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997Y1 -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997Y1
KR200233997Y1 KR2020010005600U KR20010005600U KR200233997Y1 KR 200233997 Y1 KR200233997 Y1 KR 200233997Y1 KR 2020010005600 U KR2020010005600 U KR 2020010005600U KR 20010005600 U KR20010005600 U KR 20010005600U KR 200233997 Y1 KR200233997 Y1 KR 200233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aling
frame
sealing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
유승선
소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10005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997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문의 상하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 측면부에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를 설치하고, 이를 회동시켜 창문틀의 레일 측면과 창문 레일홈 측면의 상호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폐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는, 창문틀(420)의 레일(R) 양측면(RS)에 대향하는 창문 상하 레일홈(G)의 각 두 대향면(CS)을 따라 전 길이에 걸쳐 요입 형성된 밀봉바 삽입홈(G')과, 창문의 양 측면 프레임 측벽(411A)을 관통하여 측면 프레임 측벽(411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각 밀봉바 삽입홈(G')에 삽입되는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21)와, 창문의 일측면 프레임(411)내에서 참문 감금구(L)의 축에 중앙부가 고정결합되는 중앙회동편(22C)과, 일측단부가 상기 중앙회동편(22C)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밀봉바(21)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앙회동편(22C)의 회동에 연동하여 밀봉바(21)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4개의 연결대(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봉바(21)는 타원형 내지는 캠형 단면 형상을 하며 회동축(21B)은 밀봉재바(21A)의 대경부측 중앙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밀폐 구조는 선택적으로 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밀폐 구조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이 창문의 움직임에 의한 마모나 손상이 최소화되어 그 수명이 연장될 뿐 아니라, 창문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며, 창문틀과 창문의 상호 움직임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한 창문의 떨림과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window and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창문틀의레일 측면과 인접한 창문의 상하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홈 측면부에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를 설치하고, 이를 회동시켜 창문틀의 레일 측면과 창문 레일홈 측면의 상호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폐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자연환경과 실내환경을 격리시켜 주고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로로서의 역할과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이나, 창호를 통한 열 손실과 열 흡수는 단열벽체에 비하여 십여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바, 이는 냉난방비 증가 요인이 되어 건축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절감을 위해서는 반드시 창호를 통한 열 손실과 열 흡수를 최소화 하여야 함과 동시에 창호를 통한 외부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의 단열 성능을 높이고자 저방사 코팅 유리, 저방사 필름 삽입 유리, 가스 봉입 유리, 진공창, 투과율 조절 유리, 투명 단열재료 주입 유리, 다층 유리 등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유리 부분의 개발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으나, 대체적으로 특수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특별한 제조 기술이 필요하게 되고 유리의 가격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보편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창호의 단열 성능을 위하여 개발된 유리를 고정식 창호에 사용할 경우에는 단열과 소음 차단에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개폐형 창호에 사용할 경우에는 창문틀과 창문,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인하여 상기 효과가 상당히 반감된다.
창호는 보통 미닫이형과 여닫이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창문의 일측부가 회전은 하나 그 축이 고정되는 여닫이형 창호의 경우에는 창문틀과 창문의 밀봉이 비교적 수월하나, 국내에서 선호되고 있는 미닫이형 창호의 경우는 창문틀 내에서 창문이 좌우 또는 상하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창문틀과 창문,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 사이의 겹침부에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틈새의 밀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미닫이형 창문에 대한 밀폐는 보편적으로, 창문틀과 창문 내지는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거나 접하게 되는 부위의 치수 정밀도를 높여 창문틀과 창문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상호 겹침부의 틈새면에 직물 등으로 제조된 밀봉부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종래 창호를 구성하는 창문과 창문틀의 밀폐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는 창문(11)의 슬라이딩을 유도하기 위한 레일(R)이 구비된 창문틀(12)에 상기 레일(R)을 따라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하부 레일홈(G)에 휠(11A)이 구비된 창문(11)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구조로서, 창문틀(12)의 상하 레일(R)을 따라 움직이는 창문(11)의 상하 레일홈(G)의 양 측면, 즉 상호 대향면에는 직물 등으로 제조된 밀봉부재를(S) 부착하여 창문틀(12)과 창문(1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밀봉부재는 창문틀과 창문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할 뿐 아니라, 창문과 창문틀이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봉재 표면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그 밀폐 효과는 더욱 떨어지게 되고, 손상된 밀봉부재가 레일홈 외부로 드러나기도 하는 등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미닫이형 창호의 창문틀과 창문의 종래 밀폐 구조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동식 밀봉부재를 창문에 부착하여 창문과 창문틀 사이의 틈새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밀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밀봉부재와 창문틀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사용에 따른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창문 폐기시까지 사용 가능하며, 상기 밀봉부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창문의 미관을 저해하지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창문과 창문틀의 밀봉 형태를 보인 종래 창호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밀봉바와 결합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밀봉바와 결합구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 밀봉바의 작동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410. 창문 12,420. 창문틀
21. 밀봉바 22. 결합구
411. 측면 프레임 412. 상하프레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와 밀봉바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는, 창문의 상하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레일홈의 두 대향면 또는 일측면에 캠과 같은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를 설치하고, 상하 한 쌍 내지는 두 쌍의 상기 밀봉바 회동축을 동시에 회동시켜 상기 밀봉바가 창호문틀 레일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창문틀과 창문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창문틀과 창문의 밀폐 구조를 구성하는 상하 밀봉바의 회동 움직임은, 종래 창문의 회전식 감금구에 상기 밀봉바의 중심축을 링크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에 대한 상기 기술적 구성과 구체적인 작용 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밀봉바의 분해 사시도를, 도 3에 밀봉바의 개략적인 부분 조립도를, 도 4에 밀봉바의 작동 개념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과 창문의 밀폐 구조는 창문틀(420)과 창문(410)의 밀봉에 관계하는 밀봉바(21)와 밀봉바의 연결과 작동을 위한 결합구(22)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바(21)는 창문 레일홈(G)의 두 대향면(CS)에 창문틀(420)의 레일(R)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밀봉바 삽입홈(G')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동축(21B) 삽입공이 형성되고 회동축(21B)을 중심으로 회동시 편심되도록 비원형의 타원형 내지는 캠형 단면 형상을 하며 중공이 있는 비원형 단면의 탄성재질 밀봉재바(21A)와, 밀봉재바(21A)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밀봉재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21B)과, 회동축(21B)의 양단부가 관통하는 창문의 양 측면 프레임 일측벽(411A)에 대한 원활한 회동과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 양 단부에 끼워지는 부쉬(21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21B)과 밀봉재바(21A)의 상호 슬립 방지를 위하여 회동축의 단면은 비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구(22)는 창문(400)의 상하 프레임(412)에 설치되는 각 밀봉바(21)를 연결하고 동작시키기 위하여 창문(400)의 일측 측면 프레임(4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단부에 밀봉바 회동축(21B)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I)과 타측단부에 중앙회동편(22C)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C')이 형성된 연결회동편(22A)과, 연결 회동편의 연결공(C')과 중앙회동편의 외측연결공(C)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회동편(22C)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연결회동편(22A)을 통하여 중앙회동편(22C)의 움직임을 상기 밀봉바(21)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대(22B)와, 회동 중심이 되며 창문 잠금구의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D) 및 연결대(22B)에 의하여 상하 연결회동편(22A)의 연결공(C')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외측연결공(C)이 양단부측에 형성된 중앙회동편(22C)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창호문틀과 창호문의 밀봉 구조가 동작되는 방법을 도 4의 작동 개념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창호(400)는 창문(410)의 움직임을 위한 레일(R)이 구비된 창문틀(420)과 창문(410)으로 구성되고, 이 창문(410)은 상하 프레임(412) 및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1)으로 구성되는 창틀과 창틀에 끼워지는 유리(도면 미도시)로 구성되는 데, 상기 상하 프레임(412)에는 창문틀에 구비된 레일(R) 위를 따라 창문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ㄷ'자형의 레일홈(G)과 레일홈 저면(상 프레임의 경우) 내지는 상면(하 프레임의 경우)에 휠(W)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창문에서 본 고안의 밀봉 구조를 구성하는 밀봉바(21)는, 상하 프레임 레일홈(G)의 두 대향면(CS)에 형성된 밀봉바 삽입홈(G')에 삽입되고, 결합구(22)는 일측 측면 프레임(411)의 중공을 따라 설치되어 중앙회동편의 결합공(D)을 통하여 창문의 회전식 잠금구(L)의 축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창문의 잠금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중앙회동편(22C)이 결합공(D)을 중심으로 양 단부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 상하 움직임은 연결대(22B)를 통하여 연결회동편(22A)의 일측 단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연결회동편의 삽입공(I)에 밀착 삽입된 회동축이 동작하게 되고, 회동축(21B)의 외주면에 끼워진 밀봉재바(21A)가 작동하여 창문틀 레일(R)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창문과 창문틀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밀폐 구조는 창문을 닫았을 때에만 작용이 이루어지는 밀폐 구조이기 때문에 밀폐 구조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이 창문의 움직임에 의한 마모나 손상이 최소화되어 그 수명이 연장될 뿐 아니라, 창문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직물 등의 밀봉재에 비하여 창문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소음 차단과 단열 효과가 향상되고, 창문틀과 창문의 상호 움직임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한 창문의 떨림과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창문틀에 구비된 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미닫이 창문과 창문틀의 밀폐 구조에 있어서, 창문틀(420)의 레일(R) 양측면(RS)에 대향하는 창문 상하 레일홈(G)의 각 두 대향면(CS)을 따라 전 길이에 걸쳐 요입 형성된 밀봉바 삽입홈(G')과, 창문의 양 측면 프레임 측벽(411A)을 관통하여 측면 프레임 측벽(411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각 밀봉바 삽입홈(G')에 삽입되는 비원형 단면의 밀봉바(21)와, 창문의 일측면 프레임(411)내에서 참문 감금구(L)의 축에 중앙부가 고정결합되는 중앙회동편(22C)과, 일측단부가 상기 중앙회동편(22C)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밀봉바(21)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앙회동편(22C)의 회동에 연동하여 밀봉바(21)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4개의 연결대(22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바(21)는 타원형 내지는 캠형 단면 형상을 하며 회동축(21B)은 밀봉재바(21A)의 대경부측 중앙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바(21A)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바(21)와 연결대(22B)의 결합은 밀봉바(21)의 회동축(21B)이 연결회동편(22A)의 일측에 고정되고, 연결대(22B)의 일측단부가 연결회동편(22A)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KR2020010005600U 2001-03-02 2001-03-02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KR200233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00U KR200233997Y1 (ko) 2001-03-02 2001-03-02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00U KR200233997Y1 (ko) 2001-03-02 2001-03-02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997Y1 true KR200233997Y1 (ko) 2001-09-28

Family

ID=7309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600U KR200233997Y1 (ko) 2001-03-02 2001-03-02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9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31B1 (ko) 2012-05-22 2014-02-07 박덕교 창호용 프레임의 바람막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31B1 (ko) 2012-05-22 2014-02-07 박덕교 창호용 프레임의 바람막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446A (en) Window with openable casement
CN104508227B (zh) 隔热窗组件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28011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0717370B1 (ko) 공동주택의 회전형 창문
KR200233997Y1 (ko) 창호 상하부의 밀폐 구조
KR100291238B1 (ko) 2방향개폐가 가능한 회전창문
KR200392300Y1 (ko) 환기창용 루버유닛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EP3498963B1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CN205558667U (zh) 节能推拉式门窗扇
TW202026514A (zh) 包含與一固定框齊平之一無框滑窗的窗戶及總成
KR200281176Y1 (ko)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20000020483U (ko) 환기창의 루버 밀폐장치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KR19990034587U (ko) 창문
KR200402489Y1 (ko) 여닫이 겸용 미닫이 창문
CN218150457U (zh)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CN214062728U (zh) 一种整体圆型中转轴窗结构
KR200312126Y1 (ko) 전후수평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 창
CN220059310U (zh) 一种气密性移门窗
JPH10331526A (ja) 引違い窓
CN210768405U (zh) 一种新型推拉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