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30Y1 - Apparatus for sens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ns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30Y1
KR200233630Y1 KR2020010005353U KR20010005353U KR200233630Y1 KR 200233630 Y1 KR200233630 Y1 KR 200233630Y1 KR 2020010005353 U KR2020010005353 U KR 2020010005353U KR 20010005353 U KR20010005353 U KR 20010005353U KR 200233630 Y1 KR200233630 Y1 KR 200233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recognition
subject
lens system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3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진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to KR2020010005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30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인식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고안은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과,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와, 상기 렌즈계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광 분할 수단을 투과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 방출창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an image recognition device. Disclosed is a light dividing mean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a subject, a lens system for refra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dividing means, and an image for recognizing image information carried on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A sensor and an emission window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splitting means can be emitted.

Description

영상 인식 장치{Apparatus for sensing image}Image recognition device {Apparatus for sensing image}

본 고안은 영상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피사체에 대한 육안 인식과 장치 인식이 동시에 가능한 영상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cogni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visual recognition of a subject and device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피사체의 영상을 얻는 일반적인 방법은 광전변환 방식으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증폭하거나 변조하는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다.A general method of obtaining an image of a subject is to convert an optical signal incident from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photoelectric conversion method, and then amplify or modulate the optical signal and display the same through a display device.

이렇게 얻어진 피사체에 대한 영상, 곧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가된 여러 기능을 통해 다양하게 처리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도 있다.The image of the subject thus obtained, 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subject, may be variously processed through various functions added to the display device, may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a database.

한편,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영상 인식 장치를 피사체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영상 인식 대상이 작은 경우에는 이러한 필요성은 더욱 증가된다. 예를 들면, 계량기의 계량 수치를 읽는 경우, 영상 인식 장치를 계량기의 수치 표시 창에 정확하게 정렬시켜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영상 인식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만 정렬 확인이 가능하므로,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거치 수밖에 없고, 따라서 영상 인식 대상, 곧 피사체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obtain an image of a subject, a process of accurately aligning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with the subject is required. This need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image recognition target is small. For example, when reading the weighing value of the meter,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should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numerical display window of the meter. As the above-described general image recognition device can check the alignment only through the display device, multiple trial and error Inevitably, the time required for recognizing the image recognition target, that is, the subject may be long.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과 장치를 통한 피사체의 인식이 동시에 가능하여 피사체와 영상 인식 장치의 정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영상 인식 장치를 제공함에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that can recognize the subject through the naked eye and the device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alignment time of the subject and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In the off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에 구비된 광 분할 수단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illustrating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light splitters included in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3.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에 구비된 광 분할 수단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plitting means included in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40:피사체 42, 50, 52:제1 내지 제3 광 분할 수단40: Subject 42, 50, 52: First to third light splitting means

44:반사 수단 46:렌즈계44: reflecting means 46: lens system

48:이미지 센서 52a, 52b:제1 및 제2 프리즘48: image sensor 52a, 52b: first and second prism

L1:입사광 L2, L5:투과광L1: incident light L2, L5: transmitted light

L3, L4:반사광 S:광 분할면L3, L4: Reflective light S: Light splitting surfa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과,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와, 상기 렌즈계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광 분할 수단을 투과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 방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 분할 수단과 상기 렌즈계 사이에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렌즈계로 반사하는 반사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splitting mean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a subject, a lens system for refra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plitting means, and a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It provides an image recognition device having an image sensor for recognizing the carried image information and the emission window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splitting means can be emitted. In this case, there is further provided with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dividing means to the lens system between the light dividing means and the lens system.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이다. 또,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프리즘이다.The light splitter is a light splitter that transmi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prism that transmi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다.A material film that transmits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is coated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light splitter.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 또는 프리즘이다. 이때,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다.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light splitting plate or prism that transmits a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optical splitter plate is transmitted, and a portion of the material film reflecting the other portion is coated.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과,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투과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와, 상기 렌즈계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 방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광 분할판 또는 프리즘이다.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가시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다. 또,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ght splitting mean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a subject, a lens system for refract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splitting means,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an emission sensor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dividing means can be emitted. In this case,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light splitter or prism that reflec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transmit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A material film for reflect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transmitting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is coated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light splitter.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light dividing plate that transmits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이러한 본 고안의 영상 인식 장치를 이용하면, 육안으로 피사체와 영상 인식 장치의 정렬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렬을 쉽게 이룰 수 있고 따라서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Using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lignment of the subject and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can be directly checked by the naked eye, the alignment can be easily achieved, and thus the time required for the alignment can be reduc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Hereinafter, a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layers or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40은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대상물로써, 이하 피사체라 한다. 참조번호 42는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을 분할하는 제1 광 분할 수단으로써, 예를 들면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 중에서 가시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이다. 상기 광 분할판은 그 자체로써 상기한 분할 특성을 갖는 판이거나 피사체(40) 대향면에 상기한 분할 특성을 갖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판이다.Referring to FIG. 1, reference numeral 40 is an object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ject. Reference numeral 42 is a first light dividing means for dividing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For example,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is transmitted from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and the infrared region is transmitted. Light is a light splitter to reflect. The light dividing plate is itself a pl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dividing characteristics or a plate coated with a material film having the above-mentioned dividing characteristic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bject 40.

제1 광 분할 수단(42)의 상기한 광 투과 특성은 도 2에 도시한 광 투과 특성 그래프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해진다.The above-mentioned light transmittanc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becomes clearer by referring to the light transmittance characteristic graph shown in FIG.

참조번호 44는 제1 광 분할 수단(42)으로부터 반사된 광(L3)을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으로써, 예를 들면 제1 광 분할 수단(42) 대향면에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는 반사 거울이다.Reference numeral 44 is a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light L3 reflected from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and is, for example, a reflecting mirror having a reflective film coated o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참조번호 46은 광 반사 수단(44)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된 광을 이미지 센서(48)에 집광시키는 집광성 렌즈, 예컨대 볼록 렌즈이다.Reference numeral 46 denotes a lens system that refra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reflecting means 44, and is preferably a condensing lens, for example a convex lens, which focuses the reflected light on the image sensor 48.

이러한 렌즈계(46)는 상기한 집광성을 갖는 단일 렌즈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집광성을 나타내도록 집광성 및 퍼짐성을 갖는 렌즈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system 46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lens having the above light condensing properties, or may be configured as lenses having light condensing properties and spreading properties so as to collectively exhibit light condensing properties.

한편, 제1 광 분할 수단(42)을 투과한 광(L2)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피사체(40)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제1 광 분할 수단(42)의 투과광(L2)이 방출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눈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광 방출창(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L2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is used by the user to visually identify the subject 4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light emitting window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approach the ey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tted light (L2) of the first light splitting means 42 is emitted.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렌즈계(46)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48)에 외부 디스 플레이 장치, 예컨대 LCD나 기타 모니터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other monitor means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48 used to recognize image information carried on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46.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는 제1 광 분할 수단(42)과 렌즈계(46) 사이에 별도의 반사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광 분할 수단(42)으로부터 반사된 광(L3)은 바로 렌즈계(46)에 입사되어 이미지 센서(48)에 인식된다.As shown in FIG. 3,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separate reflecting means between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and the lens system 46. Therefore, the light L3 reflected from the first light dividing means 42 immediately enters the lens system 46 and is recognized by the image sensor 48.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전제하에 설명한다.It demonstrates on the same premise as 2nd Example.

제3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는 광 분할 수단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른 것에 특징이 있다.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dividing means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은 제2 광 분할 수단을 나타내는데, 이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1 광 분할 수단(42, 도 1 및 도 3 참조)과 다른 분할 특성을 갖는 것이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which has a splitting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the first light splitting means 42 (see FIGS. 1 and 3)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즉, 제2 광 분할 수단(50)은 제1 광 분할 수단(42)과 마찬가지로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을 반사광(L4)과 투과광(L5)으로 분할한다. 하지만, 제2 광 분할 수단(50)에 의해 반사된 광(L4)은 제1 광 분할 수단(42)에 의해 반사된 광(L3)처럼 적외선 영역의 광이 아니고 가시 영역의 광이다. 또, 제2 광 분할 수단(50)을 투과한 광(L5)은 제1 광 분할 수단(42)을 투과한 광(L2)처럼 가시 영역의 광의 아니라 적외선 영역의 광이다.That is,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splits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into the reflected light L4 and the transmitted light L5 similarly to the first light splitting means 42. However, the light L4 reflected by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is not the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but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like the light L3 reflected by the first light splitting means 42. Further, the light L5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is not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but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like the light L2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ight splitting means 42.

이와 같은 제2 광 분할 수단(50)에 대한 광 분할 특성은 도 5에 도시한 광투과 특성 그래프를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확해진다.The light spl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are further clarified by referring to the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 graph shown in FIG.

이러한 제2 광 분할 수단(50)은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 중에서 가시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 분할판은 그 자체로써 상기한 분할 특성을 갖는 판이거나 피사체(40) 대향면에 상기한 분할 특성을 갖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판이다.The second light splitter 50 is preferably a light splitter that transmi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among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In this case, the light splitter may be a pl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splitting characteristics or a material film having the above-mentioned splitting characteristics coated on a surface facing the object 40.

제2 광 분할 수단(50)을 투과한 광(L5)은 렌즈계(46)를 거쳐 이미지 센서(48)에 입사되고, 반사 광(L4)은 방출창(미도시)을 거쳐 사용자가 피사체를 직접 인식하는데 사용된다.The light L5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is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48 through the lens system 46, and the reflected light L4 passes through the emission window (not shown) so that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subject. Used to recognize.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전제하에 설명한다.It demonstrates on the same premise as 2nd Example.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 장치는 제3 광 분할 수단(50)을 구비하는데, 이는 제1 및 제2 광 분할 수단(42, 50)과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third light splitting means 5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42 and 50.

즉, 제3 광 분할 수단(52)은 프리즘을 이용하여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을 반사광(L3)과 투과광(L2)으로 분할한다. 제3 광 분할 수단(52)은 제1 및 제2 직각 프리즘(52a, 52b)의 사면을 접합시켜 광 분할면(S)을 형성한 경우이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직각 프리즘(52a, 52b)이 접합되는 광 분할면(S)에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 중에서 가시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다.That is, the third light splitter 52 splits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into the reflected light L3 and the transmitted light L2 using a prism. The third light splitting means 52 is a case where the light splitting surface S is formed by joining the slopes of the first and second right angle prisms 52a and 52b.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is transmitted from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on the light splitting surface 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right angle prisms 52a and 52b are bonded. The material film reflecting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is coated.

이러한 프리즘은 제3 실시예의 제2 광 분할 수단(50)을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제1 및 제2 프리즘(52a, 52b)은 가시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물질막을 사용하여 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This prism can replace the second light splitting means 50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is cas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prisms 52a and 52b may be bonded by using a material film that reflec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transmit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한편, 상기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내지 제3 광 분할 수단(42, 50, 52)은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의 파장별로 광을 분할하는 것이 아닌, 광량을 분할하는 광 분할 수단이기도 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light splitters 42, 50, and 52 mentioned above divide the light by the wavelength of the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It is also a light dividing means for dividing the light amount.

즉, 피사체(40)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의 일부(예컨대, 30%, 50% 또는 70%)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예컨대, 70%, 50% 또는 30%)는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이기도 하다. 이때, 제1 및 제2 광 분할 수단(42, 50)은 자체가 이러한 특성을 갖는 광 분할 수단이기도 하지만, 피사체(40) 대향면에 이러한 특성을 갖는 물질막이 코팅된 광 분할 수단이기도 하다. 또, 제3 광 분할 수단(52)은 상기 특성을 갖는 물질막으로 접합된 제1 및 제2 프리즘(52a, 52b)이기도 하다.That is, a light splitting part of (eg, 30%, 50%, or 70%) of light L1 incident from the subject 40 is transmitted, and reflecting a part (eg, 70%, 50%, or 30%) of the remaining light L1. It is also a means.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light dividing means 42 and 50 are themselves light dividing mean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but are also light dividing means coated with a material film having such characteristic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bject 40. The third light dividing means 52 is also the first and second prisms 52a and 52b bonded to the material film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4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한 영상 인식 장치로부터 멀리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무선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input from the image sensor 48 to a display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반사 수단 및 광 분할 수단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광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While many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y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propose more various types of reflection means and light splitting means, and may include an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n optical signal.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by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 인식 장치를 이용하면, 육안으로 피사체를 인식함과 동시에 연상 인식 장치를 통해서도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와 영상 인식 장치의 정렬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정렬이 용이하고,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can b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as the naked eye and the associative recognition apparatus,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subject and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can be directly checked visually, Therefore, alignment is easy and the time taken for alignment can be reduced.

Claims (17)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Light dividing mean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A lens system for refract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plitting means; 상기 렌즈계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및An image sensor recognizing image information carried on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And 상기 광 분할 수단을 투과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 방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And an emission window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splitter can be emit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과 상기 렌즈계 사이에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렌즈계로 반사하는 반사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light reflected from said light dividing means to said lens system between said light dividing means and said lens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splitting means is a light splitting plate which transmits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splitting means is a prism that transmits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reflect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가시영역의 광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a material film is coated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light splitter to transmit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reflect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계는 입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에 집광하는 집광성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ens system comprises a light condensing lens configured to focus incident light onto the image sens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n optical dividing plate which transmits a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prism that transmits a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material film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light splitter facing the object to transmit a portion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 분할 수단;Light dividing mean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투과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계;A lens system for refract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splitting means; 상기 렌즈계를 통해 입사되는 광에 실린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및An image sensor recognizing image information carried on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system; And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된 방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And an emission window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plitter can be emit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과 상기 렌즈계 사이에 상기 광 분할 수단으로부터 투과된 광을 상기 렌즈계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light transmitted from said light dividing means to said lens system between said light dividing means and said lens system.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광 분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12.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light dividing plate that reflects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transmit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가시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light splitting means is a prism that reflects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transmits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가시영역의 광은 반사시키고, 적외선 영역의 광은 투과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a material film is coated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light splitter to reflect light in a visible region and transmit light in an infrared reg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광 분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12.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n optical dividing plate which transmits a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 수단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light dividing means is a prism that transmits a part of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s the other par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판의 상기 피사체 대향면에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물질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 장치.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a material film is formed on the object facing surface of the optical splitter plate to transmit a por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nd r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KR2020010005353U 2001-02-28 2001-02-28 Apparatus for sensing image KR2002336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53U KR200233630Y1 (en) 2001-02-28 2001-02-28 Apparatus for sens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53U KR200233630Y1 (en) 2001-02-28 2001-02-28 Apparatus for sensing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30Y1 true KR200233630Y1 (en) 2001-09-28

Family

ID=7308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353U KR200233630Y1 (en) 2001-02-28 2001-02-28 Apparatus for sens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3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89B1 (en) * 2007-04-06 2008-08-25 해성옵틱스(주)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low illumin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89B1 (en) * 2007-04-06 2008-08-25 해성옵틱스(주)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low illumi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50879A1 (en) Under-screen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RU2721661C2 (en) Optical device with a light-conducting substrate
EP2458424B1 (en) Beam splitter for 3D camera, and 3D image acquisition apparatus employing the beam splitter
CN103324012B (en) Interactive projection device
KR20150013815A (en) Head-mounted display with an eyeball-tracker integrated system
CN106680917B (en) Composite prism for multifunctional telescope and binocular telescope optical system thereof
CN102789114A (en) Visible-infrared bi-pass camera
US7031062B2 (en) Assembly of beam splitters
US7394529B2 (en) Fingerprint sensor using microlens
CN112840176A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bject
CN109725416A (en) Eyeball tracking optical system, headset equipment and imaging method
US65935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image data using multiple sensors
CN107765435A (en) Head-wearing display device
CN207440416U (en) Head-wearing display device
KR200233630Y1 (en) Apparatus for sensing image
CN105242773B (en)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JP2007271997A (en) Ir/laser common-use optical system device
CN100403090C (en) Beam splitting and combining prism unit and distance measuring device by using said prism unit
KR102017224B1 (en) Monostatic bidrectional focusing and collecting optics system for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s
JPH0949965A (en) Focal position detector
JP2017072709A (en) Imag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system of surveying instrument
CN218675531U (en) Optical device and AR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3097806A1 (en) Optica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4053588A1 (en) Optical sensing system
KR100358806B1 (en) Optical system of view f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