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87Y1 - 오수 정화조 - Google Patents

오수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87Y1
KR200231087Y1 KR2020010004831U KR20010004831U KR200231087Y1 KR 200231087 Y1 KR200231087 Y1 KR 200231087Y1 KR 2020010004831 U KR2020010004831 U KR 2020010004831U KR 20010004831 U KR20010004831 U KR 20010004831U KR 200231087 Y1 KR200231087 Y1 KR 200231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pipe
sepa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익
Original Assignee
이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익 filed Critical 이규익
Priority to KR2020010004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87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기름등)과 비유물들을 오수가 정화되기 전에 우선 어느정도 제거 또는 분해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오수의 정화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하고 여재의 수명도 보다 연장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즉, 통상적인 정화조에 있어서, 폭기조 외측으로 분리조를 형성하여 그 중심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부유관을 종설하고 상기 부유관 중앙부 둘레와 끝단부 각각에는 격판과 하단에 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삿갓형 분리판을 형성하여 분리조를 제1분리실 및 제2분리실 그리고 배출홈과 집수통을 가진 배출실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격판과 분리판 사이의 부유관 둘레에는 상측이 배출홈과 연통되면서 여과재가 충진되는 일정크기의 여과실을 형성하여 그 내부를 저면의 공급공으로 제2분리실과 연통되도록 하고 부유관 내부 중앙부에는 유입관이 상단부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되는 공급관을 종설하며 그 상측으로는 침전조의 회수관 일단을 도입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오수 정화조{SEWAGE SEPTIC TANK}
본 고안은 오수 정화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정화조 일측에 분리조를 구성하여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기름등)과 비유물들을 오수가 정화되기 전에 우선 어느정도 제거 또는 분해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오수의 정화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하고 여재의 수명도 보다 연장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라함은 물보다 무겁고 가벼운 여러종류의 부유물과 비유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폐수를 일컫는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오수를 정화조의 유량조정조에 곧바로 투입시켜 정화하였으므로 통상적인 정화조로는 B.O.D농도가 극히 낮은 수질로 오수를 정화할수 없는 폐단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시한번 정화하거나 아니면 정화조내의 정화구조를 개선하여야 하지만 이와같은 것들은 정화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동반하였으며 또한 오수가 아무런 여과 장치없이 정화실을 곧바로 통과하게 되면 오수중의 부유물들은 여재에만 의존되어 여과되게 되는데 이는 여재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은 물론 여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본 고안은 위와같이 오수를 정화함에 있어 나타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과 비유물들을 우선 어느정도 제거 또는 분해 할수있는 정화조를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선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J : 정화조 U : 유량조정조
P,P' : 폭기조 C : 침전조
C1 : 회수관 Y,Y' : 여재
B : 분리조 B1 : 제1분리실
B2 : 제2분리실 B3 : 여과실
B31 : 공급공 B4 : 배출실
10 : 부유관 11 : 격판
112 : 배출홈 113 : 집수통
114 : 투입관 12 : 분리판
121 : 유입공 21 : 공급관
31 : 유입관 41 : 여과재
유량조정조(U)와; 한개이상의 폭기조(P)(P')와; 침전조(C)가 차례로 구성되고 폭기조(P)(P')에는 여재(Y)(Y')가 설치되는 정화조(J)에 있어서, 폭기조(P)(P')외측으로 분리조(B)를 형성하여 그 중심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부유관(10)을 종설하고 상기 부유관(10) 중앙부 둘레와 끝단부 각각에는 격판(11)과 하단에 수개의 유입공(121)이 형성되는 삿갓형 분리판(12)을 형성하여 분리조(B)를 제1분리실(B1) 및 제2분리실(B2) 그리고 배출실(B4)로 분리 구성하되, 격판(11) 상면에 배출홈(112)을 소용돌이형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집수통(113)을 형성한 후 투입관(114)으로 유량조정조(U)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격판(11)과 분리판(12) 사이의 부유관(10) 둘레에는 상측이 배출홈(112)과 연통되면서 여과재(41)가 충진되는 일정크기의 여과실(B3)를 형성하여 그 내부를 저면의 공급공(131)으로 제2분리실(B2)과 연통되도록 하고 부유관(10) 내부 중앙부에는 유입관(31)이 상단부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되는 공급관(21)을 종설하며 그 상측으로는 침전조(C)의 회수관(C1) 일단을 도입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오수를 유입관(31)으로 유입시키면 유입되는 오수는 공급관(21)을 통해 분리조(B)의 제1분리실(B1)로 저수될 때 제1분리실(B1)로 저수되는 오수중의 부유물(기름등)들은 삿갓형 분리판(12)의 경사주벽에 안내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부유관(10) 상단으로 부상하게 됨은 물론 오수중의 비부유물들은 제1분리실(B1)에 침전된 후 무산소 분해되게되고 이렇게 부유물과 비유물들이 부상 또는 무산소분해에 의해 어느정도 제거된 오수는 삿갓형 분리조(B)하단의 유입공(121)을 통해 제2분리실(B2)로 유입된 다음 여과실(B3) 저면의 공급공(131)과 여과재(41)를 거쳐 배출실(B4)로 공급되게 되고 배출실(B4)로 공급되는 오수는 소용돌이형 배출홈(112)에 의해 일측의 집수통(113)으로 집수되면서 외측의 투입관(114)을 통해 유량조정조(U)로 투입되게 된다.
즉, 외부와 연통되는 부유관(10) 상단으로 오수의 부유물들이 부상하므로 부유물들의 인위적인 제거가 가능케됨은 물론 오수에 포함된 비부유물들도 제1분리실(B1)에 침전된 후 무산소분해 되며 또한 오수가 제1분리실(B1)로 저수된 후 분리판(12)하단의 유입공(121)에만 의존하여 제2분리실(B2)로 유입되기 때문에 유입속도가 상당히 느려지게되어 오수중의 비유물들 침전효과가 극대화 되게된다.
또한 부유관(10)내부 일측에 침전조(C)의 회수관(C1)일단이 도입되어 있으므로 분리조(B)에서 제거 또는 분해되지 않은 침전조(C)의 침전물을 부유관(10)으로 회수하여 침전물을 또 다시 무산소분해 또는 제거 할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정화하고자 하는 오수중의 부유물들과 비유물들이 오수가 유량조정조(U)에 투입되기전에 유량조정조(U) 외측의 분리조(B)에 의거하여 제거 또는 무산소분해됨은 물론 또 다시 여과실(B3)에 의해 여과된 후 유량조정조(U)에 배출홈(112)을 통해 투입되어 정화되므로 다시 말해서, 오수가 어느정도 여과된 상태가 된 다음 정화되므로 오수를 B.O.D농도가 극히 낮은 수질로 정화할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부유물로 인해 폭기조(P)(P')의 여재(Y)(Y')가 막히거나 손상되는것이 방지되어 여재(Y)(Y')의 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장점도 있으며 또 분리조(B)와 외측의 유량조정조(U)와 연통되도록 하여 부유물의 여과공정과 오수의 정화공정이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오수 정화를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할수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유량조정조(U)와; 한개이상의 폭기조(P)(P')와; 침전조(C)가 차례로 구성되고 폭기조(P)(P')에는 여재(Y)(Y')가 설치되는 정화조(J)에 있어서,폭기조(P)(P') 외측으로 분리조(B)를 형성하여 그 중심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일정길이의 부유관(10)을 종설하고 상기 부유관(10) 중앙부 둘레와 끝단부 각각에는 격판(11)과 하단에 수개의 유입공(121)이 형성되는 삿갓형 분리판(12)을 형성하여 분리조(B)를 제1분리실(B1) 및 제2분리실(B2) 그리고 배출실(B4)로 분리 구성하되, 격판(11) 상면에 배출홈(112)을 소용돌이형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집수통(113)을 형성한 후 투입관(114)으로 유량조정조(U)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격판(11)과 분리판(12) 사이의 부유관(10) 둘레에는 상측이 배출홈(112)과 연통되면서 여과재(41)가 충진되는 일정크기의 여과실(B3)을 형성하여 그 내부를 저면의 공급공(131)으로 제2분리실(B2)과 연통되도록 하고 부유관(10) 내부 중앙부에는 유입관(31)이 상단부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되는 공급관(21)을 종설하며 그 상측으로는 침전조(C)의 회수관(C1)일단을 도입 하여서된 오수 정화조.
KR2020010004831U 2001-02-23 2001-02-23 오수 정화조 KR200231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31U KR200231087Y1 (ko) 2001-02-23 2001-02-23 오수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31U KR200231087Y1 (ko) 2001-02-23 2001-02-23 오수 정화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007A Division KR100463568B1 (ko) 2001-11-12 2001-11-12 오수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087Y1 true KR200231087Y1 (ko) 2001-07-03

Family

ID=7306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831U KR200231087Y1 (ko) 2001-02-23 2001-02-23 오수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0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669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device
CN103787527A (zh) 一种含油污水气浮悬浮层过滤装置
CA2237491A1 (en)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EP1494525B1 (en)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water in fish farming
JP2002126788A (ja) 懸濁液の処理装置
KR100815248B1 (ko) 응집-여과 일체형 하향식 정화처리장치
KR100463568B1 (ko) 오수 정화조
KR200231087Y1 (ko) 오수 정화조
CN206553347U (zh) 一种磁加载沉淀过滤净化系统
JPH0663321A (ja) 傾斜板式沈殿槽
CN109502802A (zh) 一种一体化净水器
RU20433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4702150A (zh) 一种用于中小型海水淡化厂的高浊含油海水的预处理系统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JP2003265905A (ja) 凝集沈殿装置
US2585808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JPH07214047A (ja) 浄水処理装置
KR100323852B1 (ko) 현탁물질제거 및 난분해성 물질제거장치
CN216687734U (zh) 浮动分离净水器
JPH10202010A (ja) 水処理装置
CN219950631U (zh) 一种污水治理过滤用沉淀池
RU195743U1 (ru) Безнапор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рыбоводных систем
CN214528427U (zh) 一种金属发黑废水处理装置
CN214299400U (zh) 一种用于罐底泥的油水分离罐
KR100336819B1 (ko) 역세척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