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783Y1 -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 Google Patents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783Y1
KR200233783Y1 KR2020010005902U KR20010005902U KR200233783Y1 KR 200233783 Y1 KR200233783 Y1 KR 200233783Y1 KR 2020010005902 U KR2020010005902 U KR 2020010005902U KR 20010005902 U KR20010005902 U KR 20010005902U KR 200233783 Y1 KR200233783 Y1 KR 200233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ticker
trademark
umbrell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성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Priority to KR2020010005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783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또는 양산)에 사용되는 버튼의 상표스티커를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버튼은 표면에 상표스티커를 부착하고 그 위에 에폭시수지를 얇게 덮어놓은 것으로 전체적으로 조잡해 보이면서 품위와 가치가 없어 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상표스티커가 훼손되거나 잘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버튼(1)을 구성함에 있어서 버튼(1)을 사출성형시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면서 표면부(2)로부터 이격된 중간정도의 위치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공간부(3)를 구성한 후, 공간부(3)의 바닥면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하고 그 위의 나머지 공간부(3)에 투명한 재질의 에폭시수지(4)를 채워넣어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버튼의 상표스티커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와 스티커가 깊숙한 곳에서 입체적으로 보이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 버튼이 매우 품격적이고 가치 있게 보이므로 전체적으로 우산의 가치를 드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우산 손잡이용 버튼의 구조{A structure of an umbrella grip button}
본 고안은 우산(또는 양산)에 사용되는 버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통상 버튼의 표면부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문자나 로고 등의 상표 표시를 좀더 품위 있고 보기 좋게 구성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산 하단부의 손잡이에는 버튼에 구성되어 있어서, 우산을 펼칠 때 버튼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으며, 자동우산의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우산을 완전히 펼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의 버튼을 잘 살펴보면, 버튼의 표면부에 문자나 로고 등으로 된 제조자의 상표를 부착함으로써 우산의 출처를 밝히면서 브랜드 홍보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도 1을 통해 잠시 살펴보면, 버튼(1')의 표면에 약간의 요부(2')를 구성한 후 그 내부에 상표가 인쇄된 상표스티커(5')를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는 요부(2')를 덮도록 투명한 에폭시수지(4')를 채워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튼(1')구성은 기본 버튼(1')의 소재위에 상표스티커(5')를 부착하고 그 위에 에폭시수지(4')를 얇게 덮어놓은 것을 누구나 한눈에 확연히 드러나서 전체적으로 조잡해 보이면서 품위와 가치가 없어 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표면에 얇게 구성한 에폭시수지가 버튼 본체로부터 잘 분리되므로 에폭시수지와 본체 사이에 약간의 틈새만 생겨도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상표스티커가 훼손되기도 하며, 충격이나 시간의 흐름에 의해 에폭시수지가 잘 떨어져 나가므로 오래 사용치 않아 상표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우상 버튼의 상표를 표시하는 구성을 함에 있어서 상표가 절대로 떨어져 나가거나 훼손되는 일이 없고 특히, 상표의 표시가 매우 품위 있고 가치 있게 보이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버튼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우산손잡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버튼의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버튼
2: 표면부
3: 공간부
4: 에폭시
5: 상표스티커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버튼(1)을 구성함에 있어서 버튼(1)을 사출성형시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면서 표면부(2)로부터 이격된 중간정도의 위치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공간부(3)를 구성한 후, 공간부(3)의 바닥면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하고 그 위의 나머지 공간부(3)에 투명한 재질의 에폭시수지(4)를 채워넣어 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면부의 일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부분에 사출성형시의 금형에 부식 처리를 하여 그러한 부분이 불투명 혹은 반투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 부분을 통해서만 내부의 상표가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더욱 보기 좋고 품위 있음은 물론, 상표에 시선을 더욱 집중되게 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인식도를 더욱 높일 수가 있을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10은 우산의 지주, 11은 우산손잡이 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버튼(1)은 상표스티커(5)부터 버튼(1)의 표면부(2)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두꺼운 유리를 통하여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 같이 깊숙한 곳에서 상표의 내용이 보이게 되므로 버튼 표면과 상표스티커 사이에 폭이 넓은 공간을 느낄 수 있는 등 버튼(1) 자체가 매우 입체감이 있어 보이면서 고급스럽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우산의 버튼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우산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술분야인 양산의 버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우산의 버튼을 구성함에 있어서, 버튼의 중간부분에 공간부를 구성한 후 그 내부에 상표스티커를 삽입하고 나머지의 공간에 에폭시수지를 채워 구성함으로써, 버튼의 상표스티커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와 스티커가 깊숙한 곳에서 입체적으로 보이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 버튼이 매우 품격적이고 가치 있게 보이므로 전체적으로 우산의 가치를 드높일 수 있는 효과가 되므로 우산 산업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버튼(1)을 사출성형시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면서 표면부(2)로부터 이격된 중간정도의 위치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공간부(3)를 구성한 후, 공간부(3)의 바닥면에 상표스티커(5)를 삽입하고 그 위의 나머지 공간부(3)에 투명한 재질의 에폭시수지(4)를 채워넣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사출성형시 표면부의 일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부분에 사출성형시의 금형에 부식 처리를 하여 그러한 부분이 불투명 혹은 반투명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KR2020010005902U 2001-03-06 2001-03-06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KR200233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02U KR200233783Y1 (ko) 2001-03-06 2001-03-06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02U KR200233783Y1 (ko) 2001-03-06 2001-03-06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783Y1 true KR200233783Y1 (ko) 2001-09-26

Family

ID=7306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02U KR200233783Y1 (ko) 2001-03-06 2001-03-06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7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4066B (zh) 生产具有附着物体的瓶的方法以及由此生产的瓶
US8947983B2 (en) Dial for a timepiece
US6986166B2 (en) Cap
US20030084595A1 (en) Shoe and method for showing indicia
KR200233783Y1 (ko) 우산손잡이용 버튼의 구조
USD479278S1 (en) Multiple pocket label holder
CN202548545U (zh) 一种电子手表
KR100602624B1 (ko) 지퍼 손잡이
KR200382813Y1 (ko) 타임캡슐도장
KR100647200B1 (ko) 인장 장식부를 갖는 장식재 및 이를 활용한 액자
WO2006103496A1 (en)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KR200307075Y1 (ko) 탈착식 꽃병
KR200346104Y1 (ko) 의류용 단추
KR200324641Y1 (ko) 자물쇠 케이스
KR200210076Y1 (ko)
KR200187523Y1 (ko) 우산 손잡이
KR200279706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80353Y1 (ko) 라벨
KR19980016943U (ko) 판촉용 오프너
KR200275914Y1 (ko) 축광 안료 합성수지를 이용한 차량용품의 심볼 표현부
KR200334714Y1 (ko) 편지 보관용 캡슐장치
US20060057931A1 (en) Inflatable ornament
KR200203647Y1 (ko) 마블제 오프너
KR200366940Y1 (ko)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US6988699B2 (en) Sheet member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