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630Y1 - Automatic music page turner - Google Patents

Automatic music page t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630Y1
KR200221630Y1 KR2020000031414U KR20000031414U KR200221630Y1 KR 200221630 Y1 KR200221630 Y1 KR 200221630Y1 KR 2020000031414 U KR2020000031414 U KR 2020000031414U KR 20000031414 U KR20000031414 U KR 20000031414U KR 200221630 Y1 KR200221630 Y1 KR 200221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heet music
rotating body
push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환
Original Assignee
박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환 filed Critical 박지환
Priority to KR202000003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6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630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보를 자동으로 넘기기 위한 자동악보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과; 기어열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섹터기어들과,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원통형 회전체와; 회전체의 섹터기어들과 각각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기어들과; 메인기어들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 악보가 끼워지는 복수의 막대들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푸시스위치와; 회전체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되고,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악보를 한장씩 넘겨주는 막대를 회전체의 섹터기어들과 메인기어들의 협동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가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푸시스위치의 조작시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악보의 넘김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handing over sheet music.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using;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gear train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 cylindrical rotating body provided to be rotatable by a gear train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tor gea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main gears provid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tor gears of the rotating body,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ods each connected to the main gears and having a sheet music fitted at an end thereof; A push switch controlling a driving of the motor by a user's operation; It is composed of a first limit switch operated by the protrusion of the rotating body and cooperating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operating the rods for handing the sheet music by the cooperation of the sector gears and the main gear of the rotating body is very simple and compact, so that it can be easily placed and used on the existing music stand, and is easily carried. And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limit switch, which is operated by the mechanical mechanism of the rotating body,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thereby smooth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regardless of the timing of the push switch operation by the player. It can be effective.

Description

자동악보장치{AUTOMATIC MUSIC PAGE TURNER}Automatic Sheet Music Equipment {AUTOMATIC MUSIC PAGE TURNER}

본 고안은 악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악보를 한장씩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자동악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sc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turn the sheet music one by one.

일반적으로 여러 페이지의 악보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주곡을 연주자가 오랜시간동안 악기를 연주하는 경우 연주자는 악보를 악보대에 올려놓고 손으로 악보를 한 장씩 넘기면서 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직접 악보를 넘기면서 연주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악보를 넘기기 위하여 연주를 잠시 중단해야 하므로, 연주에 많은 지장이 있다. 이에 따라, 악보를 자동으로 넘겨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악보대가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when a player plays a musical instrument for a long time consisting of several pages of sheet music, the player plays the musical instrument by placing the sheet music on the score table and handing the sheet music one by one. In this way, it is not onl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the player to play the score directly, but also has a lot of trouble in playing because the player must pause the performance to turn the score.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utomatic sheet music stand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automatically pass music scores.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8700호의 자동악보대를 살펴보면, 악보의 낱장마다 바의 선단에 있는 클립이 고정되어 있고, 바는 고정축의 기어롤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어롤러는 악보대의 좌우로 이동하는 가동판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은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n example, if you look at the automatic music stand of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88700, the clip at the tip of the bar is fixed to each sheet of sheet music, the bar is connected to the gear roller of the fixed shaft, the gear roller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usic stand 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gear of the movable plate. 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by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movable gear moun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이 기술의 자동악보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가동판이 좌우로 이동되면, 가동판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롤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기어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바가 좌우로 작동되면서 클립에 고정되어 있는 악보를 넘겨주고 있다.When the movable plate is moved left and right by driving the motor, the automatic music stand of this technology is fixed to the clip while the gear roller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movable plate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and the bar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gear roller. Handing over the sheet music.

그러나,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188700호의 자동악보대는 가동판이 악보대의 좌우로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가동판이 작동하는 공간이 크므로 전체 장치의 구성을 소형화하는데 제약을 받으며 악보대와 가동판을 일체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악보대 전체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악보장치가 악보대와 일체로 제작되므로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기존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수동악보대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utomatic music rest of the conventional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887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plat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usic stand, so the space for the movable plate is large is restricted in minim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and the music stand and the movable plate are integrated. Since it must be manufactured, the overall size of the music rest is significantly larger and the weight is heavier. 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music st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and cannot be applied to the manual music stand that is widely used in the past.

또한, 악보의 넘김동작은 연주자의 버튼 조작에 의한 모터의 온오프제어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모터의 온오프제어를 위한 콘트롤회로에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마이컴 등 고가의 전자회로부품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상당히 비싼 단점이 있다.Moreover,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is performed by the on / off control of the motor by the button manipulation of the player. The control circuit for the on-off control of the motor must be provided with expensive electronic circuit components such as a microcomputer that can control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ice is quite expensiv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수동악보대 또는 피아노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자동악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made of small size can be easily placed on the music stand of the existing manual music stand or piano can be used In addition, to provide a practical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보의 넘김동작을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연주자의 조작시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악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the turning operation of sheet music without regard to a player's operation time by a mechanical mechanism.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과; 기어열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섹터기어들과,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원통형 회전체와; 회전체의 섹터기어들과 각각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기어들과; 메인기어들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 악보가 끼워지는 복수의 막대들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푸시스위치와; 회전체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되고,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the housing;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gear train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 cylindrical rotating body provided to be rotatable by a gear train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tor gea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main gears provid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tor gears of the rotating body,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ods each connected to the main gears and having a sheet music fitted at an end thereof; A push switch controlling a driving of the motor by a user's operation; It is composed of a first limit switch operated by the protrusion of the rotating body and cooperating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가 악보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usic stan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parti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사용되는 모터의 작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circuit of a motor used in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정역회전의 전환에 사용되는 시소스위치의 관련구성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related configuration of the seesaw switch used for switch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in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7A to 7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usical sco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하우징 11: 받침대10: housing 11: pedestal

20: 모터 30: 기어열20: motor 30: gear train

40: 회전체 42: 구동기어40: rotating body 42: drive gear

43a∼43d: 섹터기어 44a∼44d, 45a∼45d: 돌출부43a to 43d: sector gears 44a to 44d, 45a to 45d: protrusions

50a∼50d: 메인기어 60a∼60d: 막대50a to 50d: main gear 60a to 60d: rod

70: 푸시스위치 73a,73b: 버튼70: push switch 73a, 73b: button

74∼76: 제1 내지 제3 접점 77: 전환스위치74 to 76: first to third contacts 77: changeover switch

80a,80b: 리미트스위치 81: 작동판80a, 80b: limit switch 81: operating plate

82∼84: 제1 내지 제3 접점 85: 롤러82 to 84: first to third contact 85: roller

90: 전원90: pow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와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4 and 7a to 7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musical sco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의 상측에 악보(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받침대(11)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11)의 상면에는 악보(1)의 후면 하측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1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전면 중앙에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측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은 기존의 수동악보대의 받침판(2) 또는 피아노 등의 악보받침판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을 갖는다. 받침판(2)의 상면에 하우징(10)을 올려놓고, 악보(1)의 후면 하측이 지지턱(12)에 지지되도록 받침대(11)에 올려놓으면, 악보(1)는 연주자가 보기 편하도록 악보대의 전면에 경사지게 지지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A narrow and long pedestal 11 is formed to place the sheet music 1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can support the lower back side of the sheet music 1. The support jaw 12 is formed. The through hole 13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housing 10, and the inclined surface 14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ddition, the housing 10 has a narrow and long shape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support plate 2 of a conventional manual music stand or a music support plate such as a piano. When the housing 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2 and the rear side of the sheet music 1 is placed on the base 11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heet music is supported by the support jaw 12, the sheet music 1 is placed on the music stand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see it. Is inclined to the front of the.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20)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20)의 구동력은 기어열(30)에 의하여 전달된다. 기어열(30)은 모터(20)의 모터축(21)에 장착되는 워엄기어(31)와, 워엄기어(3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제1 고정축(32)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중간기어들(33a,33b)과, 제1 중간기어(33b)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제2 고정축(34)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중간기어(3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축(32)과 제2 고정축(34)은 하우징(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2 to 3, a motor 20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0 is transmitted by the gear train 30. The gear train 30 is a worm gear 31 mounted on the motor shaft 21 of the motor 20 and a first intermediate gear mounted on the first fixed shaft 32 so as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worm gear 31. Field 33a, 33b and a second intermediate gear 35 mounted on the second fixed shaft 34 so as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intermediate gear 33b. The first fixed shaft 32 and the second fixed shaft 34 are fixedly mounted to the housing 10.

또한, 기어열(30)의 제2 중간기어(35)는 하우징(10)의 관통구멍(13)에 근접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40)를 회전시키며, 회전체(40)의 회전축(41)은 하우징 (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회전체(40)의 하측에 기어열(30)의 제2 중간기어(3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2)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복수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부분적으로 이가 형성된 섹터기어(43a∼43d)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42) 상부의 회전체(40)의 외면에는 섹터기어(43a∼43d)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의 돌출부(44a∼44d) 및 돌출부(45a∼45d)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단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4a∼44d)는 모터의 정회전과 모터의 정회전에 따른 악보의 넘김을 위하여 작용하며, 돌출부(45a∼45d)는 모터의 역회전에 따른 악보의 되넘김을 위하여 작용하는데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35 of the gear train 30 rotates the cylindrical rotary body 40 proximate to the through hole 13 of the housing 10, and the rotary shaft 41 of the rotary body 40. Is fixedly mounted to the housing 10. The drive gear 42 which engages with the 2nd intermediate gear 35 of the gear train 30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body 40 is formed, and the outer surface has four or partially toothed teeth in this embodiment. The sector gears 43a to 43d are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40 above the drive gear 42,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4a to 44d and the protrusions 45a to 45d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ector gears 43a to 43d. Each is formed in stages at equal intervals. The protrusions 44a to 44d act for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protrusions 45a to 45d are used for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du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회전체(40)의 섹터기어(43a∼43d)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의 메인기어(50a∼50d)를 구비한다. 메인기어(50a∼50d)는 하우징(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메인고정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술한 섹터기어(43a∼43d)는 메인기어(50a∼50d)가 대략 1/2회전할 수 있도록 이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기어(50a∼50d)의 사이에는 메인기어(50a∼50d)의 회전에 따른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52)가 각각 개재되어 있으며, 스페이서(52)는 메인고정축(51)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메인기어 (50a∼50d)의 일측에 악보(1)를 한장씩 넘겨줄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관통구멍 (13)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복수의 막대(60a∼60d)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막대(60a∼60d)의 끝단에는 악보(1)가 고정적으로 끼워지는 페이지홀더 (61a∼61d))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막대(60a∼60d)는 서로간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메인기어(50a∼50d)에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로의 작동시 경사면(14)에 의하여 하우징(10)과도 간섭되지 않는다.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gears 50a to 50d which are engaged with and rotated in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the sector gears 43a to 43d of the rotating body 40. The main gears 50a to 50d rotate about the main fixed shaft 51 fixedly mounted to the housing 10, and the sector gears 43a to 43d described above have about 1 of the main gears 50a to 50d. It is formed so that it can make 2 turns. Spacers 52 ar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gears 50a to 50d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due to rotation of the main gears 50a to 50d, and the spacers 52 are provided on the main fixed shaft 51. It is fixedly mounted. A plurality of elongated rods 60a to 60d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s 13 of the housing 1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gears 50a to 50d, respectively. At the ends of the rods 60a to 60d, page holders 61a to 61d to which the sheet music 1 is fixedly fitted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rods 60a to 60d are connected to the main gears 50a to 50d so as to exclud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housing 10 by the inclined surface 14 during left and right operation.

도 1과 도 6,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연주자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푸시스위치(70)를 구비한다. 푸시스위치(70)는 케이스(71)의 상측에 스프링(72)에 의하여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20)를 정회전시키고 역회전시키는 2개의 작동버튼(73a, 73b)을 구비하고 있다. 버튼(73a,73b)의 하측 각각에는 버튼(73a,73b)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1 접점(74)과, 제1 접점(7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제1 접점(74)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점(75)과 제3 접점(76)이 제공되어 있다.1 and 6, 7a to 7e, the automatic mus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sh switch 7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20 by a player or a user. The push switch 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71 so as to be biased by the spring 72 and has two operation buttons 73a and 73b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20. On the lower sides of the buttons 73a and 73b, the first contact 74 moves up and down by the manipulation of the buttons 73a and 73b, and the first contact 74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irst contact 74, respectively. A second contact 75 and a third contact 76 are provid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74 to output an on-off signal.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73a,73b)은 연주자의 발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으로 하나의 버튼(73a)은 악보(1)를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모터(20)를 정회전으로 구동시키며, 다른 하나의 버튼(73b)은 악보(1)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되넘길 수 있도록 모터(20)를 역회전으로 구동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buttons 73a and 73b are operated by the player's foot, and one button 73a drives the motor 20 in the forward rotation so as to sequentially turn the sheet music 1 to the left. The other button 73b drives the motor 20 in reverse rotation so as to sequentially turn the music sheet 1 to the right.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는 회전체(40)의 돌출부(44a∼44d;45a∼45d)에 의하여 각각 작동되며 푸시스위치(70)와 협동하여 모터(20)의 정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80a)와 제2 리미트스위치(80b)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80a,80b)는 회전체(40)의 돌출부(44a∼ 44d; 45a∼45d)와 직접 각각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작동판(81)과, 작동판 (81)과 연동하는 제1 접점(82)과, 제1 접점(8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점(83)과, 제1 접점(8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접점(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판(81)의 선단에는 회전체(40)의 외면과 돌출부(44a∼44d;45a∼45d)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롤러(85)가 장착되어 있다.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protrusions 44a to 44d; 45a to 45d of the rotating body 40, respectively, and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70 to control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motor 20. A switch 80a and a second limit switch 80b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80a and 80b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ojections 44a to 44d and 45a to 45d of the rotating body 40, respectively. 81, a first contact 82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plate 81, a second contact 83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82 to output an on-off signal, and a first contact 82 ) And a third contact point 84 that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d outputs an on-off signal. At the tip of the operating plate 81, a roller 85 which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projections 44a to 44d; 45a to 45d and rolls thereon is mounted.

또한, 도 5와 도 7a를 참조하면, 모터(20), 푸시스위치(70)의 제1 내지 제3 접점(74∼76),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80a,80b)의 제1 내지 제3 접점(82∼84)과 전원(90)은 전선(91)에 의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20)는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80a,80b)의 제1 접점(82)과 전원(90)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90)은 푸시스위치(70)의 제2 및 제3 접점(75, 76)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스위치(70)의 제2 및 제3 접점(75, 76)은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80a,80b)의 제2 및 제3 접점(83, 8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5 and 7A, the motor 20, the first to third contacts 74 to 76 of the push switch 70, and the first to second limit switches 80a and 80b of the motor 20, the push switches 70, and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80a and 80b. The third contacts 82 to 84 and the power source 90 are connected in circuit by the wire 91. The moto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82 and the power supply 90 of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80a and 80b, and the power supply 90 is the second and third of the push switch 70.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75 and 76, respectively. The second and third contacts 75 and 76 of the push switch 7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contacts 83 and 84 of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80a and 80b, respectively.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면, 버튼(73a)과 버튼(73b)에는 일체로 연장된 누름편(73a')과 누름편(7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73a,73b)은 누름편(73a')과 누름편(73b')을 개재하여 전환스위치의 일예로서 잘 알려진 시소스위치(77)와 접속되어 있다. 누름편(73a')과 누름편(73b')이 교대로 눌려짐에 따라 시소스위치(77)는, 도 5에서 실선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20)에 공급되는 전원(90)의 극성을 교대로 변경시킨다. 즉, 도 5의 시소스위치(77)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20)가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90)과 모터(20)가 연결되어 제1 리미트스위치(80a)가 작동하고, 모터(20)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이 변경되도록 전원(90)과 모터(20)가 연결되어 제2 리미트스위치(80b)가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소스위치를 예를 들었으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다른 전환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for rotating the motor forward and backwar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pressing piece 73a 'and the pressing piece 73b' which are integrally extended are formed on the button 73a and the button 73b, respectively. have. The buttons 73a and 73b are connected to a seesaw switch 77 which is well known as an example of the changeover switch via the pressing piece 73a 'and the pressing piece 73b'. As the pressing piece 73a 'and the pressing piece 73b' are alternately pressed, the seesaw switch 77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90 supplied to the motor 20, as indicated by the solid and dashed lines in FIG. Alternate the polarity. That is, when the motor 20 rotates forward by the action of the seesaw switch 77 of FIG. 5, the power supply 90 and the moto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operate the first limit switch 80a as shown by the solid line. When the motor 20 rotates in reverse, the power supply 90 and the motor 20 are connected so that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hang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so that the second limit switch 80b operates. .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eesaw switch is taken as an example, other changeover switches may be used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악보를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모터의 정회전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의 작용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for passing the sheet music in the forward direction.

도 2, 도 3과 도 7a를 함께 참조하면, 도 7a는 본 고안의 자동악보장치가 구동하지 않는 초기상태이다.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롤러(85)는 회전체(40)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제1 접점(82)과 제3 접점(84)은 온되어 있으나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과 제3 접점(76)이 오프되어 있고 또한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90)과 모터(20)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모터(20)에는 전원(90)이 공급되지 않아 모터(20)는 정지상태에 있다.2, 3 and 7A together, FIG. 7A i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riven. The roller 85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40.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82 and the third contact 84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are turned on. Although the first contact 74 and the third contact 76 of the push switch 70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ource 90 and the moto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5, The power supply 90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20 so that the motor 20 is in a stopped state.

다음으로, 도 3과 도 7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제1 접점(82)과 제3 접점(84)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주자가 발로 푸시스위치(70)의 버튼(73a)을 누르면,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이 하강하여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과 제3 접점(76)이 온되고 또한 버튼(73a)과 함께 누름편(73a')이 하강하여 도 6의 실선으로 도시한 시소스위치(77)를 누름으로써 스위칭 방향이 전환되어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90)과 모터(20)가 연결됨으로써, 전원(90)이 모터(20)에 공급되어 모터(20)가 구동한다.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모터(20)의 구동력은 기어열(30)에 의하여 회전체(40)의 구동기어(42)에 전달되며, 회전체(40)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체(40)의 최상측의 섹터기어(43a)에 최상측의 메인기어(50a)가 맞물려 회전되고, 메인기어(50a)의 회전에 따라 최상측의 막대(60a)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첫 번째 페이지의 악보(1)가 넘어가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 and FIG. 7B, the player kicks the button of the push switch 7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act point 82 and the third contact point 84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are turned on. When 73a is pressed, the first contact 74 of the push switch 70 is lowered so that the first contact 74 and the third contact 76 of the push switch 70 are turned on together with the button 73a. As the pressing piece 73a 'is lowered and the seesaw switch 77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6 is pressed, the switching direction is switched, and as shown in FIG. 5, the power supply 90 and the motor 20 are connected. The power source 90 is supplied to the motor 20 to drive the motor 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0 is transmitted to the drive gear 42 of the rotating body 40 by the gear train 30, and the rotating body 40 is centered on the rotating shaft 41. Is rotated. Accordingly, the uppermost main gear 50a is engaged with and rotated by the uppermost sector gear 43a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uppermost rod 60a moves from right to lef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50a. By rotating the music score (1) of the first page is turned over.

도 7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주자가 푸시스위치(70)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체(40)의 돌출부(44a)가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롤러(85)와 접촉되면,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과 제3 접점(76)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판(81)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제1 접점(82)과 제3 접점 (84)이 오프되고 제1 접점(82)과 제2 접점(83)이 온됨으로써 전원(90)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모터(90)의 구동이 정지되고, 막대(60a)의 작동에 의한 첫 번째 페이지의 악보(1)의 넘김동작이 완료되면 연주자는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계속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C, when the player 44 keeps pushing the push switch 70, when the protrusion 44a of the rotating body 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85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the push is performed. The first contact 82 and the third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late 81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act 74 and the third contact 76 of the switch 70 are turned on. The power source 90 is cut off by the contact 84 being turned off and the first contact 82 and the second contact 83 being turned on.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90 is stopped and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of the first page by the operation of the rod 60a is completed, the player continues to play while watching the sheet music of the next page.

도 7d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주자가 도 7c의 상태에서 푸시스위치(70)에서 발을 떼어 푸시스위치(70)의 버튼(73a)을 누르던 조작력을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라도 제거하면, 버튼(73a)은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며,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제1 접점(82)과 제2 접점(83)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과 제2 접점(75)이 온됨으로써, 전원(90)이 다시 모터(20)에 공급되어 모터(20)가 구동한다. 모터(2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체(40)가 회전되면, 회전체(40)는 다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7D, when the player removes the operation force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push switch 70 in the state of FIG. 7C and presses the button 73a of the push switch 70 at any time, the button ( 73a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2, and the push switch 70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is turned on while the first contact 82 and the second contact 83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contact 74 and the second contact 75 are turned on, the power supply 90 is supplied to the motor 20 again to drive the motor 20. When the rotor 4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20, the rotor 40 rotates again.

마지막으로, 도 7e를 참조하면, 회전체(40)가 회전하여 롤러(85)가 돌출부 (44a)를 통과하여 회전체(40)의 돌출부(44a)와 롤러(85)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회전체(40)의 외면에 접촉되면, 푸시스위치(70)의 제1 접점(74)과 제2 접점(75)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작동판(81)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이 때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제1 접점(82)과 제2 접점(83)이 오프되고 제1 접점(82)과 제3 접점(84)가 온됨으로써 전원(90)이 다시 차단되며, 이에 따라 모터(20)의 구동이 정지되어 두 번째 페이지를 넘기는 준비상태가 된다.Finally, referring to FIG. 7E, the rotating body 40 rotates so that the roller 85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44a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protrusion 44a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roller 85 is released.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entire 40 is in contact, the operating plate 81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is elastic when the first contact 74 and the second contact 75 of the push switch 70 are turned on. It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by deformation, and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int 82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83 of the first limit switch 80a are turned off, and the first contact point 82 and the third contact point 84 are turned on.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90 is cut off again, and thus the driving of the motor 20 is stopped, thereby preparing for turning over the second page.

두 번째 페이지의 악보를 넘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섹터기어(43a)의 아래에 위치하는 섹터기어(43b)와 이 섹터기어(43b)와 맞물려회전하는 메인기어(50b)와 이 메인기어(50b)에 연장되어 있는 막대(60b) 및 돌출부(44b)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한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하고 설명한 일련의 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으로써 두 번째 페이지의 악보가 넘겨지게 된다.When the sheet music of the second page is to be turned over, the sector gear 43b positioned below the sector gear 43a and the main gear 50b and the main gear 50b which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tor gear 43b are rot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elongated rod 60b and the protrusion 44b, the series of operations shown and described in Figs. 7A to 7E are sequentially executed, and the sheet music of the second page is turned over.

이와 같이 푸시스위치(70)와 제1 리미트스위치(80a)의 협동에 의하여 모터 (90)의 구동을 제어하고, 회전체(40)의 모든 섹터기어(43a∼43d)와 메인기어(50a∼ 50d)의 협동에 의하여 막대(60a∼60d)를 작동시킴으로써, 악보(1)의 넘김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ing of the motor 90 is controlled by the cooperation of the push switch 70 and the first limit switch 80a, and all the sector gears 43a to 43d and the main gears 50a to 50d of the rotating body 40 are controlled. By activating the rods 60a to 60d by the cooperative operation,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한편, 이상에서는 악보(1)의 좌측으로의 정방향 넘김동작만을 설명하였으나 우측으로의 역방향 되넘김동작은 악보(1)의 넘김동작과 반대방향으로 모터(20)를 구동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악보(1)를 역방향으로 되넘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시스위치(70)의 버튼(73b)을 누름으로써 달성된다. 버튼(73b)을 누름에 따라 누름편(73b')이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시소스위치(77)를 누름으로써 스위칭 방향이 전환되어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90)과 모터(20)가 연결됨으로써, 반대극성의 전원(90)이 모터(20)에 공급되어 모터(20)가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때에는 제2 리미트스위치(80b)가 복수의 돌출부(45a∼45d)와 협동하여 도 7a∼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가 작동하여 악보의 되넘김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악보(1)의 되넘김동작은 넘김동작과 방향만 반대일뿐 동작과정은 넘김동작과 동일하므로 악보의 되넘김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only the forward turning operation to the left side of the sheet music 1 has been described, the reverse flipping operation to the right side can be achieved by driving the moto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When the sheet music 1 is to be turned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achieved by pressing the button 73b of the push switch 70. As the button 73b is pressed, the switching direction is switched by pressing the seesaw switch 77 in which the pressing piece 73b 'is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so that the power supply 90 and the motor 20 are shown as dotted lines in FIG. ) Is connected, the power of the opposite polarity 90 is supplied to the motor 20 to drive the motor 20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7A to 7E, the second limit switch 80b cooperates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5a to 45d to operate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heet music is returned. Since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1 is the reverse of the turning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nly, the operation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the turning oper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sheet music is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악보장치에 의하면, 악보를 한장씩 넘겨주는 막대를 회전체의 섹터기어와 메인기어의 협동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악보대에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가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푸시스위치의 조작시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악보의 넘김동작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sheet mus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a rod that passes the sheet music one by one by the cooperation of the sector gear and the main gear of the rotating body is very simple and compactly manufactured, which is convenient for the existing music stand. It can be put on and used and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limit switch, which is operated by the mechanical mechanism of the rotating body,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thereby smooth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the turning of the sheet music, regardless of the timing of the push switch operation by the player. It can be effective.

Claims (4)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A mo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과;A gear train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상기 기어열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섹터기어들과,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원통형 회전체와;A cylindrical rotating body provided to be rotatable by the gear train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tor gea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회전체의 섹터기어들과 각각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기어들과;A plurality of main gears provid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ector gears of the rotating body; 상기 메인기어들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 악보가 끼워지는 복수의 막대들과;A plurality of rods each connected to the main gears and having a sheet music fitted at an end thereof;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푸시스위치와;A push switch controlling a driving of the motor by a user's operation;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기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And a first limit switch opera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first limit switch cooperating with the push switch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악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악보대에 올려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tand for placing a sheet music, the housing is an automatic sheet mus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laced on the music stan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스위치는 2개의 작동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기 푸시스위치와 협동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스위치의 작동버튼들과 협동하여 작동하는 전환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The moto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wo stages, and the push switch has two operation buttons, and is operated by the protrusions and cooperates with the push switch to drive the motor. And a second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the switch, the shift switch cooperating with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push switch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스위치는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2 푸시스위치와 연결되는 제1 접점 및 제3 접점과 상기 제1 접점과 제3 접점사이를 탄력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3접점과 접속하는 제2 접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악보장치.4. The first contact of claim 3, wherein the push switch elastically moves between a first contact point and a third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second push switch, and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third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for connecting with the third contact point.
KR2020000031414U 2000-11-10 2000-11-10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2002216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14U KR200221630Y1 (en) 2000-11-10 2000-11-10 Automatic music page t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14U KR200221630Y1 (en) 2000-11-10 2000-11-10 Automatic music page tu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630Y1 true KR200221630Y1 (en) 2001-04-16

Family

ID=7309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14U KR200221630Y1 (en) 2000-11-10 2000-11-10 Automatic music page t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63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49A (en) * 2001-03-31 2002-10-11 박지환 Automatic music page tur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49A (en) * 2001-03-31 2002-10-11 박지환 Automatic music page tur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5432C (en) Combined on/off and reversing switch and electric device therewith
JPH0877694A (en) Operating chip unit
EP1217496A3 (en) Manual input device which provides its control knob with plural modes of operation feeling, and car-mounted apparatus controller based thereon
JPH0341341U (en)
JPH07290373A (en) Electric stapler
KR200221630Y1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100199836B1 (en) A clamp drive unit of compact disc player
KR100284160B1 (en) Automatic bookshelf turning device
WO2002049858A1 (en) Apparatus for turning pages of book
KR200234965Y1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20020076949A (en) Automatic music page turner
KR20050090779A (en) Scroll key having a function select switch
KR200209652Y1 (en) Music stand that automatically turns the score
JP2003045287A (en) Switching device for automobile use
JPS62187094A (en) Automatic turn-over machine for books
KR200207054Y1 (en) A music-rack having device of turning the leaves of music book
GB2281904A (en) Page turner.
KR970009207B1 (en) Jog shuttle switch
KR100197840B1 (en) Zoom operating mechanism in camcoder
JP3636152B2 (en) Playback device
JPH0669996U (en) Keyboard drive for automatic performance
JPS6142272Y2 (en)
JP3853139B2 (en) Input device
JP3021339B2 (en) mouse
JP2724644B2 (en) Moving toy with performanc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