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971Y1 - tool bag - Google Patents

tool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971Y1
KR200231971Y1 KR2020010004508U KR20010004508U KR200231971Y1 KR 200231971 Y1 KR200231971 Y1 KR 200231971Y1 KR 2020010004508 U KR2020010004508 U KR 2020010004508U KR 20010004508 U KR20010004508 U KR 20010004508U KR 200231971 Y1 KR200231971 Y1 KR 200231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ool bag
accommodating
backpack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5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20010004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9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971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가방을 멜빵형으로 구성한 것을, 그 구성은, 공구 수용을 위하여 적어도 2 개 이상의 수납 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어깨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를 정도의 넓이를 갖는 확장부(5)와, 상기한 확장부(5)에서 연장하여 수납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멜빵(10)과, 상기한 수납부의 상단부에 형성한 손잡이(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ool bag is configured in a suspender shape, the configuration of which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t least two or more storage spaces for accommodating the tool, and an area sufficient to sufficiently support the shoulder on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extension portion 5, the suspenders 10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5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handle 4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

Description

배낭형 공구 가방{tool bag}Backpack Tool Bags {tool bag}

본 고안은 공구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구 가방을 배낭형으로 메고 운반할 수 있게 구성한 배낭형 공구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pack-type tool bag configured to carry and carry the tool bag in a backpack type.

종래의 공구 가방은 주로, 플라스틱 또는 다른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진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 지며 손으로 들고 다니게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tool bags are mainly made of a box shape made of plastic or other hard material and are carried by hand.

요즘 각종 상품 배달시 그 배달된 물건을 설치해 주게 되는데 예를들어, 가구나 가전 제품 같은 전자제품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그의 설치를 위한 공구 가방이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다.Nowadays, when the various goods are delivered, the delivered goods are installed. For example, when installing electronic products such as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a tool bag for installation is necessarily accompanied.

이때 한손엔 제품을 다른 한손엔 공구 가방을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또 두손 모두 필요할 경우엔, 두손으로 물건을 나른 후 다시 한번 더 공구를 가지러 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At this tim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lift the tool bag on the other hand and the other hand is necessary, and if both hands are neede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back to get the tool again after carrying the goods with both hands.

또한 각종 공구의 발달로 그 종류와 수량이 많아 짐에 따라 기존 공구함의 고정된 구조에서는 예를들어, 자동 드라이버나 부피가 큰 전동 드라이버는 수납하고 다니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ools, the type and quantity of them increase, so that, for example, in the fixed structure of the existing toolbox, an automatic driver or a large electric driver may be difficult to store.

또한 그 만큼 무게도 가중되어 공구함 들고 다소 먼 거리를 손에 들고 이동하기도 매우 불편하여 이런 업종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는 허리와 어깨에 피로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었다.In addition, the weight is so heavy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a toolbox and carry a long distance has been a cause of fatigue in the back and shoulders for those who work in these industri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들고 다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고 다닐수 도 있게 하여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주로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and the purpose is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not only can carry but also carry.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가방형 공구 가방의 배면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bag-shaped tool ba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제 1 수납부(11)에 대한 내부 구성도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4.... 손잡이4 .... handle

5.... 확장부5 .... extensions

10.... 멜빵10 .... suspenders

11,12,13.... 제 1,2,3 수납부11,12,13 .... 1,2,3 compartments

21,22,23,24.... 제 1,2,3,4 소수납부21,22,23,24 .... 1, 2, 3, 4 Minority payment

30.... 지지부재30 .... support memb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공구 수용을 위하여 적어도 2 개 이상의 수납 공간을 갖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어깨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를 정도의 넓이를 갖는 확장부(5)와, 상기한 확장부(5)에서 연장하여 수납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멜빵(10)과, 상기한 수납부의 상단부에 형성한 손잡이(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xpansion portion having a width enough to support a shoulder on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t least two storage spaces for receiving the tool ( 5), the suspenders 10 extending from the expansion part 5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handle 4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이하,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구 가방의 배면 즉, 등 쪽으로 보이는 부분에 대한 정면 도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back of the tool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art seen toward the back.

본 고안에서는 먼저 양쪽에 멜빵(10)을 구성하여 멜수 있게 하였고, 배면을 예를들어 3 개의 주머니가 형성되게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uspenders 10 we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suspenders were formed.

각각의 주머니는 바람직하기로는 자크로 구성시킨다. 자크는 한쪽에서 개방하여 한쪽 상부가 전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pouch preferably consists of a jack. It is preferable that the jack is open on one side so that one upper part is fully open.

측면 까지 개방 가능하도록 자크부를 구성하는 것은 더 바람직하다. 그러면 공구의 크기에 상관없이 수용 및 꺼내기 편리하다.It is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the jack portion to be open to the side. This makes it convenient to accept and take ou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ool.

상기 주머니는 제 1,2,3 수납부(11,12,13)로 각각 구성되고 제 1 수납부(11)는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자크부가 여러개 구성된다.The bag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accommodating parts 11, 12, and 13, respectively,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other jac parts as illustrated in FIG. 2.

즉, 또 다른 자크로 각각 이루어지는 제 1,2,3,4 소수납부(21,22,23,24)를 각각 형성시켰다. 이곳엔 자재, 예들들어, 피스, 못, 새들 등과 같이 외형이 작은 기재들을 보관이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었다. 제 1 수납부(11)는 바람직한 크기로로 전체 주머니 즉 수납부의 크기 중 20% 정도의 크기로 만든다.That i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hydrophobic portions 21, 22, 23, and 24 each of which are made of another jack are formed, respectively. It is constructed here to facilitate storage of small-scale substrates such as materials, for example pieces, nails, saddles, and the lik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has a desirable size and is made to be about 20% of the size of the entire bag, that is, the accommodating part.

제 2 수납부(12)는 예를들어, 비교적 중량이 가볍고 제 1 수납부(11)의 내용물 보다는 부피가 큰것, 예들들어, 드라이버, 가위 등등의 공구를 넣고 자크로 채워 둔다.The second housing 12 is, for example, relatively light in weight and bulkier than the contents of the first housing 11, for example,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scissors, and the like is filled with a jack.

그 크기는 바람직한 예로 전체 크기의 30%를 차지하도록 구성한다.The size is configured to occupy 30% of the total size as a preferred example.

제 3 수납부(13)는, 예를들어, 제일 하단에 50% 정도의 크기를 차지하도록 구성하며 몽키나 자동 드라이버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공구를 보관한다.The third housing 13 is configured to occupy a size of about 50% at the bottom, for example, and stores a relatively bulky tool such as a monkey or an auto driver.

또한 공구의 중량에 의하여 바닥면의 처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외피와 내피 사이에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지지부재(30)를 내장시킨다In addition, to prevent sagging of the bottom surface due to the weight of the tool, a support member 30 such as a plastic that is not broken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is embedded.

그리고 등에 밀착되는 등받이 부분은 탈 부착시 예상되는 공구의 충격을 감안하여 마찬가지로 예를들어,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등을 삽입함과 동시에 몸과 부착되는 플라스틱 면 쪽에는 스폰지를 삽입시켜 착용시 안정감과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ckrest close to the back, in consideration of the expected impact of the tool during detachment, for example, inserts an unbreakable plastic, and at the same time inserts a sponge into the plastic surface attached to the body to ensure stability and softness. To have.

그리고 제 1 2,3 수납부 사이는 재봉부(6)를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납부 하단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30)를 더 형성 시킬 수 있다.And the sewing part 6 is formed between the 1st, 2nd and 3rd accommodating parts. And if necessary, it can further form a support member 30 that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그리고 제일 상단 쪽엔 손잡이(4)를 형성시키되 중량감을 고려해 여행용 가방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손잡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o form a handle (4) on the top si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plastic handle used in the travel bag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그리고 어깨끈(5)은 역시 중량감을 고려하여 어깨끈 시작 부분을 최대한 넓게 하여 확장부(5)를 형성시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최대한 넓게 되도록 하여 어깨의 무게감을 최소로 하고 무게로 인해 어깨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자체 무게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한다.And the shoulder strap (5) also considers the weight of the shoulder strap as wide as possible to the beginning of the extension portion (5) to form a portion that is applied to the pressure to be as wide as possible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shoulder and the weight due to the shoulder It does not cause pain, but it also supports the weight of its own weight.

이 확장부(5)에도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감을 감안하여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part 5 also incorporates a cushioning member such as a sponge in view of the burden on the shoulder.

상기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 것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으로이 형상과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at is described with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is merely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configuration.

예들들어, 수납부의 갯수를 2개 또는 4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도 여러 형태로 변형 시킬수 있음을 물론이다.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as two or four or more, and the shape can also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어깨에 메고 다닐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손잡이(4)로 들고 다닐 수 있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that can be carried on the shoulder and carry with the handle (4) as needed.

또한 각각의 수납부가 유연한 재질의 주머니로 여러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어 어떠한 크기의 공구라도 모두 수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ach storage un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pockets of various specifications has the advantage that can accommodate any tool of any size.

또한, 딱딱한 케이스 형태가 아니고 어깨나 등의 착용감이 좋게 구성되어 있어 착용감이 좋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not a hard case form, but a good fit of the shoulder or back is configured to have a good fit.

특히, 상가나 빌라, 단층 아파트에 배송 작업시에 공구 가방은 등에 메고 상품은 두손으로 운반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또 종래 공구 가방 이동시 한쪽 어깨에만 가해지는 중량의 부담감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tool bag can be carried on the back and the goods can be transported with both hands when it is delivered to a shopping mall, villa, or a single-story apartment, and the work time can be saved and the weight burden applied to only one shoulder when moving the conventional tool bag can be eliminated.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4)

각종 공구를 수납하기 위해 멜빵형으로 공구 가방을 구성함에 있어,In forming a tool bag in a suspender type for storing various tools, 공구 수용을 위하여 적어도 2 개 이상의 수납 공간을 갖는 수납부와,An enclosure having at least two storage spaces for tool receiving; 상기 수납부의 상단에 어깨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를 정도의 넓이를 갖는 확장부(5)와,An extension part 5 having an area wide enough to support the shoulder at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상기한 확장부(5)에서 연장하여 수납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멜빵(10)과,Suspenders 10 extending from the expansion portion 5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한 수납부의 상단부에 형성한 손잡이(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공구 가방Backpack type tool ba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andle (4)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수납부는 자크로 이루어져 제 1,2,3 수납부(11,12,13)로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한 제 1 수납부(11)는 그 내부에 자크로 이루어지는 제 1,2,3,4 소수납부(21,22,2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공구 가방.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of a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11, 12, and 13 arranged side by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includes a first, second,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Backpack type tool ba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3,4 minority payment (21, 22, 23, 24).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한 제 1,2,3 수납부(11,12,13)의 형성 공간은 전체 수납부의 크기로 대비하여 20%, 30%,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공구 가방.Backpack forming a tool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space of the first, second, third storage (11, 12, 13) is 20%, 30%, 50% compared to the size of the entire storag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한 수납부의 제일 하단엔 지지부재(30)가 내장되게 형성하여, 공구의 무게로 인한 처짐이 방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형 공구 가방A backpack-type tool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 is built, so that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tool is prevented.
KR2020010004508U 2001-02-21 2001-02-21 tool bag KR2002319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08U KR200231971Y1 (en) 2001-02-21 2001-02-21 tool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08U KR200231971Y1 (en) 2001-02-21 2001-02-21 tool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971Y1 true KR200231971Y1 (en) 2001-07-03

Family

ID=7308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508U KR200231971Y1 (en) 2001-02-21 2001-02-21 tool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97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246B1 (en) 2023-09-19 2024-01-25 김경희 Tool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246B1 (en) 2023-09-19 2024-01-25 김경희 Tool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0830A1 (en) Tool case for engaging a ladder
US5209384A (en) Portable tool kit
US7988160B2 (en) Cleaning cart
CA2315743A1 (en) Tool bag
US5964384A (en) Traveling bag with expandable storage volume
US20070056868A1 (en) Wheeled tool bag
US20070025647A1 (en) Collapsible tool bag
US6375258B1 (en) Portable workstool
US20080197756A1 (en) Tool Bag with Attached Compartment
US20160242519A1 (en) Convertible container assembly
WO1990008631A1 (en) Carriers for hand tools or the like
US6702168B2 (en) Modular personal container
WO2002092457A3 (en) Container carrier
KR200231971Y1 (en) tool bag
EP2048984B1 (en) Lunch box transforming into a placemat
US10272938B2 (en) Shopping cart accessory pouch
CA101682S (en) Bulk bag
US4340985A (en) Mechanic's tool box and head rest
USD513549S1 (en) Device for filling a bag with packing materials
US9210975B2 (en) Laptop saddlebag
KR20040106204A (en) Backpack
CN114246407A (en) Multifunctional equipment
USD465328S1 (en) Case for a camera and accessories
WO2003092430A1 (en) Interior storage structure for bags
WO2013084239A1 (en) Tool cad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