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74Y1 - 체내 습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습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74Y1
KR200233674Y1 KR2020010007172U KR20010007172U KR200233674Y1 KR 200233674 Y1 KR200233674 Y1 KR 200233674Y1 KR 2020010007172 U KR2020010007172 U KR 2020010007172U KR 20010007172 U KR20010007172 U KR 20010007172U KR 200233674 Y1 KR200233674 Y1 KR 200233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hearing
humidity sensor
hearing aid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성
Original Assignee
서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성 filed Critical 서진성
Priority to KR2020010007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74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체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귓속형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력이 정상적이지 못한 사람들의 귓속 습도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이상 작동과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귓속형 보청기는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지 못하게 귓속을 막도록 착용되어짐으로서 높아진 귓속 습도로 인하여 보청기가 이상 작동하거나 습기에 노출된 보청기의 회로가 단락됨으로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이용자는 사용치 못하는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과 보청기 제조 회사는 과도한 고장 수리 의뢰에 따라 많은 업무의 지장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보청기가 이상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불능 상태로 되는 습도 범위를 파악하여 보청기의 방습효율을 높여주거나 설정된 습도 범위로 귓속 환경이 변할 때 경보기능을 부가하여 적절한 대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습도 측정용

Description

체내 습도측정장치 {A hygrometer for the interior of the body}
본 고안은 체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귓속형 보청기를 사용하는 난청자나 청력이 정상적이지 못한 사람들의 귓속 습도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이상 작동과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난청 등의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확성장치로서보청기를 사용하게되며, 근래에는 타인의 눈에 잘 띠지 않게 아주 작은 형태로 제조되어 귓속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귓속형 보청기의 보급이 대중화 되어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귓속형 보청기는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지 못하게 귓속을 막고있는 형상으로 착용되어짐으로서 귓속은 습도가 높아지게되고 높아진 습도로 인하여 보청기가 이상 작동하거나 습기에 노출된 보청기의 회로가 단락됨으로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이용자는 사용치 못하는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장 수리를 위하여 접수되어진 보청기는 대기 중에서 방치되는 중에 습기가 제거되어 자연 치유됨으로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보청기 제조사는 과도한 고장 수리 의뢰에 따른 기타 업무의 지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 번째로, 사용하는 보청기가 몇 퍼센트(%)의 습도에 얼마간 노출되었을 때 회로가 단락되어 이상작동 또는 작동이 불가능한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며, 두 번째로는 수집된 자료를 인용하여 제조되는 보청기의 방습 효율을 높힘으로서 이상 작동 등을 예방하며, 세 번째로는 보청기가 이상 징후를 나타낼 수 있는 습도를 설정한 후 사용자의 귓속 습도가 설정 값에 육박할 때 함께 보급한 휴대용 경보장치를 작동케 함으로서 사용자가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내 습도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내 습도측정장치 습도 측정용 센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내 습도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습도센서 10 : 와이어
20: 표시부 30: 삽입구
40: 보호통 42: 뚜껑
44: 방습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내 습도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체내 습도측정장치는, 체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와 상기 습도센서(10)에 감지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12)와 감지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부(20) 및 상기 습도센서(10)를 뒤덮으며 귓속에 삽입되어지도록 한 삽입구(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노출된 습도센서(10)와 삽입구(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통(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습도센서(10)는 공지의 센서와 같이 습도를 검출하는 감습막에 의해 귓속의 습도를 감지하면, 감습막 내부에 가지고 있는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그 변화되는 양을 측정하여 습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정전용량형 습도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감지된 습도는 측정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무저항 도선으로 이루어진 왕이어(12)를 통해 표시부(20)로 전달된 후 문자로 변환되어 표시부(20) 전면에 문자로 나타난다.
이때 상기 표시부(20)로는 온도와 시간 등을 동시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디지털 시계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온도에 따른 습도를 보정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습도센서(10)는 전단 및 주면으로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되어 귓속의 습도가 자유롭게 순환토록 함으로서 원할한 측정이 가능토록 하며 습도센서(10)가 일정 깊이까지 체내로 삽입될 때 신체가 상처를 입지 않도록 부드러운 생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진 삽입구(30)로 감싸여진다.
상기 삽입구(30)의 일단은 습도센서(10)의 단부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어진 와이어(12)의 단부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함으로서 노출된 돌출부분 등에 의하여 상처를 입지 않도록 되어있다.
특히, 상기 삽입구(30)는 1회 측정 후 교환이 가능토록 1회용으로 제조하여 측정 시마다 교환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거나 반영구적인 재료로 제조하여 교체한 후 소독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 후 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채택되어진 보호통(40)의 습도센서(10) 및 삽입구(30)가 내입되어 질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되어진 관상으로 구성되며 타단부의 내면으로는 방습제(44)를 소정의 높이로 충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호통(40)의 내공간부로는 실리카 겔 등의 방습재(44)를 충진하여 내삽되는 습도센서(10)를 보호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통(40)의 개방 단부는 보호통 뚜껑(42)에 의해 막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뚜껑(42)은 와이어(12)가 절첩되거나 꺽이지 않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와이어(1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체내 습도측정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호통(40)을 제거하고 삽입구(30)를 귓속 등의 체내로 삽입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표시부(20)로 나타난 습도를 읽고 기록하면 되는 것이다.
측정이 끝난 후 삽입구(30)는 탈리하여 폐기한 후 새로운 삽입구(30)를 부착시키거나 소독처리 등을 행한 후 부착된 후 보호통(40)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것이다.
물론 상기의 삽입구(30)는 측정 직전에 삽착되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교환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의 양측 혹은 일단부로는 잭 등의 접속수단을 형성하고 사용시에만 표시부와 습도센서를 접속토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등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이 역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봄이 당연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내 습도측정장치는 밀폐된 체내에서 습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보청기의 사용불능을 예방하여 난청 등의 청력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급증하는 고장수리 요청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조사의 인력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공지의 습도센서(10)와 상기 습도센서(10)에 감지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문자 등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20)로 이루어진 습도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10)를 감싸는 관상의 삽입구(30)와 습도센서(10)를 포함하여 삽입구(30)가 내삽되는 일단이 개방된 보호통(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습도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30)는 원활한 습도의 측정을 위하여 단부와 주면으로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습도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30)는 생고무 등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고 사용시에는 수시로 교체되어 질 수 있도록 착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습도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40)의 개방 단부는 와이어(12)에 관통된 채 유동되는 보호통 뚜껑(42)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습도측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40)으로는 방습제(44)가 소정 높이로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습도측정장치.
KR2020010007172U 2001-03-16 2001-03-16 체내 습도측정장치 KR200233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72U KR200233674Y1 (ko) 2001-03-16 2001-03-16 체내 습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72U KR200233674Y1 (ko) 2001-03-16 2001-03-16 체내 습도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74Y1 true KR200233674Y1 (ko) 2001-10-26

Family

ID=730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172U KR200233674Y1 (ko) 2001-03-16 2001-03-16 체내 습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93A (ko) 2017-12-29 2019-07-09 미래메디엔텍 주식회사 귓속 습도 측정 및 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93A (ko) 2017-12-29 2019-07-09 미래메디엔텍 주식회사 귓속 습도 측정 및 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5784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biomedical probe
US6253871B1 (en) Disposable in-the-ear monitoring instrument using a flexible earmold and ca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305399A (en) Miniature transducer
ES2330200T3 (es) Adaptador para sonda de temperatura.
US5879292A (en) Bandage including data acquisition components
CA2266815C (en) Urine detect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diaper
US5833367A (en) Tympanic thermometer probe cover
EP1854333B1 (en) An interchangeable acoustic system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US7293915B2 (en) Assembly method and structure of a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EP1361420B1 (en) Digital thermomete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DK162870B (da) Hoereapparat med automatisk taende/slukkefunktion
WO2001003582A1 (en) Medical measuring device
KR200233674Y1 (ko) 체내 습도측정장치
US6030117A (en) Tympanic thermometer probe cover
US6097979A (en) Radiation thermometer and protective cover therefor
TWI269031B (en) Pacifier thermometer structure
US8556503B2 (e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WO1999019701A1 (en) Ear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EP3740270A1 (en) Safety warning system
KR101289747B1 (ko)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ES2954086T3 (es) Convertidor integrado de vibraciones y de fuerza de contacto y un método para medir vibraciones y fuerza de contacto
CN203385427U (zh) 一种电子计步器
CN208140279U (zh) 一种基于互联网的耳机式温度计
CN217466035U (zh) 一种防水防尘的电子体温计
CN215128680U (zh) 壳体及血氧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