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842Y1 -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842Y1
KR200230842Y1 KR2019980005106U KR19980005106U KR200230842Y1 KR 200230842 Y1 KR200230842 Y1 KR 200230842Y1 KR 2019980005106 U KR2019980005106 U KR 2019980005106U KR 19980005106 U KR19980005106 U KR 19980005106U KR 200230842 Y1 KR200230842 Y1 KR 200230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frame
compressor
cent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025U (ko
Inventor
조중창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2019980005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8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842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는 암나사공이 구비된 실린더 장착부가 형성되며, 실린더 장착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실린더가 나사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에 나사 결합된 실린더의 내부에는 보어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실린더 보어의 중심간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도록 수행되는 고정밀도의 가공작업이 단순화됨과 아울러, 크랭크 샤프트와 실린더 보어의 중심간의 각도가 항상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과 실린더의 결합 작업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피스톤에 의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작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압축기의 성능 향상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MAIN FRAME FOR COMPRESSOR}
본 고안은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조립 방법을 개선하여 생산성 향상 및 압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한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용기(1)(2)의 내부에 고정자(3)와 회전자(4)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부(5)와, 상기 회전자(4)의 중앙에 압입 고정된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 동작에 의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토출시키는 압축 기구부(7)로 구분할 수 있다.
전술한 압축 기구부(7)는 냉매의 흡입 공간을 이루는 하부 용기(2)에 고정되며 실린더(8)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9)과, 크랭크 샤프트(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 보어(8a)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10)과, 실린더(8)의 단부에 복개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11)와, 상기 실린더(8)와 실린더 헤드(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를 실린더 보어(8a)의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압축 냉매를 토출시키는 밸브장치(12) 등을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10)은 커넥팅 로드(13)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6)와 연결되어 실린더 보어(8a)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 압축 그리고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6)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자(4)의 하부에는 회전자(4)를 지지하는 베어링(9a)이 배치되며, 이 베어링은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타입과 메인 프레임(9)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입 등이 있다.
베어링(9a)이 메인 프레임(9)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입에 있어서는 크랭크 샤프트(6)와 피스톤(10)의 연결을 위해서 실린더(8)를 메인 프레임(9)과 개별로 형성한 후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메인 프레임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9a)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9) 내부의 소정 위치 2개소에는 하측이 개방된 볼트홈(9b)이 형성되며, 실린더(8)의 상단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랜지(8b)가 일체로 구비되고, 플랜지(8b)의 좌우 양측에는 볼트홈(9b)과 연통되는 볼트공(8c)이 각각 구비되어 볼트홈(9b)과 볼트공(8c)을 관통하는 볼트(20)가 체결된다.
이 때, 베어링(9a)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8a)의 중심간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어야 피스톤(10)의 직선 왕복 운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며, 아울러,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3)와 회전자(4)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자(4)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자(4)에 결합된 크랭크 샤프트(6)가 회전하게 된다.
크랭크 샤프트(6)에는 커넥팅 로드(13)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 로드(13)의 단부에 결합된 피스톤(10)이 실린더 보어(8a)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여 통상적인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9a)은 크랭크 샤프트(6)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4)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과 실린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실린더(8)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메인 프레임(9)과 실린더(8)의 체결면이 평탄하여야 함은 물론, 전체적인 면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볼트홈(9b)과 볼트공(8c)의 위치와 치수가 정확 및 일치되어야 하는데 그 작업이 고정밀도를 요구하여 가공 작업이 번거로워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각 부품의 가공 및 결합시 불량이 발생하여 메인 프레임(9)과 실린더(8)의 체결면이 굴곡이 지거나 또는, 볼트홈(9b)과 볼트공(8c)의 위치 및 치수가 맞지 않게 되면 베어링(9a)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8a)의 중심간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10)이 정상적인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어링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의 중심간의 각도를 직각으로 맞추기 위한 고정밀도의 작업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어링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의 중심간의 각도가 항상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피스톤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성능 향상 및 효율을 증대시키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베어링 일체형 메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일체형 메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8 : 실린더 81 : 나사부
82 : 플랜지 83 : 체결홈
9 : 메인 프레임 9a : 베어링
91 : 실린더 장착부 92 : 암나사공
93 : 플랜지 안착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 프레임에 실린더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실린더의 내부에 보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보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구조는, 베어링(9a)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9)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실린더 장착부(91)가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장착부(91)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경과 깊이를 갖는 암나사공(92)이 구비되고, 암나사공(92)에는 외주면에 나사부(81)가 형성된 실린더(8)가 나사 결합된다.
실린더 장착부(91)의 단부에는 플랜지 안착홈(93)이 형성되며, 실린더(8) 단부의 외주연에는 플랜지 안착홈(93)에 안착되는 플랜지(82)가 일체로 구비되고, 플랜지(82)의 외주연에는 반원형의 파지홈(83)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실린더(8)는 주철로 만들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9)에 고정된 실린더(8)의 내부에는 베어링(9a)의 중심과 직각이 이루어지도록 실린더 보어(8a)가 가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구조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8)의 파지홈(83)에 치구를 삽입하여 잡은 후 실린더(8)를 메인 프레임(9)의 암나사공(92)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린더(8)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암나사공(9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8)를 장착한 후, 실린더 보어(8a)의 중심선과 베어링(9a)의 중심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실린더 보어(8a)를 가공한다.
따라서, 실린더(8)의 결합시 베어링(9a)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8a)의 중심각을 직각으로 맞추기 위하여 종래에는 메인 프레임과 실린더의 체결면을 가공하는 작업 및 메인 프레임의 볼트홈과 실린더의 볼트공의 치수 및 위치를 일치시켜야 하는 작업 등과 같이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9)에 결합된 실린더(8)에 실린더 보어(8a)를 가공하는 한번의 작업을 통해 베어링(9a)의 중심과 실린더(8) 보어(8a)의 중심간의 각도를 직각으로 맞출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작업의 공정수가 감소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실린더 보어가 가공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실린더의 결합시 크랭크 샤프트와 실린더 보어간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지 않는 불량이 발생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9)과 실린더(8)가 결합된 상태에서 실린더 보어(8a)가 가공되어 베어링(9a)과 실린더 보어(8a)의 중심 각도가 항상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과 실린더의 결합시 베어링과 실린더 보어의 중심 각도를 직각으로 맞추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의 중심과 실린더 보어간의 각도가 항상 직각을 이루게 되어 피스톤의 직선 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수행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압축기의 성능 향상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베어링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에 실린더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실린더의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실린더 장착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 장착부의 내부에는 암나사공을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부가 형성된 실린더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실린더 장착부의 단부에는 플랜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플랜지 안착홈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외주연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메인 프레임 구조.
KR2019980005106U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KR200230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06U KR200230842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06U KR200230842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25U KR19990039025U (ko) 1999-11-05
KR200230842Y1 true KR200230842Y1 (ko) 2002-02-19

Family

ID=6951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06U KR200230842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8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459B1 (ko) * 2017-09-25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25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551B2 (ja) 2気筒回転式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CA2317157C (en) Reversibl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135727A (en) Detachably affixed counterweight and method of assembly
KR200230842Y1 (ko) 압축기의메인프레임구조
CA2087581C (en) Eccentric crank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piston air compressor
EP2204585B1 (en) Fastening member and rotary compressor
US5881631A (en) Connection between a piston and connecting rod of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82917B1 (ko) 압축기의 부품 가공조립방법
JPH0144791Y2 (ko)
KR19980034707A (ko) 압축기의 컨넥팅 로드와 피스톤 결합 구조
KR100275194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US20040035244A1 (en) Crankshaf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930011362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실린더 내경 가공방법
KR101444784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020026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베어링 구조
KR0133845Y1 (ko) 전동식 공기압축기의 캠구조
KR0182538B1 (ko) 압축기용 피스톤핀의 조립구조
CN1089137C (zh) 密封式压缩机的轴承连接结构
KR20017344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블록 고정구조
KR100202881B1 (ko) 밀폐형 압축기 스테이터 조립치구
KR200145375Y1 (ko) 연결로드와 피스톤을 갖춘 왕복동형 압축기
KR016247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와 베어링 체결장치
KR100249077B1 (ko) 압축기 모터용 로터 압입구조
JPS63295877A (ja) シヤフト
KR19990038423U (ko) 압축기의 베어링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