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75Y1 -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 Google Patents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75Y1
KR200231275Y1 KR2020010004433U KR20010004433U KR200231275Y1 KR 200231275 Y1 KR200231275 Y1 KR 200231275Y1 KR 2020010004433 U KR2020010004433 U KR 2020010004433U KR 20010004433 U KR20010004433 U KR 20010004433U KR 200231275 Y1 KR200231275 Y1 KR 200231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data line
housing
typ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넷
Priority to KR2020010004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7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RJ45 모듈러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며,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쌍의 RJ45 모듈러 잭(120)과; 하우징(110)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120)중 각 쌍의 RJ45 모듈러 잭(120)의 각각의 핀간을 일대일 접속방식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RJ45 모듈러 잭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누구든지 공급측의 데이터라인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배선되어 있는 배선라인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급측의 데이타라인을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CONNECTOR OF DATA LINE ADOPTING RJ45 MODULAR-TYPE}
본 고안은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타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J45 모듈러 플러그를 사용함으로써 공급측의 데이터라인과 사용자가 원하는장소에 배선되어 있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급측의 데이타라인을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의 보급율의 급증으로 인해 한세대 내에서도 다수의 장소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재 시공되는 건물내에서도 시공 초기부터 한세대 내의 공급되는 데이터라인을 인출하여 각각의 방으로 배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으로부터 한세대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하여 공급측의 테이터라인을 다수의 방으로 배선하여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커넥팅 블럭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팅 블록중 와이어의 심선을 단자의 외주에 감아 고정시키는 래핑방식은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해야 하고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IDC (Interconnect Displacement Connection) 타입의 커넥팅 블록의 사용이 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110형 IDC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10형 IDC 블록은, 단자함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10)과,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접속단자(20)와, 복수의 접속단자(20)를 고정하는 고정블록(3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블록(10)은 양단에 결합홀(11)을 형성하며, 이 결합홀(11)에 볼트(B)를 사용하여 단자함에 결합되며, 베이스블록(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접속단자(20)가 양측으로 2열로 배열된다.
접속단자(20)는 그 일단에 와이어접속홈(21)을 형성하며, 이 와이어접속홈(21)의 중간에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커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20)는 고정블록(30)에 의해 베이스블록(10)에 고정된다.
고정블록(30)은 2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고정블록(30)은 하측으로 접속단자(20)를 삽입하여 베이스블록(10)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블록(30)은 그 상측으로 와이어삽입홈(31)을 형성한다.
와이어삽입홈(31)은 내측에 삽입된 각각의 접속단자(20)의 와이어접속홈(21)에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110형 IDC 블록에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해 작업자는 소정의 작업공구를 사용하여 공급측의 데이터라인 또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의 와이어를 와이어삽입홈(31)에 압입한다. 압입된 와이어는 와이어삽입홈(31)을 따라 와이어접속홈(21)에 삽입되고, 와이어접속홈(21)에 형성된 커터에 의해 와이어의 피복이 절단되고, 피복이 절단되어 노출된 동선이 와이어접속홈(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110형 IDC 블록은 공급되는 데이타라인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점퍼선이 사용되는데,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110형 IDC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1)이 연결된 접속단자(20) 에 다수의 점퍼선(2)을 연결시킨후 이 점퍼선(2)을 타측에 위치한 접속단자(20)에 연결시킨다. 이 때 다수의 점퍼선(2)은 필요한 인출선의 와이어에 상응하는 갯수에해당하는 접속단자(20)의 에 각각 연결시키고, 점퍼선(2)에 의해 연결된 접속단자(20)에 필요한 인출선(3a,3b,3c,3d)을 각각 연결한다.
또한, 110형 IDC 블록으로부터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110형 블럭에 사용되는 패치코드(patch cord)를 사용하여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을 각각의 방으로 인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110형 IDC 블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와이어를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작업공구를 사용해야 하며, 특히, 공급되는 데이터라인을 인출할 경우 별도의 점퍼선을 접속단자에 일일이 접속해야 하므로 인출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둘째,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장소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인출선 또는 패치코드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데, 인출선 또는 패치코드의 변경이 많을 수록 110형 IDC 블록이나 패치코드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품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RJ45 모듈러 잭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누구든지 공급측의 데이터라인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배선되어 있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급측의 데이타라인을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RJ45 모듈러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쌍의 RJ45 모듈러 잭과; 하우징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중 각 쌍의 RJ45 모듈러 잭의 각각의 핀간을 일대일 접속방식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110형 IDC 블록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110형 IDC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의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11 : 플랜지
112 : 체결홀 120 : RJ45 모듈러 잭
130 : 인쇄회로기판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는 하우징(110)과,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120)과, 인쇄회로기판(13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내에는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120)이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120)이 상.하로 한 쌍으로 하여 복수쌍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10)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도록 그 양측면이 하방(下方)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양측면의 끝단에 체결홀(112)이 구비된 플랜지(11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함 또는 일정 장소에 RJ45 모듈러 타입의 전화단자대를 설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설치면의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고, 단자함이 외부에 위치할 경우 폭우로 인해 단자함의 저면에 빗물이 고이더라도 빗물 등이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체결홀(112)에 볼트나 나사 등을 삽입하여 설치면에 설치한다.
RJ45 모듈러 잭(120)의 각각의 핀은 하우징(110) 내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30)에 의해 연결되는데,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의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은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중 각 쌍의 RJ45 모듈러 잭의 각각의 핀간을 일대일 접속방식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타단자대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한세대 내의 각 방에 배선되어 있는 다수의 인출측의 데이터라인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RJ45 플러그를 복수쌍의 RJ45 모듈러 잭(120)중 한 쌍에 하나씩 연결한다.
복수의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이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의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120)중 한 쌍에 하나씩 연결되면 사용자가 사용을 하고자 하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의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연결된 RJ45 모듈러 잭(120)과 쌍을 이루는 RJ45 모듈러 잭(120)에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의 RJ45 모듈러 플러그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이 배선되어 있는 어느 장소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을 증설할 경우 증설된 공급측의 데이터라인의 RJ45 모듈러 플러그를 역시 사용하고자 하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의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연결된 RJ45 모듈러 잭(120)과 한 쌍을 이루는 RJ45 모듈러 잭(120)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히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증설된 데이터라인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는 RJ45 모듈러 잭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누구든지 공급측의 데이터라인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배선되어 있는 인출측의 데이터라인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급측의 데이타라인을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RJ45 모듈러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상기 RJ45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쌍의 RJ45 모듈러 잭과;
    상기 하우징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쌍의 RJ45 모듈러 잭중 각 쌍의 RJ45 모듈러 잭의 각각의 핀간을 일대일 접속방식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도록 그 양측면이 하방(下方)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양측면의 끝단에 체결홀이 구비된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J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KR2020010004433U 2001-02-21 2001-02-21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KR200231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433U KR200231275Y1 (ko) 2001-02-21 2001-02-21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433U KR200231275Y1 (ko) 2001-02-21 2001-02-21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75Y1 true KR200231275Y1 (ko) 2001-07-19

Family

ID=7309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433U KR200231275Y1 (ko) 2001-02-21 2001-02-21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388A (en) Wiring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s for building wiring
US6682363B1 (en)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US5658166A (en) Modular coupler arrangement for use in a building wiring distribution system
US4261633A (en) Wiring module for telephone jack
US8758047B2 (en) Port replication assembly with adapter cabl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525255B2 (en) Low profile faceplate having managed connectivity
JP2005516354A (ja) パッチプラグ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CN2537151Y (zh) 组合式电连接器
US5649829A (en) Low profile distribution adapter for use with twisted pair cables
US5893763A (en) Transition adapter for conductor cables
KR200231275Y1 (ko)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데이터단자대
KR200231274Y1 (ko)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전화단자대
KR200198602Y1 (ko) 양쪽에서 가변접속이 가능한 모듈러 카풀러의 조합
JP3357304B2 (ja) 通信回線用中継分岐端子板
JPS62136782A (ja) 8導体モジユ−ラプラグ
CN219436196U (zh) 一种组合式排插
KR200360782Y1 (ko) 다기능 커플러
KR200373936Y1 (ko) Idc 연결 방식을 이용한 스플리터와 보호기의 연결구조
KR200311814Y1 (ko) 티형 멀티잭
KR100498161B1 (ko) 다목적 idc 형 커넥팅 블록
KR100685510B1 (ko) 접속커버를 구비한 모듈라 잭
KR100332489B1 (ko) 단자 블록
KR200275454Y1 (ko) 컨넥팅 장치
KR20040035624A (ko) 다기능 커플러
JPH0743955Y2 (ja) 集中結線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