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83Y1 - 스탠드형 확대경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83Y1
KR200234083Y1 KR2020010008412U KR20010008412U KR200234083Y1 KR 200234083 Y1 KR200234083 Y1 KR 200234083Y1 KR 2020010008412 U KR2020010008412 U KR 2020010008412U KR 20010008412 U KR20010008412 U KR 20010008412U KR 200234083 Y1 KR200234083 Y1 KR 200234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magnifying glass
st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수
Original Assignee
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수 filed Critical 정기수
Priority to KR2020010008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83Y1/ko
Priority to US10/000,436 priority patent/US6621646B2/en
Priority to JP2001328681A priority patent/JP2002148527A/ja
Priority to CN01134232A priority patent/CN1351271A/zh

Links

Landscapes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서관이나 관공서등의 민원실 등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해 책상위에 배치하는 스탠드형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렌즈부(11)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12)와, 그 지지부(12)를 하단에서 고정유지시키며 책상 위에 배치되는 받침대(13)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13)는 책이나 서류들을 충분히 올려 놓을 수 있는 면적을 갖고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경사진 받침판(14)과 그 받침판을 경사지게 유지하도록 받침판의 측면 및 상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15)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고개를 덜 숙이고도 확대경을 통해 받침판 위에 놓인 책이나 서류를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피로를 줄이고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탠드형 확대경{MAGNIFYING GLASS OF STAND TYPE}
본 고안은 도서관이나 연구실 및 관공서등의 민원실 등에서 사용되는 스탠드형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경사구조의 받침대가 부착되어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개선된 스탠드형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의 민원실이나 도서관등에서 시력이 좋지 않은 방문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책상에 돋보기 안경을 비치하고 있는데, 각자 다른 시력을 갖는 사용자를 위해서는 매우 많은 안경들을 필요로 하지만 대략적으로 40대에서 70대까지 연령별로 사용할 수 있는 안경들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력에 일치하지 않아 오히려 사용자의 시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공중 위생상 사용을 꺼리는 사람도 있다.
이와 같이 민원실 또는 도서관에 안경을 구비함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여러 사람들이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필요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력에 맞게 높이 조정가능한 스탠드형 안경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개발한 도 1의 스탠드형 확대경(1)은 받침대(2) 위에 고정된 볼 수납부(3)에 하단이 볼 조인트된 하우징(4)속에서 슬라이드부재(5)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고, 복수개의 이격된 체결공(6)들이 하우징과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되고 나사가 형성된 고정구(7)를 하우징과 슬라이드부재의 체결공들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부재(5)를 하우징(4)에 대하여 위치고정시키도록 되고, 슬라이드부재(5)의 상단에는 볼록 렌즈(8)를 고정한 테(9)가 힌지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탠드형 확대경은 그 높이 및 각도 조정가능함으로써 자신의 시력에 맞게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직접 착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개선되기는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민원실이나, 특히 도서관에서 장시간 책을 보거나 서류를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렌즈와 책상 바로 직상방에 눈을 두고 보아야함에 따라 고개를 신체에서 거의 직각에 가까울 정도로 구부린 자세로장시간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눈과 목 부위를 쉽게 피로하게 하며, 특히 확대경이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체적으로 매우 약화되어 있어서 목디스크 발생의 위험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개발한 종래의 스탠드형 확대경에서 사용자가 목을 덜 굽히도록 하여 자세 안정성과 피로를 줄일 수 있게 책이나 서류를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된 받침대를 갖는 개선된 구조의 스탠드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탠드형 확대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확대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 스탠드형 확대경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2의 스탠드형 확대경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확대경이 다른 위치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탠드형 확대경 11 : 렌즈부
12 : 지지부 13 : 받침대
14 : 받침판 15 : 수직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탠드형 확대경은 렌즈부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그 지지부를 하단에서 고정유지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볼 책이나 서류들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과 그 받침판을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받침판의 측면 및 상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확대경(10)은 도 2의 사시도와, 도 3의 사용상태도 및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책이나 서류들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렌즈부(11)가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12)의 하단이 민원실 책상등에 배치되어 확대경 전체를 지지하는 받침대(13)에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받침대(13)는 도 3의 종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확대경을 이용하여 볼 책이나 작성할 서류들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의 받침판(14)과, 그 받침판의 양측면 및 상단에는 수직부재(15)가 하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받침판(14)는 수직부재(15)에 의해 상단이 상승되어 경사지게 되며, 그 수직부재의 높이는 받침판의 경사도가 10도에서 25도 사이의 범위에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도서관이나 관공서의 민원실 등에서 경사진 받침판(14) 위에 책이나 서류를 올려 놓으면 사용자는 허리나 고개를 심하게 굽히지 않고 고개를 약 20도 내지 30도 정도만 굽히면 확대경을 통해 책이나 서류를 충분히 볼 수 있게 되므로, 확대경을 사용하는 대부분이 노년층인 사용자의 신체적 피로 및 부상의 위험이 없게 된다.
상기 지지부(12)와 렌즈부(11) 사이에는 렌즈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16)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렌즈부는 지지부에서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받침판 위에 놓인 책의 어떤 부분이라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는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서로 볼 조인트로 측방으로 각도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에 확대경을 부착하는 위치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위치와 달리 경사진 받침판의 중간에 고정될 수도 있고(도 5 참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사판의 상승된 상단 일측 모서리에 고정될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렌즈부(11)가 상단에 연결된 지지부(12)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받침대(13)의 받침판(14)을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그 위에 확대경을 통해 볼 책이나 서류를 올려놓게 되어, 사용자는 고개를 덜 숙이고 볼 수 있게 되어 종래 고개를 많이 숙여서 보아야 함에 따른 목디스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업무를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업무 능률 또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렌즈부(11)를 일정 높이로, 회전자재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12)와, 그 지지부(12)를 하단에서 고정유지시키며 책상 위에 배치되는 받침대(13)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13)는 책이나 서류들을 충분히 올려 놓을 수 있는 면적을 갖고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경사진 받침판(14)과 그 받침판을 경사지게 유지하도록 받침판의 측면 및 상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수직부재(15)로 구성되는 스탠드형 확대경.
KR2020010008412U 2000-10-26 2001-03-27 스탠드형 확대경 KR200234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12U KR200234083Y1 (ko) 2001-03-27 2001-03-27 스탠드형 확대경
US10/000,436 US6621646B2 (en) 2000-10-26 2001-10-24 Adjustable table magnifier
JP2001328681A JP2002148527A (ja) 2000-10-26 2001-10-26 スタンド型拡大鏡
CN01134232A CN1351271A (zh) 2000-10-26 2001-10-26 可调台式放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12U KR200234083Y1 (ko) 2001-03-27 2001-03-27 스탠드형 확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83Y1 true KR200234083Y1 (ko) 2001-10-18

Family

ID=7309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12U KR200234083Y1 (ko) 2000-10-26 2001-03-27 스탠드형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118A (ko) 2021-10-21 2023-04-28 한국전력공사 문서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118A (ko) 2021-10-21 2023-04-28 한국전력공사 문서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7894B1 (en) Adjustable magnif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video or computer screens
US5058848A (en) Reading material holder
US7688527B1 (en) Inclined reading magnification stand
EP0580673A1 (en) Vision saver for computer monitor
KR200295459Y1 (ko) 확대경 부착 독서대
US5900997A (en) Headrest apparatus for forward viewing from face down position
KR200234083Y1 (ko) 스탠드형 확대경
CN210376896U (zh) 一种平视书写阅读工具
US20050184211A1 (en) Holder for reading material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US20060098312A1 (en) Optical device
CN221075844U (zh) 多功能支架
KR200298136Y1 (ko) 배받이 의자
KR20090107594A (ko)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 장치 및 컴퓨터 책상
CN215375937U (zh) 可调视角的老年放大阅读器
KR200245491Y1 (ko) 필기대 겸용 독서대
CN218099806U (zh) 一种夹持式桌面防近视阅读放大仪
CN219016725U (zh) 一种具有双联动支撑臂机构的防近视阅读仪
CN210831106U (zh) 可调节高度的笔记本支架
KR102444365B1 (ko) 상판의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책상
CN213876149U (zh) 一种活动灵活的放大装置
JP6511592B1 (ja) 書見器
CN203564387U (zh) 双镜防近视镜台
KR200228637Y1 (ko) 탈·부착 가능한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