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454Y1 - 조립식 용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454Y1
KR200230454Y1 KR2020010001502U KR20010001502U KR200230454Y1 KR 200230454 Y1 KR200230454 Y1 KR 200230454Y1 KR 2020010001502 U KR2020010001502 U KR 2020010001502U KR 20010001502 U KR20010001502 U KR 20010001502U KR 200230454 Y1 KR200230454 Y1 KR 200230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groove
protrusion
plate member
proc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현
Original Assignee
박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현 filed Critical 박해현
Priority to KR202001000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454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용기는 일측에 제 1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 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1판재와; 상기 제 1돌기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홈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돌기가 타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2판재; 및 상기 제 1판재 및 제 2판재의 나사가공부가 체결되도록 대응하는 나사가공부(32a)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왕관형상의 받침대(3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부피를 적게 차지하여 휴대하기에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정에서도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용기{Assembling vessel}
본 고안은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판재부재와 받침대로 이루어진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용기라 함은 취사용기와 저장용기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취사용기는 주방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등산이나 낚시와 같이 가정 밖에서 취사 시에 많이 사용되는 용기로코펠(Kocher)을 들 수 있는데, 차량으로 이동시에는 트렁크 등이 있어 가지고 다니는데 큰 지장이 없으나,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위와 같은 코펠과 같은 용기는 그 부피로 인하여 휴대하기에 불편함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2개의 판재부재와 받침대로 구성되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휴대하기 용이한 조립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조립식 용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결한 반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a와 도 4b의 판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용기는 일측에 제 1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 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1판재와; 제 1돌기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제 1결합홈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돌기가 타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2판재; 및 제 1판재 및 제 2판재의 나사가공부가 체결되도록 대응하는 나사가공부(32a)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왕관형상의 받침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돌기와 제 2결합홈 및 제 1결합홈과 제 2돌기로 결합되는 제 1판재 및 제 2판재에는 제 1판재 및 제 2판재를 관통하는 체결공(17, 27)이 다수 형성되며, 제 2돌기는 제 2판재의 폭보다 적게 형성되고, 제 1판재 및 제 2판재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조립식 용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결한 반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용기(1)는 제 1판재(10) 및 제 2판재(20)와,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가 결합되어 개방되는 일측면을 밀폐시키는 받침대(30)가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의 일측으로 결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판재(10)는 일측에 제 1돌기(12)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 1결합홈(14)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판재(10)는 전면의 일부가 ㄴ자로 함몰된 우측면에 수직으로 제 1돌기(12)가 형성되며, 후면의 일부가 ㄴ자로 함몰된 좌측면에 수직으로 제 1결합홈(14)이 형성된다.
제 1돌기(12)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몰부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 1결합홈(14)도 함몰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슬릿형 홈으로 형성된다.
제 1돌기(12)에는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홈(24)이 일측에 형성된 제 2판재(20)가 결합된다.
제 2판재(20)는 도 2b와 같이, 제 1판재(10)의 제 1결합홈(14)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돌기(22)가 타측에 형성되며, 또한, 제 1판재(10)와 맞물리기 위해서 제 2돌기(22)와 제 2결합홈(24)부는 ㄴ자로 함몰된 형상을 갖게 된다.
제 2판재(20)의 제 2돌기(22)와 제 2결합홈(24)은 제 1판재(10)의 제 1돌기(12)와 제 1결합홈(14)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 2돌기(22)는 제 2판재(20)의 폭보다 적게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제 2돌기(22)를 제 2판재(20)의 폭보다 적게 형성하는 이유는,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의 조립시 제 1돌기(12)의 일부를 제 2결합홈(24)에 끼우고 제 2돌기(22)를 제 1결합홈(14)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함이다.
이와 같이 제 1돌기(12)와 제 2결합홈(24) 및 제 1결합홈(14)과 제 2돌기(22)로 결합되는 제 1 판재(10) 및 제 2판재(20)에는 제 1 판재(10) 및 제 2판재(20)를 관통하는 체결공(17, 27)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17, 27)의 내측은 나사 가공되어 볼트(미도시)로 체결할 수 있고, 볼트 체결되는 제 1판재(10) 및 제 2판재(20)는 수밀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판재(10) 및 제 2판재(20)의 전면에는 손잡이(18, 28)가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18, 28)는 음식의 취사 또는 저장시 용기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의 하측에는 나사가공부(16, 26)가 형성되고, 제 1판재(10) 및 제 2판재(20)의 나사가공부(16, 26)에는 대응하는 나사가공부(32a)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왕관형상의 받침대(30)가 체결된다.
이 때,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가공부(16, 26)는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의 하측 전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와 같이, 받침대(30)는 하면이 폐쇄된 왕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을 따라 돌출부(32)가 형성되고, 돌출부(32)의 내부에는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에 형성된 나사가공부(16, 26)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나사가공부(32a)가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가공부(16, 26, 32a)는 수밀성을 기하기 위하여 둥근나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판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판재(50)는 일측에 제 1돌기(52)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 1결합홈(54)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판재(50)의 일측과 타측의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우측면에 제 1돌기(52)가 연장 형성되며, 돌출된 좌측면의 내측에 제 1결합홈(54)이 형성된다.
또한, 제 1돌기(52)에는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홈(64)이 일측에 형성된 제 2판재(60)가 결합된다.
제 2판재(60)는 도 4b와 같이, 제 1판재(50)의 제 1결합홈(54)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돌기(62)가 타측에 형성되며, 또한, 제 1판재(50)와 맞물리기 위해서 제 2돌기(62)와 제 2결합홈(64)부는 전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판재(50)와 제 2판재(60)에는 각각 나사가공부(56, 66)가 판재의 전후면의 하측에 형성되며, 손잡이(58, 68)도 각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제 1판재(50)와 제 2판재(60)를 결합시킨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 1판재(50)와 제 2판재(60)의 결합이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일 실시예와는 다른 특징이며, 제 1돌기(52)와 제 2결합홈(64) 및 제 2돌기(62)와 제 1결합홈(54)의 결합부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의 결합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용기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를 반원형으로 구부린다. 이 때,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는 잘 휘어질 수 있는 탄력성을 갖는 금속판재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반원형으로 구부려진 제 1판재(10)의 제 1돌기(12)에 제 2판재(20)의 제 2결합홈(24)을 일부 고정되도록 끼운다. 제 1돌기(12)에 제 2결합홈(24)으로 일부가 고정된 제 2판재(20)의 제 2돌기(24)에 제 1판재(10)의 제 1결합홈(14)을 끼운다.
이 때, 제 2돌기(22)는 제 2판재(20)의 폭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결합홈(14)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돌기(12)와 제 2결합홈(24) 및 제 2돌기(24)와 제 1결합홈(14)에 맞추어 끼워진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는 ㄴ자의 함몰부끼리 상호 맞물리는 형상으로 결합된다.
다음, 받침대(30)의 나사가공부(32a)에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에 각각 형성된 나사가공부(16, 26)를 체결하면 용기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 때,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가 받침대(3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받침대(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판재의 수밀성 및 안정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 1판재(10)와 제 2판재(20)에 형성된 체결공(17, 27)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이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예는 코펠 등과 같은 취사용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다른 용도의 어떠한 용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용기는 2개의 판재부재와 받침대로 구성되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여 휴대하기에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정에서도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일측에 제 1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 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1판재;
    상기 제 1돌기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홈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제 2돌기가 타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가공부가 형성된 제 2판재; 및
    상기 제 1판재 및 제 2판재의 나사가공부가 체결되도록 대응하는 나사가공부(32a)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왕관형상의 받침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기와 상기 제 2결합홈 및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2돌기로 결합되는 상기 제 1판재 및 상기 제 2판재에는 상기 제 1판재 및 상기 제 2판재를 관통하는 체결공(17, 27)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돌기는 상기 제 2판재의 폭보다 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판재 및 상기 제 2판재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기.
KR2020010001502U 2001-01-19 2001-01-19 조립식 용기 KR200230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2U KR200230454Y1 (ko) 2001-01-19 2001-01-19 조립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2U KR200230454Y1 (ko) 2001-01-19 2001-01-19 조립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454Y1 true KR200230454Y1 (ko) 2001-07-03

Family

ID=7309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02U KR200230454Y1 (ko) 2001-01-19 2001-01-19 조립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4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288A (en) Container for small objects, with mutual coupling means
USD282616S (en) Snap-on lid for a food dish or the like
US5927836A (en) Top cover fastener
CA2391823A1 (en)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food items and beverages
US4520941A (en) Water bottle crate
USD439744S1 (en) Storage container lid
US3965513A (en) Sectional boat structures
US3999878A (en) Connector means for furniture components
WO2004031046A3 (en) Container
KR200230454Y1 (ko) 조립식 용기
JP2003194455A (ja) 冷蔵庫ドアのハンドル組立体
US4796329A (en) Faucet handle
KR100450890B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CA2484111A1 (en) Open ended container with locking lid assembly
USD425683S (en) Bulk drum lid
KR200163743Y1 (ko) 저장용기손잡이
USD397586S (en) Container with closure for liquid and food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USD403821S (en) Stackable paint container
JPS6311068Y2 (ko)
TWM585759U (zh) 改良型密封蓋
KR200240031Y1 (ko) 이중구조용기의 결합구조
JPS6116597A (ja) ビデオデツキ収納ケ−ス
JPS6016517Y2 (ja) 合成樹脂製密閉容器
KR920001609Y1 (ko) 캔용 합성수지 와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