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835Y1 -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835Y1
KR200234835Y1 KR2020010005982U KR20010005982U KR200234835Y1 KR 200234835 Y1 KR200234835 Y1 KR 200234835Y1 KR 2020010005982 U KR2020010005982 U KR 2020010005982U KR 20010005982 U KR20010005982 U KR 20010005982U KR 200234835 Y1 KR200234835 Y1 KR 20023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교
Original Assignee
정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교 filed Critical 정영교
Priority to KR2020010005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835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기에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의 실재 송신 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전력제어 명령에 의한 송신 전력값과의 비교를 통해 송신전력 이득 조정기에 대한 전력 제어 명령의 양을 동적으로 가변 시켜 최적의 전력제어를 수행함으로 기지국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기지국 또는 제어국에 직접적으로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두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두어 기지국에서 측정한 송신 전력 및 송신 신호 파형을 모니터에 현시 시킴으로 기지국 내외에서 기지국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고안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 사이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송신 전력(transmission power)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코드 분활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폐루프 전력 제어 방식의 하나인 순방향 전력 제어 방식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송신 전력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한된 무선 주파수 밴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무선 영역(radio zone)에 얼마나 많은 채널 용량이 확보되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무선 영역에 보다 많은 채널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행해지고 있는 송신 전력 제어 방식은 개루프 전력 제어 방식과 폐루프 전력 제어 방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폐루프 전력 제어 방식은 다시 순방향 전력 제어 방식과 역방향 전력 제어 방식이 있다. 그리고 순방향 전력 제어 방식은 이동국에서 측정한 순방향 수신 전력량을 기지국으로 전송해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거나,기지국이 측정한 이동국의 역방향 링크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등 여러 방법이 알려져 있다.
현재 대부분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의 위치에 따른 원근(near-fa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역방향 전력 제어와 해당 기지국내의 송신 전력을 여러 이동국에 적절히 배분하여 사용하는 순방향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순방향 전력 제어는 기지국에 가까이 위치한 이동국에는 적은 량의 전력을, 기지국에서 멀리 위치한 이동국에는 많은 량의 전력을 할당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지국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 CDMA방식을 사용하는 IMT-2000 시스템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광대역의 비대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경우 특별히 순방향 링크에서 정교한 전력 제어가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식은 기지국의 실제 송신전력을 측정하지 않고 이동국에서 측정한 결과 혹은 기지국에서 측정한 이동국의 전력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교한 전력 제어가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각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증감시킬 때 기지국의 모뎀 장치에서 결정한 전력량이 실재로 IF 혹은 RF 출력단에서 송신되는 전력량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폐루프 전력 제어를 통해서 안정 상태를 이루도록 제어하는데, 안정 상태로 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기존의 기지국은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측정하지 않고, 기지국의 수신 전력만을 모뎀의 복조과정에서 측정하므로 기지국의 송신 링크 상태를 감시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의 실재 송신전력의 측정하여 최적의 송신 전력 제어를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전력의 세기와 송신 신호의 파형을 측정하여 기지국의 정상 동작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동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채널 카드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송신전력 검출기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6 및 도 7은 송신 전력 감시 장치의 다양한 접속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국 200: 기지국
300: 제어국 400: PSTN
500: 인터넷망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다수의 이동국, 상기 다수의 이동국과 무선 링크되는 다수의 기지국,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고 코아망에 접속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기지국의 RF 처리부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 상기 기지국의 ATM 라우터를 통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고, 상기 기지국의 모뎀 회로에서 명령되는 송신 전력의 총합을 수집하여 상기 검출된 송신 전력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 이득 조정기의 이득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는: 상기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IF 처리부; 상기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IF 신호 또는 IF 처리부에서 처리된 IF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출력하는 IF 신호 선택기; 상기 IF 신호 선택기(29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Q 디모듈레이션 및 A/D 변환하는 기저신호 처리부; 상기 기저신호 처리부에서 A/D 변환된 I, Q 신호를 이용해서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검출기 및; 상기 전력 검출기에서 측정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상기 기지국의 ATM 라우터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라우터 정합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로 상기 전력 검출기에서 측정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더넷 정합기를 더 포함하고,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에 접속하여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TM 라우터를 통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지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제어국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동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은 크게 이동국(100), 기지국(200),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400) 또는 인터넷망(Internet)(500)과 같은 코아망(core network)에 접속되는 제어국(500)으로 구성된다.
이동국(100)은 기지국(200)과 무선 채널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기지국(200)은 제어국(300)과 IMA(Inverse Multiplexing for ATM) 링크로 접속되어 데이터 및 음성 트래픽을 ATM 모드로 송수신 하게 된다. 하나의 제어국(300)은 여러 개의 기지국(200)을 관리하고, 소프트 핸드오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ATM 링크로 PSTN(400) 및 인터넷망(500)에 접속된다. 최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은 광대역 ISDN망과 연동이 되기 때문에 기지국(200)과 제어국(300) 및, 코아망(400, 500)은 ATM 방식으로 통신을 하게 된다. 때문에 기지국(200)과 제어국(300)은 E1 트렁크로 고속의 ATM 셀을 전송하여야 하므로 IMA 링크를 사용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RF 처리부(210), 복수개의 IF처리부(220), 복수개의 채널 카드(230), 복수개의 라우터 정합기(250), ATM 라우터(260), 다수개의 제어국 정합 장치(270),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 및, 송신전력 검출기(290)로 구성된다.
기지국(200)은 순방향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제어국(300)으로부터 이동국(100)으로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지국(200) 내부의 ATM 라우터(260)를 통해서 기지국(200) 내부의 라우터 정합 장치(250)를 경유하여 모뎀 회로가 내장된 채널 카드(230)로 전송한다. 채널 카드(230)에서 확산 처리된 신호는 IF 처리부(220)와 RF 처리부(210)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이동국(100)으로 전송된다.
역방향 링크에서 기지국(200)은 RF 처리부(210)와 IF 처리부(220)를 통해서 이동국(100)으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채널 카드(230)에서 역확산 및 복조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복원한 후 라우터 정합기(250)와 ATM 라우터(260) 및 제어국 정합기(270)를 통해서 제어국(30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는 기지국(200)의 무선자원인 채널 카드(230)를 관리하며 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채널 카드(23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채널 카드(230)는 I/Q 모듈레이터(231), D/A 변환기(232), 송신전력 이득조절기(233), FIR 필터(234), 신호 확산기(235), BPF 필터(236), 전압제어 증폭기(237), I/Q 디모듈레이터(238), A/D 변환기(239), 신호 역확산기(240)로 구성된다.
순방향 링크에서, 라우터 정합기(2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신호 확산기(235)를 거쳐서 CDMA 신호로 확산처리 된 후, FIR 필터(234)를 거친 후 송신전력 이득조절기(233)를 통해서 전력을 제어 받은 후 D/A 변환기(232)를 거친 후 I/Q 모듈레이터(231)를 거친 후 IF 처리부(220)로 전송된다. 송신전력 이득조절기(233)는 순방향 전력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이동국(100)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송신전력의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즉, 기지국(200)과 근접해 있는 이동국(100)에는 낮은 송신 전력을, 기지국(200)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이동국(100)에는 높은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역방향 링크에서, IF 처리부(220)로부터 수신된 확산된 신호는 BPF 필터(236)를 통해서 대역내 신호만이 선택되어지고, 전압제어 증폭기(237)를 통해 일정레벨의 신호로 유지된 후 I/Q 디모듈레이터(238)를 통한 후 A/D 변환기(239)를 거친 후, 신호 역확산기(240)를 거쳐 데이터로 복원된다. 그리고 라우터 정합기(250)로 전송된다.
도 4는 도 2의 송신전력 검출기(29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송신전력 검출기(290)는 IF 처리부(291), IF 신호 선택기(292), 기저신호 처리부(293), 전력 검출기(294), 라우터 정합기(295), 이더넷 정합기(296)로 구성된다.
송신전력 검출기(290)는 순방향 링크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IF 신호선택기(292)를 거친 후 기저신호 처리부(293)로 입력된다. 기저신호 처리부(293)는 채널 카드(230)에서와 같이 I/Q 디모듈레이션 기능과 A/D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검출기(294)는 A/D 변환된 I, Q 신호를 이용해서 전력을 측정하고, 샘플링을 통해 파형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송신 전력 검출기(290)에 의해 검출된 기지국 송신 전력 측정값은 라우터 정합기(295)를 통해 ATM 라우터(260)를 거쳐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로 전송된다.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는 매 호의 설정시마다 현재 기지국(200)에서 사용하고 있는 총 전력이 허용된 최대 전력값을 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후 허용 전력이 있는 경우 신규호에 대한 호 설정을 허용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제어 수순은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에 의해 수행되며, 순방향 링크의 전력 제어 에러 정정 방식에 대한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단계 S100에서 호 수락 절차를 시작한다. 먼저, 단계 S110에서 무선 링크의 현재 사용 전력을 표시하기 위한 전력 파라미터(Pct)를 초기화(Pct=0) 시킨다. 호 설정 요구가 발생되면, 단계 S120에서 호 설정 요구를 접수하고, 계속해서 단계 S130으로 진행하여 현재 해당 기지국내의 각 모뎀 회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력량과 해당 기지국이 허용하는 최대 전력을 비교하여 호 설정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현재 사용중인 전력량이 허용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이거나, 호 수락시 초기에 할당하는 전력량으로 인해 최대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라면 호 설정은 거절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는 단계 S140으로 진행되어 호 설정이 수락되며, 이어 단계 S150에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절차가 진행된다.
전력 관리 절차가 수행되면, 단계 S160에서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전력의 총량(Pct)에 수락된 호에 대한 초기 전력값(Pcti)을 더하여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값으로 전력 파라미터(Pct)를 재 설정한다. 이 단계에서 설정되는 전력 파라미터(Pct)는 실재 측정값은 아니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에서 관리하는 명령값이다. 이후, 채널 카드(230) 내의 송신전력 이득 조절기(233)에서 수행하는 순방향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되는 송신 전력량은 지속적으로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로 전송되어 입력된다.
계속해서, 단계 S170에서는 송신 전력 검출기(280)에서 측정된 실제 송신 전력량(Pmt)이 입력되면, 단계 S180에서 기지국제어 프로세서(280)는 이 값과 명령된 값과의 에러(Err)를 Err=Pmt-Pct와 같이 계산하여 얻는다. 이 계산된 에러값(Err)에 기초하여 단계 S190에서는 채널 카드(230)내의 송신전력 이득조정기(233)에서 제어하는 송신전력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실제 측정값보다 명령한 값이 큰 경우에는 전력제어 명령값의 크기를 더 작게 함으로써 전력제어 알고리즘의 에러를 동적으로 정교하게 제어함으로서 기지국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송신 전력 감시 장치의 다양한 접속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0)에 송신전력 검출기(290)로부터 측정된 송신 전력을 현시 시키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600a)가 ATM 라우터(260)에 접속된다. 또는 송신전력 검출기(390)에 IP번지를 할당하여, 송신 전력 감시 장치(600b)가 송신 전력 검출기(230) 내의 이더넷 정합 장치(296)와 인터넷망(5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는 기지국(200) 내의 각 모뎀 회로에서 사용하고 있는 총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게 된다. 송신전력 검출기(290)로부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80)로 입력된 기지국 송신 전력 측정값은 전력제어 알고리즘에 이용되기도 하며, 기지국(200)내의 ATM 라우터(260)에 접속된 측정 전력 감시 장치(600a)로 전송되어 측정값이 현시 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망(500)을 통해 송신전력 검출기(290)의 이더넷 정합기(296)에 접속된 경우에는 운용자가 인터넷망(500) 통해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전력 검출기(290)의 측정결과를 원격지에서 직접 관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0)의 송신전력 측정치는 ATM 라우터(260) 및 제어국 정합기(270)를 경유하여 제어국(300)으로 전송되므로 제어국(300)의 운용 관리 장치(미도시)에 송신 전력 감시 장치(600c)를 접속시켜 송신 전력 측정치를 현시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인터넷망(500)을 통해 제어국(300)에 접속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600d)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송신 전력 측정치를 현시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기지국(200) 내에서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운용자는 제어국(300)이 관장하는 모든 기지국(200)들의 무선 링크에 대한 송신 전력값에 대한 결과를 관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기지국(200)의 정상 동작 여부 및 각종 케이블의 이탈 여부, 모뎀 회로들, IF 및 RF 처리부들의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 수행시에 송신전력 이득 조정기에 대한 전력제어 명령의 양을 동적으로 정교하면서도 고속으로 가변시켜 최적의 전력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 수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기지국의 송신전력 및 송신신호 파형을 측정하여 기지국내부 또는 제어국에서 감시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해서 감시함으로써, 기지국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어, 기지국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케이블의 이탈장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다수의 이동국, 상기 다수의 이동국과 무선 링크되는 다수의 기지국,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고 코아망에 접속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RF 처리부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
    상기 기지국의 ATM 라우터를 통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고, 상기 기지국의 모뎀 회로에서 명령되는 송신 전력의 총합을 수집하여 상기 검출된 송신 전력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 이득 조정기의 이득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는:
    상기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IF 처리부;
    상기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IF 신호 또는 IF 처리부에서 처리된 IF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출력하는 IF 신호 선택기;
    상기 IF 신호 선택기(29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Q 디모듈레이션 및 A/D 변환하는 기저신호 처리부;
    상기 기저신호 처리부에서 A/D 변환된 I, Q 신호를 이용해서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검출기 및;
    상기 전력 검출기에서 측정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상기 기지국의 ATM 라우터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라우터 정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로 상기 전력 검출기에서 측정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더넷 정합기를 더 포함하고,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에 접속하여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TM 라우터를 통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송신 전력 측정값을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원격지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제어국에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전력 측정값을 제공받아 현시하는 송신 전력 감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2020010005982U 2001-03-06 2001-03-0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200234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82U KR200234835Y1 (ko) 2001-03-06 2001-03-0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82U KR200234835Y1 (ko) 2001-03-06 2001-03-0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563A Division KR20020071417A (ko) 2001-03-06 2001-03-0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835Y1 true KR200234835Y1 (ko) 2001-09-28

Family

ID=7309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82U KR200234835Y1 (ko) 2001-03-06 2001-03-0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8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8124C1 (ru) Способ имитации взаимных помех сигналов пользователей в сетях связи с расширенным спект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P1876725A2 (en) Transmit power control
KR100659754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파워 제어 방법 및 시스템
RU2281609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передачи
JP5389984B2 (ja) パイロット信号に基づく送信電力制御
US6272354B1 (en) Method for adjusting transmit power during call set-up, and a cellular radio system
JP3464452B2 (ja) 少なくとも2つの無線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を通してマイクロダイバーシティー接続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H11506583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端末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の装置および方法
US7929971B2 (en) Method for monitoring radio equip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ellular infrastructure with spectrum dispersion and arrangement for performing said method
JPH11506891A (ja) 送信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無線システム
WO2000038351A2 (en)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1309106B1 (en) Control of the data rate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based on power control information
JP200250255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レーム同期情報の装置および方法
EP1340339A2 (en) Adaptive transmission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sm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s
JPH11506585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情報を伝送し受信する装置および方法
AU712633B2 (en) A method for selecting the way to perform a handover, and a cellular radio system
CA2374864C (en) A method for initiating in a terminal of a cellular network the measurement of power levels of signals and a terminal
JPWO2002103948A1 (ja) 光通信システム
JP2001177862A (ja) 移動局において測定モードに移行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234835Y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2002007141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20066590A (ko) 역방향 링크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EP0999657B1 (en) CDMA transmission power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call disconnection and degradation of capacity of subscribers
KR100794978B1 (ko) 부호화된 복합 트랜스포트 채널을 지원하는 상이한 물리 채널들의 신호 대 간섭비의 등화
KR20020006052A (ko) 파워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