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677Y1 -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 Google Patents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677Y1
KR200229677Y1 KR2020000032155U KR20000032155U KR200229677Y1 KR 200229677 Y1 KR200229677 Y1 KR 200229677Y1 KR 2020000032155 U KR2020000032155 U KR 2020000032155U KR 20000032155 U KR20000032155 U KR 20000032155U KR 200229677 Y1 KR200229677 Y1 KR 200229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discharge
discharge pipe
forcibly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조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훈 filed Critical 조영훈
Priority to KR2020000032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677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강제적으로 순환 배출되도록 안출한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변기는 가정용으로부터 공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상의 모델들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변기들은 저렴한 가격의 일반용으로부터 가격이 매우 비싼 고급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공통점은 용수(用水) 배출용 센서는 있어도 악취를 배출하는 장치는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변기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순환 배출시킴으로서 쾌적한 화장실 사용과 더불어 용수(用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위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변기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배출관을 비롯한 홴 모터와 역류방지용 덕트를 조합 구성하여 제공된다.

Description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Toinlet bowl for draw off a bad smell}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양변기라고 불려지는 기마 자세형 변기와 좌판 착좌 형 양변기 또는 남성전용 소변기에 있어서, 그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적으로 순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 소변기는 가정용으로부터 널리 공중용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변기는 가격이 저렴하게 공급되는 일반용으로부터 매우 비싼 고급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공급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공통점은 용수(用水) 배출용 센서는 있어도 사용 중에 발생되는 대, 소변 악취를 배출하는 장치는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종래의 변기들은 그 제품이 저가품이거나 고가 품에 관계없이 모두가 사용자 스스로 발생시키는 대, 소변의 악취를 감수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는 방법이 있다면 변기를 사용하는 중에 변기의 용수(用水)를 계속 흘려 내보내는 방법뿐이다.
하지만 변기를 사용하면서 용수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지나친 물 소비만 있을 뿐이지 사실상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악취는 절반도 체 배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마다 변기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순환 배출시킴으로서 쾌적한 화장실 사용과 더불어 용수(用水)의 사용을 최대한 절수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안 출 하게 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유도하여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배출유도로를 변기에 형성하고, 그 변기에서 외부배출관으로 연결하는 내부배출관을 구성하며, 또 변기의 내부 악취를 외부로 밀어내는 모터-홴을 구성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류방지용 덕트가 조합 구성된 바람직한 변기를 제공한다.
도 1 (가)는 변기에 구멍을 뚫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 (나)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절개 측 단면도
도 1 (다)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절개 평 단면도
도 1 (라)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상태를 배면 예시한 요부절개 단면도
도 2 (가)는 별도의 배출구조를 변기에 구성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절개 측 단면도
도 3 은 변기의 좌판에 공기 배출구조를 구성한 본 고안의 제 3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절개 측 단면도
도 4 (가)는 공중용 변기에 실시한 본 고안의 제 4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나)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상태를 예시한 평면 상태의 반 단면도
도 4 (다)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상태를 예시한 측면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남자용 소변기에 본 고안의 제 5 실시 상태를 예시한 측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대변기 (110)…악취배출유도로
(111)…악취배출구멍 (112)…배출관연결구
(121)…악취배출유도공간 (120)…좌판
(140)…내부배출관 (150)…모터-홴
(160)…역류방지덕트 (170)…외부배출관
(180)…악취배출유도박스 (190)…높이보상좌판
(200)…소변기
도 1 (가) 또는 도 1 (라)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수단을 예시한 것으로 이를 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나)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변기(100)의 상부 안쪽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용수배출구(101)와 연결되게 악취배출유도로(110)를 형성한다.
이때의 상기 악취배출유도로(110)는 둘레면 전체의 밑 방향을 개방된 형태로형성하며 그 뒤쪽에는 변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구멍(11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의 악취배출구멍(111)은 용변후 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물탱크(130)의 물 즉, 용수(用水)를 변기(100) 내부로 배출시킬 때 배출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한 위치에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상기 악취배출구멍(111)을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변기(100)의 바깥 뒷면에 배출관연결구(112)를 형성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배출관연결구(112)를 형성할 때에는 도 1 (라)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의 설치공간 사정을 고려하여 편리하게 방향을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변기(100)의 뒤 양쪽으로 연통 하도록 형성한다.
아울러서, 상기와 같이 형성한 배출관연결구(112)에는 도 1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41)을 연결하여 내부배출관(140)을 연결하고 그 상단에 모터-홴(150)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그 단부는 외부배출관(170)과 연통하도록 연결구성 함을 본 고안의 제 1 실시 수단으로 제공한다.
한편, 도 2 (가) 내지 도 2 (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수단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두께와 크기가 적정한 악취배출유도박스(180)를 형성하여 변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높이보상좌판(190)을 형성하여 좌판(120)의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악취 강제 배출식 변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악취배출유도박스(180) 구조는 양 방향에연결관구멍(181')을 형성하는 한편 변기(100) 내부쪽 방향에 악취배출유도구멍(181)을 형성하여 좌판(120)의 뒤쪽 밑에 설치하고, 상기 높이보상좌판(190)은 상기한 악취배출유도박스(18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으로서, 좌판(120)의 저면에 설치하여 좌판(120)의 수평을 유지시켜 준다.
즉, 상기의 악취배출유도박스(180)는 변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반하여, 높이보상좌판(190)은 상기의 악취배출유도박스(180)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한 만큼 좌판(12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수평유지용 받침판 구조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높이보상좌판(190)을 형성할 때에 반드시 좌판(120)과 동일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얼마든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제공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3 실시의 수단으로 제공하는 본 고안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판(120) 내부를 중공상태의 악취배출유도공간(121)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악취배출구멍(111)을 형성하며 그 뒤쪽에는 내부배출관(140)과 연결하는 주름관식의 쟈바라 연결관(141)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든 좌변기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4 실시 수단은 공중용 변기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 수단은 도 4 (가) 내지 도 4 (다)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의 선단 부에 중공 형성한 악취배출유도공간(121)을 갖게 하는 한편 그 좌, 우 방향에는 양옆을 감싸는 악취배출유도로(110)를 형성하고 뒤쪽 중앙에는 배출관연결구(112)를 형성하여내부배출관(140)을 비롯한 역류방지덕트(160)를 가진 모터-홴(150)이 연결되고 외부배출관(170)으로 악취를 강제배출할 수 있는 변기(100)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5 실시의 수단은 남자용 소변기(200)에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남성전용 소변기(200)의 상측에 격판(201)을 형성하는 한편 그 윗면에는 악취배출구멍(111)을 형성하고 또 바깥 상면에는 강제배출용 모터-홴(150)과 내부배출관(140)을 연결 구성하여 악취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남성전용 소변기(200)를 제공한다.
[고안의 작용]
본 고안에서 제 1 실시 수단으로 제공하는 변기(100)는, 사용자가 좌판(120)에 앉은 상태에서 별도로 설치된 모터-홴(150) 스위치(도시없음)를 조작하게된다.
이에 앞서 일반적으로 수세식 양변기는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용수(用水) 배출용 버튼 또는 레버를 잡아 당기게 되면 물탱크(130)에 충전되어 있는 용수가 변기(100) 내부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용수는 오물과 더불어 오수배출관(103)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인 원리이다.
한편, 상기 물탱크(130)로부터 배출되는 용수는 레버를 잡아 당김과 동시에 밸브가 열리면서 물탱크(130)의 제1용수배출구(131)를 빠져나와서 제2용수배출구(102)로 흘러 들어가게 되며 이렇게 변기(100) 내로 흘러들어온 용수는 변기(100)의 상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3용수배출구(101)를 통하여 변기(100) 내부의 오물과 함께 오수배출관(103)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아울러서, 본 고안은 상기 별도의 모터스위치(도시없음)를 조작하게 되면 모턴-홴(150)이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모터-홴(150)의 풍력이 역류방지덕트(160)를 개방시켜 주게되며, 이 모터-홴(150)이 작동하면서 역류방지덕트(160)가 열리게 되면 변기(100) 내부의 공기 즉, 악취는 내부배출관(140)을 통하여 외부배출관(170)으로 배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모터스위치(더시없음)를 조작하여 모터-홴(150)이 작동하게 되면 그 바람의 압력으로 역류방지덕트(160)가 열리게 된다.
이 역류방지덕트(160)는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구조로 구성된 덕트로써, 이 덕트가 열리게되면 변기(100) 내부의 악취는 모터-홴(150)의 풍력에 의해 악취배출유도로(110)를 통하여 악취배출구(111)를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빠져나온 악취는 연결관(141)을 비롯한 내부배출관(140)과 역류방지덕트(160)를 거쳐서 외부배출관(170)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배출관(170)은 주택 또는 아파트 빌딩 등 건물의 구조에 따라 적합한 구조로 설비되지만, 내부배출관(140)과 역류방지덕트(160)도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실내로 돌출되거나 벽면 속으로 숨겨지도록 설치된다.
특히 모터-홴(150)의 경우에는 인테리어 효과를 위한 노출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상측의 지붕 내부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내부배출관(140)은 물탱크(130)의 뒤쪽이나 양쪽방향 측면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41)의 설치 위치는 화장실의 변기(100) 설치위치나 설치공간 등 환경 조건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설치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연결되지 않는 쪽의 배출관연결구(112)는 도 1 (라)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개(a)로 패쇄 시킨다.
이어서, 본 고안에서 제 2 실시 수단으로 제공하는 상기 악취배출유도박스(180)식의 경우에는 좌판(120)이 변기(100)로부터 분리되듯이 악취배출유도박스(180)도 변기(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높이보상좌판(190)도 분리가능하게 변기(100)에 결합된다.
변기(100)에 결합되는 상기의 악취배출유도박스(180)는 그 전면에 악취배출구멍(181)이 형성되어 변기(100) 내부의 악취가 그 악취배출유도박스(180)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변기(100)의 악취는 모터-홴(150)의 작용에 따라 양 옆의 연결관구멍(181')을 빠져나와 내부배출관(140)을 통하여 외부배출관(170)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 3 실시의 수단으로 제공하는 좌판(120) 식의 경우에는 변기(100) 내부의 악취가 좌판(120) 저면에 형성된 악취배출구멍(111)과 좌판(120) 전체에 중공 형성된 악취배출유도공간(1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의 좌판(120)은 그 뒤쪽 배출관연결구(112)에 연결한 주름관식 쟈바라 연결관(141)에 의해 들어올려 지거나 내려 앉혀지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변기(100) 내의 악취는 모터-홴(150) 작용에 의하여 상기 연결관(141)과 연결된 내부배출관(1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 4 실시의 수단으로 제공하는 공중용 변기(100)의 경우에는 변기(100) 내부의 악취가 모터-홴(150) 작용에 의해 뒤쪽에 형성한 배출관연결구(112)을 통하여 내부배출관(140)으로 빠져나가게 괴고 이렇게 빠져나온 악취는 상기 모터-홴(150)과 역류방지덕트(160)를 거치면서 외부배출관(170)으로 배출되며, 본 고안에서 제 5 실시 수단으로 제공하는 남성전용 소변기(200)의 경우에는 용수(用水) 배출용 센서의 작동과 동시에 모터-홴(150)이 작동하여 소변기(20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약간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단 약간의 설치비를 한번만 부담하게 되면 종래에 단지 악취만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하던 화장실 용수(用水) 사용에 의한 수도물의 낭비와 수도요금을 효과적으로 절수 절약할 수 있게되는 효과와 또한 화장실과 변기내에 악취가 머무르지 않고 즉시 배출되게 함으로서 청결하고 위생적인 화장실 문화를 제공하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물을 내려서 오물을 제거하는 종래의 화장실변기에 있어서, 변기(100)의 뒷 방향 상측면이나 측방향 상측면중 어느 한 부분에 외부로 연통되는 악취배출구멍(111)을 구성하는 것과,;
    상기 악취배출구멍(111)에 외부로 향하는 내부배출관(140)을 연결하여 강제순환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모터-홴(150)을 설치 구성하는 것과,;
    상기의 모터-홴(150) 바깥방향에 역류방지덕트(160)를 조합 구성하여 용변시 악취를 강제배출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는 상기 변기(100)의 제3용수배출구(101) 내주연에 하방향이 전체 개방된 악취배출유도로(110)를 형성하고 용수(用水)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악취배출구멍(111)을 변기(100)에 형성하여 외부로 연통하는 배출관연결구(112)를 형성하되, 상기의 배출관연결구(112)는 양 방향으로 연통 되도록 형성하여 한 방향에 내부배출관(140)을 연결하고 다른 한 방향은 폐쇄하도록 구성하여 변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는 상기 변기(100)와 좌판(120) 사이 뒤쪽에,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그 전면에는 악취배출구멍(111)을 형성하고 좌, 우 양쪽 측면에는 연결관구멍(181')을 가진 악취배출유도박스(180)를 형성하여, 상기 좌, 우 중 어느 한쪽에 모터-핸(150)이 설치되는 내부배출관(140)을 연결 설치하는 것과,;
    상기의 악취배출유도박스(180)를 높이와 동일한 형상 모양에 관계없이 높이보상좌판(190)을 형성하여 좌판(12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변기(100)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는 상기의 좌판(120)을 연통하는 악취배출유도공간(121)과 그 저면에 수개의 악취배출구멍(111)을 형성하고 후 단 부에 배출관연결구(112)를 형성하여 내부배출관(140)과 연결관(141)으로 연결구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5.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는, 공중용 변기(100)의 양쪽으로 악취배출유도로(110)를 형성하여 내부배출관(140)과 모터-홴(150)으로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로 배출되는 변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는 남자용 소변기(200)의 내부 상면에 격판(201)을 형성하고 그 윗면에 악취배출구멍(111)를 형성하며 외부 상면에는 모터-홴(150)과 내부배출관(140)을 연결 구성하여 악취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KR2020000032155U 2000-11-16 2000-11-16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KR200229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55U KR200229677Y1 (ko) 2000-11-16 2000-11-16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55U KR200229677Y1 (ko) 2000-11-16 2000-11-16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677Y1 true KR200229677Y1 (ko) 2001-07-19

Family

ID=7306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55U KR200229677Y1 (ko) 2000-11-16 2000-11-16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98B1 (ko) * 2001-05-11 2005-05-11 김홍민 변기 좌석 환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98B1 (ko) * 2001-05-11 2005-05-11 김홍민 변기 좌석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JP2017504739A (ja) 悪臭除去機能を有する水洗式腰掛便器
US6928666B1 (en) Toilet with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US5832546A (en) Flush toilet having a reseal water chamber
US6158058A (en) Ventilated toilet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KR200229677Y1 (ko)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US20220034076A1 (en) Ventilated toilet
KR20020085527A (ko) 악취가 강제 배출되는 변기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KR101790611B1 (ko) 악취배출장치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0445976Y1 (ko)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
US11828054B1 (en) Internally ventilated toilet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30136208A1 (en) Ventilated toilet
KR20020086205A (ko) 변기 좌석 환기 장치
KR20240040199A (ko) 탈취 다기능 변기
KR102272300B1 (ko) 좌변기 냄새 배출장치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KR200287006Y1 (ko) 배기장치가 부착된 좌변기
KR200175338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180023599A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JPH0547076U (ja) 水洗トイレ脱臭装置
CA2348961A1 (en) Externally vented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