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47Y1 - 마블제 오프너 - Google Patents

마블제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47Y1
KR200203647Y1 KR2020000018147U KR20000018147U KR200203647Y1 KR 200203647 Y1 KR200203647 Y1 KR 200203647Y1 KR 2020000018147 U KR2020000018147 U KR 2020000018147U KR 20000018147 U KR20000018147 U KR 20000018147U KR 200203647 Y1 KR200203647 Y1 KR 200203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marble
recess
presen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호
Original Assignee
정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호 filed Critical 정길호
Priority to KR2020000018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Abstract

본 고안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사용성과 기능이 우수한 마블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요철형태의 성형면(11)을 가진 러버몰드(10)로 성형되며 석분이 함유되는 수지성형물의 외부면에 다양한 칼라로 채색되는 마블제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마블제 오프너는 마블제 몸체(1)와, 이 몸체(1)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부(2)와, 이 오목부(2)의 일측면(4)에 매입된 걸림편(3)을 포함하고, 이 오목부(2)의 걸림편(3)이 매입된 일측면(4)에 대향하는 부분은 개방부(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제 오프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블제 오프너 {Marble opener}
본 고안은 마블제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제조가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사용성과 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마블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병마개를 따는 오프너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거나 광고문이 부가되어 판촉물이나 사은품 또는 팬시용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종의 생활소품으로서, 오프너가 놓이는 가정의 주방이나 냉장고 벽면, 레스토랑의 테이블의 주변의 물건이나 인테리어 등과 조화를 이룰 것이 요구된다. 이중에서, 금속재 오프너는 충분한 강도와 기능성을 발휘하고 대체로, 손잡이자루가 길게 제작하더라도 부러지지 않고, 손잡이가 긴 만큼 병마개를 개방할 경우에 충분한 모멘트 길이를 확보하여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반면, 금속재 오프너는 이를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기 곤란하여 그 외관형태가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금형으로 성형되는 합성수지제 오프너의 경우는 금속재 오프너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고가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함에 따라 비교적 정교하고 세밀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작하기 곤란하고, 아울러 다양한 칼라를 구현하기도 어려워서, 팬시품이나 장식적 효과를 겸하는 생활소품으로서는 부족한 형편이다. 더욱이, 종래의 합성수지제 오프너는 도 1에서와 같이, 몸체(1)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2)에 금속걸림편(3)을 부착한 형태로 제작되는데, 몸체(1)를 손으로 잡아 모멘트를 가할 때, 오목부(2)가 몸체(1)의 중앙에 배치됨으로 인해 병을 개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오프너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정교한 형태와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하여 병마개의 개방기능과 더불어 팬시용품이나 장식효과를 지난 생활소품으로도 사용가능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마블제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 오프너의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4과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성형과정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오목부
3. 걸림편 4. 일측면
5. 개방부 10. 러버몰드
11. 성형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요철형태의 성형면(11)을 가진 러버몰드(10)로 성형되며 석분이 함유되는 수지성형물의 외부면에 다양한 칼라로 채색되는 마블제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마블제 오프너는 마블제 몸체(1)와, 이 몸체(1)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부(2)와, 이 오목부(2)의 일측면(4)에 매입된 걸림편(3)을 포함하고, 이 오목부(2)의 걸림편(3)이 매입된 일측면(4)에 대향하는 부분은 개방부(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제 오프너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4와 도 5는 성형단계의 단면도 및 몰드와 성형물의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청바지를 입은 신체의 엉덩이 부분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마블제 몸체(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마블이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수지에 석분이 첨가된 것으로서, 인조대리석이라고도 칭해지며, 실리콘 러버금형을 통해 세밀한 요철면을 성형하고, 수작업에 의한 다양한 착색이 가능하여 사실적이고 정밀한 묘사가 가능한 것이다. 오프너 몸체(1)의 비교적 평탄한 배면(8)에는 자석(9)이 부착되고, 배면(8)의 일단부에는 오목부(2)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2)는 병마개(11)를 열 때, 병마개(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그 일측면(4)에는 금속제 걸림편(3)이 매입장착된다. 그리고, 이 걸림편(3)의 대향부는 몸체(1)의 단부 쪽을 향하여 개방부(5)를 이룬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병마개(11)를 개방할 때, 병마개(11)가 이 개방부(5)를 통해 몸체(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같이, 오목부(2)가 몸체(1)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오목부(2)의 끝단부가 개방부(5)와 같이 개방됨으로 해서, 개방시에 병마개(11)가 오프너 몸체(1)의 단부에 걸리게 됨에 따라, 충분한 모멘트길이를 달성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병마개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블제 오프너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러버몰드(10)에 원하는 형태의 성형면(13)을 가진 캐비티(12)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12)의 일측에는 캐비티(12)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14)를 형성하여 둔다. 이 돌출부(14)는 마블제 오프너 몸체(1)의 성형시에 오목부(2)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금속제 걸림편(3)은 돌출부(14)의 선단부에 걸쳐두게 된다.
이와 같이, 마블제 오프너에서 오목부(2)를 몸체(1)의 일단부에 배치함으로써, 몸체(1) 전체의 구조적인 일체성이 강화되므로, 제품의 강성이 보강되어,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제조공정상의 측면에서 검토하면, 본 고안은 러버몰드(10) 내에서 몸체(1)가 성형된 후에, 몰드의 돌출부(14)는 몸체(1)의 일측의 개방부(3) 쪽으로 빼낼 수 있어서 용이하게 몰드(10)로부터 성형물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마블제 오프너에서 오목부(2)를 도 1에서와 같이, 몸체(1)의 중앙부에 배치한다면, 여기서는 본 고안에서와 같은 측면 개방부(3)가 없으므로, 불가피하게 오목부(2)의 저면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개방부을 형성하여 성형물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개방부는 결과적으로 마블제 성형물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게 되어, 몸체(1)의 구조적 취약성을 초래하고, 몸체의 형태에 대한 자유로운 디자인을 제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마블제 오프너의 몸체(1)의 일측에 오목부(2)를 형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병마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성형 후의 성형물의 몰드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강성이 보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칼라에 세밀한 묘사가 가능한 마블제 서형물을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오프너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오프너의 장식성과 팬시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다양한 요철형태의 성형면(11)을 가진 러버몰드(10)로 성형되며 석분이 함유되는 수지성형물의 외부면에 다양한 칼라로 채색되는 마블제 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마블제 오프너는 마블제 몸체(1)와, 이 몸체(1)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부(2)와, 이 오목부(2)의 일측면(4)에 매입된 걸림편(3)을 포함하고, 이 오목부(2)의 걸림편(3)이 매입된 일측면(4)에 대향하는 부분은 개방부(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제 오프너.
KR2020000018147U 2000-06-26 2000-06-26 마블제 오프너 KR200203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47U KR200203647Y1 (ko) 2000-06-26 2000-06-26 마블제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47U KR200203647Y1 (ko) 2000-06-26 2000-06-26 마블제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47Y1 true KR200203647Y1 (ko) 2000-11-15

Family

ID=1966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147U KR200203647Y1 (ko) 2000-06-26 2000-06-26 마블제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4389800A (en) Toothbrush
KR200203647Y1 (ko) 마블제 오프너
EP1166255B1 (en) Integral resilient badge and sucker
MY134571A (en) Metal mold for forming,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tal mold for forming and molded article obtained on forming by the metal mold for forming
JP2001287260A (ja) スケルトン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5931651U (zh) 用于保持化妆品瓶的套筒
US20040214020A1 (en) Covering sh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ell
JP3241971U (ja) ボタンカバー
KR200383399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KR200369930Y1 (ko) 자수무늬 화장용구
KR100576783B1 (ko) 투명부를 갖는 인조손톱
KR200181215Y1 (ko) 마블제 소품항아리
KR200362133Y1 (ko) 투명부를 갖는 인조손톱
KR101025573B1 (ko) 양면 쿠션형 장식구를 갖는 누름식 필기구
KR200350764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손잡이
JP3224742U (ja) 装飾部材
CN211166173U (zh) 一种多功能可旋转饰品
KR20040070360A (ko) 즉석 수지성형 장신구
KR200333804Y1 (ko) 다기능 목걸이
JP3081644U (ja) ペンダント
KR200251878Y1 (ko) 손톱 장신구
JP3084276U (ja) ピンバッジ
US4023674A (en) Jewelry box
KR200241318Y1 (ko) 손톱 장신구
JP3102214U (ja) 装飾窓を設けた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