 버튼(83a)을 누르면, 푸시스위치(80)의 제1 접점(85a)이 하강하여 푸시스위치(80)의 제2 접점(85b)과 제3 접점(85c)이 온됨으로써 전원(90)이 모터(60)에 공급되어 모터(60)가 구동된다. 모터(60)의 구동력은 기어열(70)에 의하여 캐리어(50)에 전달되며, 캐리어(50)는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된다.Next, as shown in FIGS. 4, 9, and 10B, the player kicks the push switch 8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act 112a and the second contact 112b of the limit switch 110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button 83a is pressed, the first contact 85a of the push switch 80 is lowered to turn on the second contact 85b and the third contact 85c of the push switch 80 so that the power supply 90 is turned on. It is supplied to this motor 60, and the motor 60 is drive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60 is transmitted to the carrier 50 by the gear train 70, and the carrier 5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54.

도 10c를 참조하면, 캐리어(50)가 계속 회전되어 리미트스위치(100)의 롤러(113)가 원판캠(100)의 돌출부(101)을 지나서 원판캠(100)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면, 리미트스위치(110)의 제1 접점(112a)과 제2 접점(112b)이 오프됨으로써 모터(60)는 정지한다. 이후, 도 10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주자가 푸시스위치 (80)의 제1 버튼(83a)으로부터 발을 떼면 푸시스위치(80)의 제4 접점(85d)과 제5 접점(85e)이 온됨으로써 모터(60)가 다시 구동되고, 캐리어(50)도 다시 회전한다.Referring to FIG. 10C, when the carrier 50 is continuously rotated so that the roller 113 of the limit switch 10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 cam 100 through the protrusion 101 of the disc cam 100, the limit is limited. The motor 60 is stopped by turning off the first contact 112a and the second contact 112b of the switch 110. Thereafter, as shown in FIG. 10D, when the player releases the first button 83a of the push switch 80, the fourth contact 85d and the fifth contact 85e of the push switch 80 are turned on. As a result, the motor 60 is driven again, and the carrier 50 also rotates again.

도 3과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50)의 회전에 의하여 캐치홈(52)이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의 입구(21a)에 정렬되면, 최상의 막대(30a)가 이젝팅기구(40)에 의하여 제1 수납부(21)의 입구(21a)를 통하여 인출되면서 캐리어(50)의 캐치홈(52)에 끼워진다. 이때, 최상의 막대(30a)의 구속홈 (33)은 캐리어(50)의 구속돌기(53)에 끼워짐으로써, 최상의 막대(30a)의 공회전이나 흔들림 등이 방지된다. 그리고, 두 번째 막대(30b)는 캐리어(50)의 플랜지(51)에 지지되어 제1 수납부(21)의 입구(21a)로부터의 인출이 저지된다.3 and 12b, when the catch groove 52 is aligned with the inlet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by the rotation of the carrier 50, the best rod ( 30a is drawn out through the inlet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by the ejecting mechanism 40 and is fitted into the catch groove 52 of the carrier 50. At this time, the restraint groove 33 of the best rod 30a is fitted into the restraint protrusion 53 of the carrier 50, thereby preventing idling or shaking of the best rod 30a. Then, the second rod 30b is supported by the flange 51 of the carrier 50 so that withdrawal from the inlet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s prevented.

도 12c와 도 13a를 참조하면, 캐리어(50)의 캐치홈(52)에 붙잡힌 최상의 막대(30a)는 캐리어(50)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로부터 제2 수납부(22)로 이동된다. 13b와 13c를 참조하면, 캐리어(5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던 최상의 막대(30a)가 제2 수납부(22)의 입구(22a)에 도달되면, 최상의 막대(30a)는 내턱(23)과 외턱(24)에 지지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이후, 회전되는 캐리어(50)의 캐치홈(52)은 이동이 구속되어 있는 최상의 막대(30a)를 그 회전력에 의하여 밀게 되고, 최상의 막대(30a)는 입구(22a)를 통하여 제2 수납부(22)에 몰입된다. 즉, 최상의 막대(30a)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첫 번째 페이지의 악보 (1)를 넘겨주게 된다.12C and 13A, the best rod 30a caught in the catch groove 52 of the carrier 50 is remov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by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carrier 50. 2 is moved to the receiving portion (22). Referring to 13b and 13c, when the best rod 30a that has been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carrier 50 reaches the inlet 22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e best rod 30a is connected to the inner jaw 23. Supported by the outer jaw 24, the movement is constrained. Thereafter, the catch groove 52 of the carrier 50 that is rotated pushes the best rod 30a on which the movement is constrained by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best rod 30a passes through the inlet 22a. Immersed in 22). That is, the best bar 30a moves from right to left to turn over the score 1 of the first page.

계속하여 도 10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판캠(100)의 돌출부(101)가리미트스위치(110)의 롤러(113)와 접촉되어 제1 접점(112a)과 제3 접점(112c)가 오프되면 전원(90)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모터(90)의 구동이 정지되고, 첫 번째 페이지의 악보(1)의 넘김동작이 완료되면, 연주자는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 번째 막대 (30b)는 제1 수납부(21)의 입구(21a)에 위치되어 두 번째 페이지의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된다. 두 번째 페이지의 악보를 넘기는 경우에 있어서는 캐리어 (50)와 막대(30b)의 협동에 의하여 상기한 도 10a 내지 10e, 도 12a 내지 도 12c, 그리고 도 13a 내지 13c에 도시하고 설명한 일련의 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으로써 달성된다.10E, the protrusion 101 of the disc cam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113 of the limit switch 110 so that the first contact 112a and the third contact 112c are turned off. When the power supply 90 is cut off.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90 is stopped and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of the first page is completed, the player can continue playing while viewing the sheet music of the next pag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C, the second bar 30b is positioned at the inlet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is ready to turn over the score of the second page. In the case of turning the sheet music of the second page, a series of operations shown and described in FIGS. 10A to 10E, 12A to 12C, and 13A to 13C are sequentially performed by the cooperation of the carrier 50 and the rod 30b. Is achieved by

이와 같이 푸시스위치(80)와 리미트스위치(110)의 협동에 의하여 모터 (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캐리어(5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지지대(20)의 제1 수납부(21)에 수납되어 있는 막대(30a∼30f)들 모두를 제2 수납부(22)에 이동시킴으로써, 악보(1)의 넘김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ing of the motor 60 is controlled by the cooperation of the push switch 80 and the limit switch 110,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20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rrier 50. By moving all of the rods 30a to 30f to the second housing portion 22,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한편, 이상에서는 악보(1)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기는 정방향 넘김동작만을 설명하였으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역방향 되넘김동작은 악보(1)의 넘김동작과 반대방향으로 모터(60)를 구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악보(1)를 역방향으로 되넘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시스위치(80)의 제2 버튼(83b)을 누름으로써 달성된다. 푸시스위치(80)의 버튼(83b)을 누름에 따라 누름편(84b)이 도 8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소스위치(86)를 누름으로써 스위칭 방향이 전환되어 도 9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60)와 전원(90)이 연결됨으로써, 반대극성의 전원(90)이 모터(60)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터(6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악보(1)의 되넘김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악보(1)의 되넘김동작은 넘김동작과 방향만 반대일뿐 동작과정은 넘김동작과 동일하므로 악보(1)의 되넘김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forward turning operation for turning the sheet music 1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has been described, but the reverse turning operatio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can be achieved by driving the motor 6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Can be. In the case where the sheet music 1 is to be reversed, it is achieved by pressing the second button 83b of the push switch 80. As the push piece 84b of the push switch 80 is pressed, the pressing piece 84b is switched by pressing the seesaw switch 86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As the motor 60 and the power supply 90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90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is supplied to the motor 60. Thus, the motor 6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is performed. Since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is the opposite of the turning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nly, the operation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the turning oper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is omitted.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수단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연주자가 푸시스위치(80)의 제1 버튼(83a)과 제2 버튼(83b)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전원(90)이 모터(60)에 공급되어 악보(1)의 넘김동작 또는 되넘김동작이 실행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수단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푸시스위치(80)의 제1 및 제2 버튼(83a,83b)과 연동하여 모터(60)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간단한 구성의 전자회로(120)를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의 제어수단을 보다 소형화 및 경량화시켜 제작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power supply 90 is powered only by the player while the player presses the first button 83a and the second button 83b of the push switch 80. 60 is supplied to the sheet music 1, and the turning or return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shown in FIG. 11, an electronic circuit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60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83a and 83b of the push switch 80. By providing 120, the control means of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maller and lighter.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의하면, 악보를 한장씩 넘겨주는 막대를 캐리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원판캠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가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푸시스위치의 조작시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악보의 넘김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for operating the rod to pass the sheet by piec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rrier is very simple and small size can be easily placed on the existing music stand,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limit switch, which is operated by the mechanical mechanism of the disc cam,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thereby smooth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without regard to the timing of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by the player. It can be effective.

Claims (8)

입구를 갖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구성되어 있고, 구속안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와;A supporter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inle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restraining guide means is formed;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에 일단이 끼워져 정렬되도록 제공되며, 타단에 악보가 끼워지는 다수의 막대들과;A plurality of rods, one end of which is fitt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the musical notes being fitted at the other end;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로부터 상기 막대들을 인출시키는 이젝팅수단과;Eje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rods from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젝팅수단에 의하여 인출되는 막대를 상기 구속안내수단과 협동하여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캐리어와;A carrier installed to rotate relative to the support and moving the rod drawn by the ejecting means in cooperation with the restraint guide mea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support; 상기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Drive means for rotating the carrier;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Automatic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팅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jecting means,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막대들을 지지하는 푸셔와;A pusher mount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of the support and supporting the rods; 상기 푸셔를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Automatic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astic means for moving the pus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로부터 상기 막대들의 인출을 저지하는 환상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는 상기 막대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붙잡는 하나의 캐치홈이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arrier is formed with an annular flange for preventing the withdrawal of the rods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support, the rod is moved on one side of the flang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catch groove is cut to hol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안내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내턱과 외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straint guide means comprises an inner jaw and an outer jaw formed on the suppo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 각각은 상기 막대들의 인출 및 진입이 원활하도록 경사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pport is formed as a ramp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and entry of the r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캐리어에 전달하는 기어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갖는 푸시스위치와 이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환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2. The driv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eans comprises a motor and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carrier, and the control means has a push button having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controll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n cooperation with a switch and the push switc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어열과 병행하여 회전되는 원판캠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기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7. The control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6, wherein the control means further includes a limit switch operated by the protrusion of the disc cam which rotates in parallel with the gear train and in cooperation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캐리어에 전달하는 기어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갖는 푸시스위치와 이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2. The driv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eans comprises a motor and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carrier, and the control means has a push button having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controll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And an electronic circuit for cooperating with a switch and the push switch to control power and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supplied to the motor.
KR2020010009070U 2001-03-31 2001-03-31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2002349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70U KR200234965Y1 (en) 2001-03-31 2001-03-31 Automatic music page t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70U KR200234965Y1 (en) 2001-03-31 2001-03-31 Automatic music page tur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196A Division KR20020076949A (en) 2001-03-31 2001-03-31 Automatic music page tu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65Y1 true KR200234965Y1 (en) 2001-10-10

Family

ID=7309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70U KR200234965Y1 (en) 2001-03-31 2001-03-31 Automatic music page t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6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229B1 (en) Information reading toy
KR100495303B1 (en) Device of turn over the page with automatic
JP5755991B2 (en) Information reading toy
TW522033B (en) Music game apparatus
KR200234965Y1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20020076949A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100199836B1 (en) A clamp drive unit of compact disc player
JP2004516171A (en) Book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CN218357337U (en) Children toy
KR200221630Y1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100284160B1 (en) Automatic bookshelf turning device
US5063553A (en) Cartridge guiding device for disk player
KR200207054Y1 (en) A music-rack having device of turning the leaves of music book
KR100284327B1 (en) Automatic page turning
JP2789508B2 (en) Slot machine
JP2003059157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for disk
KR200209652Y1 (en) Music stand that automatically turns the score
JP2537694B2 (en) Magazine storage type disc player
JPH0325317Y2 (en)
KR830000381B1 (en) Record player
KR960005639Y1 (en) Device for turning musical note
US5191490A (en) Auto reverse type tape player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a one-cycle mode and an endless mode
JP5455051B2 (en) Game machine equipment
KR920001123Y1 (en) Repeat apparatus for a record player
JPS5842543B2 (en) Rokuon Saiseik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