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388Y1 -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 Google Patents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88Y1
KR200231388Y1 KR2020010003889U KR20010003889U KR200231388Y1 KR 200231388 Y1 KR200231388 Y1 KR 200231388Y1 KR 2020010003889 U KR2020010003889 U KR 2020010003889U KR 20010003889 U KR20010003889 U KR 20010003889U KR 200231388 Y1 KR200231388 Y1 KR 200231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lid
bed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무
Original Assignee
임헌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무 filed Critical 임헌무
Priority to KR2020010003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88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하나의 프레임내에 복수개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수납부상에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상태에서 침대프레임 상부에 매트리스를 올려 놓음으로써 외관상 수납부를 은폐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10)을 제 1 프레임(12)과 제 2 프레임(14)으로 분리 형성하고 이 제 2 프레임(14)내에 수납부(20)를 형성하되 이 수납부(20) 중앙에 칸막이(22)를 설치하고 수납부(20) 상단에 개폐식 뚜껑(16)을 거치하며 각각의 뚜껑(16) 중앙에 뚜껑(16)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18)를 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Bed frame with cap}
본 고안은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하나의 프레임내에 복수개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수납부상에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상태에서 침대프레임 상부에 매트리스를 올려 놓음으로써 외관상 수납부를 은폐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서구식 주거문화의 한 형태로 동양적인 문화권에 유입되어서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침대는 안정된 스프링의 규션성과 이를 감싸는 침대커버 등의 우아함과 멋스러운 디자인이 서로 조화되어서 수면시 사용자에게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쾌적한 수면을 유지하며 실내의 공간 장식물로써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는 대부분 나무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의 상단에 놓여지는 외면이 직물로 둘러쌓여져 있고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규션을 갖도록 형성된 매트리스와, 이 매트리스를 덮는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한 매트리스 커버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침대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침대프레임은 침대프레임 일측에 서랍식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이 수납공간에 물건들을 수납하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안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서랍식 수납공간이 외관상 눈에 띄는 위치에 구비되어 손쉽게 서랍을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물건이나 타인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물건 등을 수납하게 되면 누군가 서랍을 열어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 다른 용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과민에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대프레임을 복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하나의 프레임내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프레임 상단에 복수개의 개폐식 뚜껑을 구비함으로써 더 많은 수납공간의 확보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침대프레임상에 매트리스가 올려지므로 수납부의 파악이 쉽지 않아 귀중한 물건을 수납하여도 안심하고 외출하거나 다른 용무를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제 1 프레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랍식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프레임 내부 중앙에 칸막이를 형성하고 칸막이 좌·우로 수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납부상에 개폐식 뚜껑을 구비하고 이 각각의 뚜껑 중앙부에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를 천공한 침대프레임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대프레임 (12) : 제 1 프레임
(14) : 제 2 프레임 (16) : 개폐식 뚜껑
(18) : 개폐구 (20) : 수납부
(22) : 칸막이 (24) : 서랍식 수납공간
(26) : 볼트 체결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를,
도 2 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침대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10)을 제 1 프레임(12)과 제 2 프레임(14)으로 분리 형성하고 이 제 1 프레임(12)에는 통상적으로 일측에 서랍식 수납공간(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프레임(12) 측부에 제 2 프레임(14)을 밀착시킨다.
상기, 제 2 프레임(14)내에 수납부(20)를 형성하되 이 수납부(20) 중앙에 칸막이(22)를 설치하고 수납부(20) 상단에 개폐식 뚜껑(16)을 거치하며 각각의 뚜껑(16) 중앙에 뚜껑(16)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18)를 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2)과 제 2 프레임(14)을 앞·뒤로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볼트 체결홈이고, (28)은 매트리스이며, (30)은 침대헤드, (32)는 고정판, (34)는 볼트이다.
상기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상기, 침대프레임(10)을 조립시 제 1 프레임(12)과 제 2 프레임(14)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2,14) 좌·우측에 침대헤드(30)와 고정판(32)을 볼트(34)로 볼트 체결홈(26)에 고정한다.
상기, 침대프레임(10)을 조립하여 침대프레임(10)에 구비된 통상적인 제 1 프레임(12)의 서랍식 수납공간(24)내에 물건들을 수납하고 침대프레임(10)상에 놓여있는 매트리스(28)를 제 2 프레임(14)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개폐구(18)를 사용하여 개폐식 뚜껑(16)을 제 2 프레임(14)에서 들어올려 수납부(20)내에 사용빈도가 적거나 귀중한 물건들을 수납한다.
상기의 물건 수납이 완료되면 뚜껑(16)을 원상태인 제 2 프레임(14)상에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매트리스(28)를 올려놓는다.
그리하여, 개폐식 뚜껑(16)이 매트리스(28)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뚜껑(16)이 은폐되어 외관상 수납공간을 파악하지 못하게 되므로 비밀유지 및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침대프레임은 부피가 크고 무거우므로 한 사람이 운반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두 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은 제 1 프레임(12)과 제 2 프레임(14)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혼자서도 운반이 용이하여 침대 위치를 쉽게 바꿔 방 내부 구조 및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을 제 1, 2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하나의 프레임에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각각의 수납부상에 개폐구가 천공되어 있는 개폐식 뚜껑을 구비하므로 수납부에 물건을 수납함으로써 더 많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관상 밀폐되게 수납이 가능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과 그로 인해 귀중한 물건을 수납하여도 신경쓰지 않고 편안하게 다른 용무를 볼 수 있으므로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침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을 일측에 서랍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 1 프레임과 이 제 1 프레임 측부에 제 2 프레임을 밀착되게 형성하고 제 2 프레임 내부 중앙에 칸막이를 구비하며 이 칸막이 좌·우로 수납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납부 상단에 개폐식 뚜껑을 거치하며 상기, 각각의 뚜껑 중앙에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를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어 앞·뒤로 교체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KR2020010003889U 2001-02-16 2001-02-16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KR200231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89U KR200231388Y1 (ko) 2001-02-16 2001-02-16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89U KR200231388Y1 (ko) 2001-02-16 2001-02-16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388Y1 true KR200231388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889U KR200231388Y1 (ko) 2001-02-16 2001-02-16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943A (ko) * 2017-02-01 2018-08-10 주식회사 대명크렌시아 침대 등판 경사 조절이 가능한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943A (ko) * 2017-02-01 2018-08-10 주식회사 대명크렌시아 침대 등판 경사 조절이 가능한 침대
KR101965657B1 (ko) * 2017-02-01 2019-04-04 주식회사 대명크렌시아 침대 등판 경사 조절이 가능한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4898A (en) Convertible suitcase
US6361130B1 (en) Storage cabinet
US4252387A (en) Storage chest with hidden compartment
KR200231388Y1 (ko)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
KR20170103338A (ko) 개량형 붙박이장
US445400A (en) Convertible trunk or wardrobe
KR200331590Y1 (ko) 가구의 비밀서랍 구조
KR200212411Y1 (ko)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
JP2006129919A (ja) ロッカー
KR200293700Y1 (ko) 수납장이 구비된 침대
KR200493042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침대 프레임
KR200188098Y1 (ko) 장신구의 부착이 용이한 장롱 문짝의 구조
KR200236345Y1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US4043480A (en) Cover with spring opened lid
CN211911238U (zh) 一种具有藏物功能的西装衣架
CN214258520U (zh) 化妆品收纳柜
CN217743601U (zh) 蝶形门组件及包括其的浴室柜
KR20090063777A (ko) 가구용 뚜껑
KR200252530Y1 (ko) 거실장
KR200312759Y1 (ko) 다단식 신발장커버
KR200403106Y1 (ko) 장식물 보관부가 구성된 서랍장
CN207236457U (zh) 一种可升降柜子
KR200280323Y1 (ko) 가구용 서랍
JPH05344921A (ja) ベッド付家具
KR920004006Y1 (ko) 가구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