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754Y1 - 손목시계 - Google Patents

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754Y1
KR200230754Y1 KR2020010003933U KR20010003933U KR200230754Y1 KR 200230754 Y1 KR200230754 Y1 KR 200230754Y1 KR 2020010003933 U KR2020010003933 U KR 2020010003933U KR 20010003933 U KR20010003933 U KR 20010003933U KR 200230754 Y1 KR200230754 Y1 KR 200230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center
coupling
movement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곤
Original Assignee
고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곤 filed Critical 고영곤
Priority to KR2020010003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754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 손목시계의 가시부를 시계의 양면에 마련함으로써, 한개의 손목시계로 두개의 손목시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양면 가시부가 마련된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 무브먼트가 내재되는 센터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2벤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는 손목시계에 있어서, 센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센터의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무브먼트와, 제 무브먼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센터의 타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무브먼트와; 센터의 외면 일측과 타측에 제 1, 2벤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손목시계의 상면 및 하면에 독립적인 무브먼트를 내재하고, 각 무브먼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별도의 다이알판을 마련하여, 시계의 앞면 및 뒷면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번갈아 가면서 착용함으로 한 개의 시계로로 2가지의 형상의 시계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목시계{wrist watch}
본 고안은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시계의 가시부를 시계의 양면에 마련함으로써, 한개의 손목시계로 두개의 손목시계의 효과를 나타낼수 있는 양면 가시부가 마련된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손목시계는 시계 본체의 일면에 내재되어 시침, 분침, 초침 등이 결합되는 무브먼트(movement)가 구비된 센터부가 마련되고, 센터부의 일측 및 타측에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는 한쌍의 벤드가 마련된다.
이러한 손목시계는 사용자의 손목에 거치된 후, 각 벤드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손목시계는 센터부와 벤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손목 시계를 착용하다가 사용자가 싫증을 느끼게 되면 착용하던 손목시계의 각 부분을 교체하거나, 착용하던 손목 시계를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손목시계를 구입함으로 별도의 구입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손목시계는 항상 시계의 일면만을 사용함으로 오랜 기간 시계를 사용하다보면 사용자의 쉽게 식상함은 물론이거니와 시계를 착용하는 장소에 따른 제약 등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목시계의 앞면 및 뒷면에 독립적인 무브먼트를 내재하고, 각 무브먼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별도의 다이알판을 마련하여, 시계의 앞면 및 뒷면을 사용할 수 있는 손목시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밴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손목 밴드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터 12a, 12b : 제 1, 2무브먼트
14 : 케이스 22 : 오목결합부
30 : 볼록결합부 40a, 40b : 제 1, 2밸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무브먼트가 내재되는 센터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2벤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는 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센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상기 센터의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무브먼트와, 상기 제 무브먼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센터의 타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무브먼트와; 상기 센터의 외면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 1, 2벤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센터의 측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홀의 일측과 타측이 돌출되어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2돌출부가 형성된 결합면이 마련된 오목결합부와; 일측이 상기 오목결합부의 결합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오목고정부의 결합홀에 대응하는 이송홀이 마련된 볼록 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의 이송홀을 통과하여 상기 오목결합부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볼록결합부와 상기 결합수단의 사이에 상기 볼록 결합부를 상기 오목결합부에 밀착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시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밴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손목 밴드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는 상면과, 하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시침, 분침, 초침 등이 마련된 센터부(10)와, 센터부(10)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수단(10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고정되는 제 1, 2벤드(40a, 40b)가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부(10)는 시침, 분침, 초침 등이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1, 2무브먼트(12a, 12b)가 결합되는 케이스(14)와, 케이스(14)의 상, 하 내측에 결합되어 제 1, 2무브먼트(12a, 12b)에 결합된 시침, 분침, 초침 등이 가리키는 시간과 다양한 디자인의 문양 등이 음각, 양각 또는 인쇄된 제 1, 2다이알판(16a, 16b)과, 케이스(14)의 상, 하 외측에 결합되어 각 시침, 분침, 초침 등으로 보호하는 제 1, 2유리판(18a, 18b)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2무브먼트(12a, 12b)가 결합되는 케이스(14)에는 상기 제 1, 2무브먼트(12a, 12b)가 케이스(14)의 상, 하면으로 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2고정부(20a, 20b)가 마련되며, 제 1, 2고정부(20a, 20b)는 케이스(14)의 내부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각 제 1, 2무브먼트(12a, 12b)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2다이알판(16a, 16b)은 서로 다른 디자인 또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서로 다른 디자인 및 색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취향이나 손목시계를 착용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4)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제 1, 2벤드(40a, 40b)가 결합되는 회동수단(10a)이 마련된 제 1, 2벤드(40a, 40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수단(10a)은 상기 케이스(14)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오목결합부(22)와, 일측이 상기 오목결합부(22)에 결합되고, 타측에 제 1, 2벤드(40a, 40b)가 결합되는 볼록결합부(30)가 마련된다.
여기서, 오목결합부(22)는 중앙부에 볼록결합부(30)가 결합되는 결합홀(24)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볼록결합부(30)의 회전을 제한하는 다수의 제한돌기(26)가 마련된다.
그리고, 볼록결합부(30)는 일측이 상기 오목결합부(22)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면(31)이 마련되며 타측의 양면에는 각 벤드(40a, 40b)가 결합되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볼록결합부(3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오목결합부(22)의 결합홀(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홀(33)이 마련되어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34)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오목결합부(22)에 결합되는 볼록결합부(30)와 볼트체(34)의 사이에는 볼록결합부(30)를 탄성 지지하여 오목결합부(22)에 볼록결합부(30)의 결합면(31)을 밀착시키도록 인장스프링(35)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의센터부(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독립된 제 1, 2무브먼트(12a, 12b)를 내장시키고, 각 무브먼트(12a, 12b)의 상측에 서로 다른 디자인의 제 1, 2다이알판(16a, 16b)을 내착시키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센터부(10)를 회전시켜 상면과 하면을 번갈아 가면서 착용함으로 한개의 시계로 2가지의 형상의 시계를 착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손목시계의 상면 및 하면에 독립적인 무브먼트를 내재하고, 각 무브먼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별도의 다이알판을 마련하여, 시계의 앞면 및 뒷면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번갈아 가면서 착용함으로 한 개의 시계로로 2가지의 형상의 시계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브먼트가 내재되는 센터의 일측과 타측에 제 1, 2벤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는 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센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상기 센터의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무브먼트와, 상기 제 무브먼트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센터의 타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무브먼트와;
    상기 센터의 외면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 1, 2벤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센터의 측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홀의 일측과 타측이 돌출되어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2돌출부가 형성된 결합면이 마련된오목결합부와,
    일측이 상기 오목결합부의 결합면에 삽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상기 오목고정부의 결합홀에 대응하는 이송홀이 마련된 볼록 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의 이송홀을 통과하여 상기 오목결합부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볼록결합부와 상기 결합수단의 사이에 상기 볼록 결합부를 상기 오목결합부에 밀착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KR2020010003933U 2001-02-16 2001-02-16 손목시계 KR200230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3U KR200230754Y1 (ko) 2001-02-16 2001-02-16 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3U KR200230754Y1 (ko) 2001-02-16 2001-02-16 손목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754Y1 true KR200230754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33U KR200230754Y1 (ko) 2001-02-16 2001-02-16 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7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26B1 (ko) * 2016-05-11 2016-11-10 최인원 모기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26B1 (ko) * 2016-05-11 2016-11-10 최인원 모기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3933B2 (ja) 腕時計
US20070253290A1 (en) Modular wristwatch
ATE433579T1 (de) Uhrwerk mit anzeige durch zeigern
US20170045860A1 (en) Dual Time Watch and Watch Case Assembly
US20130088943A1 (en) Open-side bracelet with frame for watch
KR200230754Y1 (ko) 손목시계
KR200458582Y1 (ko) 원터치 착탈식 띠형 엘이디 손목시계
CN205374997U (zh) 一种旋转双表盘表
USD489018S1 (en) Watch face
KR100454764B1 (ko) 하부 뚜껑이 없는 본체 케이스와 보조 케이스로 조립된손목시계
JP2012211864A (ja) 腕時計
KR200346640Y1 (ko) 양면 손목시계
JP4674013B2 (ja) リバーシブル・ケースを有する腕時計
USD475647S1 (en) Outer watch face
CN220064637U (zh) 一种可替换腕表表壳表面的腕表
KR200270782Y1 (ko) 케이스 교체가 가능한 시계
KR200358738Y1 (ko) 나침반을 부설한 시계
US20020110050A1 (en) Interchangeable display timepiece
CN111417904B (zh) 具有多个隔室的人体工程学壳体
KR200330201Y1 (ko) 개선된 구조의 허리띠 버클
CN210691054U (zh) 磁吸拆换表圈式样结构
JP2003043165A (ja) バンド取付構造
KR100501226B1 (ko) 위치변환 기능을 갖는 시계
KR20110005986U (ko) 양손용 손목시계
KR200290584Y1 (ko)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