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424Y1 - 광콜리메이터링크 - Google Patents

광콜리메이터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424Y1
KR200229424Y1 KR2019970036710U KR19970036710U KR200229424Y1 KR 200229424 Y1 KR200229424 Y1 KR 200229424Y1 KR 2019970036710 U KR2019970036710 U KR 2019970036710U KR 19970036710 U KR19970036710 U KR 19970036710U KR 200229424 Y1 KR200229424 Y1 KR 200229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llimator
alignment sleeve
fix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56U (ko
Inventor
임영민
석호준
김병규
Original Assignee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김춘호
Priority to KR2019970036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7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 G02B6/2726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in or on light guides, e.g. polarisation means assembled in a light guide
    • G02B6/274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in or on light guides, e.g. polarisation means assembled in a light guide based on light guide birefringence, e.g. due to coupling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7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 G02B6/2746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comprising non-reciprocal devices, e.g. isolators, FRM, circulators, quasi-iso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61Adhesive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광 콜레메이터 링크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끝단에 광섬유(41,42)가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는, 에폭시와 고정 나사(521∼523)를 이용한 제1 및 제2 고정부(51,52)에 의해 정렬 슬리브(201) 내의 해당 면에 부착되어,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출사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또는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부착되므로, 체결 상태를 가변시켜 위치 조정을 실행할 수 있고 주변의 환경 변화에 따른 평행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하는 광통신 부품의 성능을 향상시켜 동작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광 콜리메이터 링크
이 고안은 광 콜리메이터 링크(optical collimator link)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광통신을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광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광통신 기기나 광통신 부품의 연구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러개의 광통신 부품중 하나로,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가 다른 광섬유쪽으로 전송될 때 렌즈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평행광으로 출사하거나, 또는 평행광으로 출사된 광신호를 역시 렌즈를 이용하여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한 후 광섬유로 입사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광 콜리메이터는 광 통신 시스템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즉, 상기와 같이 광신호를 평행광으로 변환하거나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하는 광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광섬유에서 다른 광섬유로의 광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광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광섬유와의 연결 동작을 실행할 경우 일측 광 콜리메이터에서 출사되는 평행광이 모두 타측 광 콜리메이터로 입사될 수 있도록, 각 광섬유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광 콜리메이터를 슬리브 내에 정확하게 정렬시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형성한다.
이때, 두 개의 광 콜리메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는, 내장된 광 콜리메이터의 고정 위치에 따라 입사되는 평행광의 광신호량이 결정되므로 광 콜리메이터의 고정 위치나 상태에 따라 동작 성능이 결정된다.
그러면,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구조에 대하여, 그 단면도인 도 1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은, 각각의 끝단에 광섬유(41,42)가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는, 에폭시를 주입한 후 경화시킨 제1 및 제2 고정부(31,32)에 의해 정렬 슬리브(21) 내의 해당 면에 부착되어,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출사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또는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부착된다.
그로 인해 내장된 렌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평행광으로 출사될 수 있고, 평행광으로 출사된 광을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로 입사되어 전송된다. 이때, 정렬 슬리브(21)는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를 외부에서 감싸고 정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11)를 정렬 슬리브(21)의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에폭시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3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에폭시를 이용하여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11)를 상부의 정렬 슬리브(21)에 고정시킬 경우,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에폭시를 해당 위치에 주입한 후 경화시켜 해당 광 콜리메이터(11)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에폭시를 이용하여 정렬 슬리브(21)의 해당 위치에 제1고정부(31)를 형성하여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정렬 슬리브(21)에 고정시킨 후, 다른 제2광 콜리메이터(12)의 위치를 조정하여 해당 위치에 역시 에폭시를 이용하여 정렬 슬리브(21)의 해당 위치에 제2고정부(32)를 형성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광 콜레메이터(11)가 평행하게 고정되어야 제2광 콜레메이터(12)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제1광 콜리메이터(11)는 평행하게 위치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고정될 경우 제2광 콜리메이터(12)의 고정 위치도 제1광 콜리메이터(11)와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어야 광신호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정렬 슬리브(21)에 고정시킬 경우,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고정 동작이 어려워,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제1광 콜리메이터(11)와의 위치 조정을 위해 역시 제2광 콜리메이터(12)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고정되어야 하나, 정확한 위치 조정에 커다란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제1 및 제2고정부(31,32)에 에폭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정렬 슬리브(21)에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를 각각 고정시키므로, 주입된 에폭시가 경화될 때 발생하는 비틀림 현상에 의해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의 고정 위치가 변화되어 설정된 위치가 변화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의 위치가 설정된 최적 위치에서 벗어나므로, 제1광 콜리메이터(11)에서 출사된 평행광이 제2광 콜리메이터(12)에 의해 집광되어 입사될 때 많은 광신호의 손실이 발생하여 전송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에폭시를 이용하므로 한 번 경화되어 고정되면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의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제1 또는 제2광 콜리메이터(11,12)가 고정되지 않을 경우엔 광 신호의 전송 효율이 감소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감소시키고 불량율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주변의 온도나 습도 변화에 따라 에폭시의 경화 상태가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므로, 주변 환경에 따라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의 고정 위치가 수시로 변화하여 주변 환경에 따른 동작 성능의 변화폭이 매우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사용하는 광 아이솔레이터나, 광 감쇠기 등과 같은 많은 광통신 부품도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성능 감소에 따라 동작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이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의 환경 변화에 무관하게 광 콜리메이터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광 콜리메이터의 위치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도 광 콜리메이터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이고,
도2a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
도2b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이고.
도3a와3b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한 광 아이솔레이터와 가변 광 감쇠기의 단면도이고,
도3c와 3d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한 광 아이솔레이터와 가변 광 감쇠기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다수개의 광섬유 끝단에 연결되어,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평행광으로 출사될 수 있고, 평행광으로 출사된 광을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하여 다른 광섬유로 입사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와;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 사이의 광신호의 전송 동작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를 외부에서 감싸 내장하는 정렬 슬리브와;
화학적 반응에 따른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부와;
착탈 가능한 체결 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타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의 다른 구성은,
다수개의 광섬유 끝단에 연결되어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평행광으로 출사될 수 있고, 평행광으로 출사된 광을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하여 다른 광섬유로 입사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와;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 사이의 광신호 전송 동작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를 외부에서 감싸 내장하는 정렬 슬리브와;
착탈 가능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부와;
착탈 가능한 체결 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타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접착제는 에폭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리적인 체결 수단은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다수개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에 대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은 종래의 도면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부여한다.
도 2a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2a에 도시된 것처럼,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구성은, 각각의 끝단에 광섬유(41,42)가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는, 에폭시와 고정 나사(521∼523)를 이용한 제1 및 제2 고정부(51,52)에 의해 정렬 슬리브(201)의 해당 면에 부착되어, 제1 또는 광 섬유(41,42)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출사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또는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부착된다.
그로 인해 내장된 렌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를 통해 전송되는 광이 평행광으로 출사될 수 있고, 평행광으로 출사된 광을 하나의 광신호로 집광하여 대향하고 있는 제1 또는 제2 광섬유(41,42)로 입사되어 전송된다. 이때, 정렬 슬리브(201)는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를 외부에서 감싸고 정렬하므로,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를 보호한다.
상기 제1고정부(51)는 에폭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고정시키고, 제2공정부(52)는 정렬 슬리브(201) 주위에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를 삽입 체결하여 제2광 콜리메이터(12)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52)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고정나사(521∼523)의 체결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렬 슬리브(201) 내부의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턱(100)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확장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를 정렬 슬리브(20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정렬 슬리브(201)의 제1고정부(51)로 일정량의 에폭시를 주입하여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접촉시킨 후 경화시킨다.
따라서 에폭시가 모두 경화되면, 제1광 콜리메이터(11)는 정렬 슬리브(201)의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에폭시를 이용하여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고정 동작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는 제2고정부(52)의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의 체결 상태를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고정 위치에 맞게 조정하여 최적의 위치에 제2광 콜리메이터(12)가 정렬 슬리브(201)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정렬 슬리브(201)의 주위에 삽입 체결되는 제2고정부(52)의 고정 나사(521∼523)의 개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조정 가능하다.
만약, 주변의 온도나 습도 변화에 민감한 에폭시로 고정된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위치가 변화되어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광전송 효율이 감소될 경우에는,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의 체결 상태를 조정하여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위치에 맞는 최적 위치로 제2광 콜리메이터(12)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항상 최적의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설명한다.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구성은 제1고정부(501)의 구성만 제외하고, 도 2a에 도시한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501)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52)와 마찬가지로 고정 나사(5011)를 삽입 체결하여,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정렬 슬리브(201)에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고정 나사(5011)의 체결 상태를 조정하면서 제1광 콜리메이터(11)를 최적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고정 위치와 평행하게 제2광 콜리메이터(12)가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의 체결 상태를 조정하여 제2광 콜리메이터(12)를 고정한다.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11,12)의 고정 위치가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엔, 고정 나사(5011,521∼523)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다시 위치 조정을 실행하여, 최적의 위치에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 간의 고정 위치는 서로 변경 가능하며, 그에 따른 제1 및 제2 고정부(51,52,501)나 정렬 슬리브(201)의 위치와 형상 또한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의 고정 위치에 맞게 서로 변경 가능하다.
다음엔 도 3a∼도 3d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장착한 광통신 부품의 장착예를 설명한다. 도 3a∼도 3d에 도시한 광통신 부품은 광신호의 역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광 아이솔레이터와, 설정량만큼 광신호의 세기를 감쇠하기 위한 가변 광 감쇠기이다.
도 3a와 도 3b는 이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한 광 아이솔레이터와 가변 광 감쇠기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것은 광 아이솔레이터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11)를 에폭시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다른 광 콜리메이터(12)는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를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중앙부에 제1광 콜리메이터(11)에서 출사되는 평행광을 소정의 편광된 빛만을 투과시키는 제1복굴절 편광자(61)를 장착하고, 제1복굴절 편광자(61)를 통해 편광된 광을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페러데이 로테이터(Faraday rotator,63)를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광 콜리메이터(12)로 집광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소정의 편광된 빛만을 투과하는 제2복굴절 편광자(62)를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광 콜리메이터 링크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복굴절 편광자(61,62)와 페러데이 로테이터(63)에 의한 광의 편광 및 회전 동작에 의해 광 아이솔레이터가 구성된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 나사(521∼523)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52)의 체결 동작에 의해 제2광 콜리메이터(12)의 고정 위치가 제1광 콜리메이터(11)의 고정 위치와 평행한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므로, 광 아이솔레이터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b는 광 아이솔레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복굴절 편광자(61,62)와 페러데이 로테이터(63) 대신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리 기판(71) 위에 도포 상태를 상이하게 하여 감쇠층(72)을 형성한 가변 광 감쇠기이다.
따라서 감쇠층(72)이 형성된 유리 기판(71)의 위치를 변화시켜, 감쇠층(72)의 도포 상태에 따라 제1광 콜리메이터(11)에서 출사되는 평행광의 감쇠량을 변화시켜 해당 양만큼 감쇠된 평행광이 제2광 콜리메이터(12)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c와 도 3d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한 광 아이솔레이터와 가변 광 감쇠기의 단면도로, 각각의 동작은 이미 상기한 것과 같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부(501,52)의 고정 나사(5011,521∼523)의 체결 동작을 이용하여 각각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11,12)를 정렬 슬리브(201)에 각각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 및 제2 복굴절 편광자(61,62)나 페러데이 로테이터(63)를 장착하여 광 아이솔레이터를 제작하거나, 감쇠층(72)이 도포된 유리 기판(71)을 장착하여 가변 광 감쇠기를 제작한다.
그러므로, 에폭시와 다수개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를 정렬 슬리브에 고정하므로, 에폭시로 고정된 광 콜리메이터의 고정 위치에 따라 고정 나사의 체결 상태를 가변시켜 위치 조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에폭시로 고정된 광 콜리메이터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에도 고정 나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위치 조정이 가능하므로, 주변의 환경 변화에 따른 평행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광 콜리메이터를 정렬 슬리브에 고정할 경우, 주변 환경에 따른 고정 위치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 나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의 위치 조정이 무한적으로 가능하므로 항상 최적의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광 콜리메이터를 통해 전송되는 평행광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켜 광 콜리메이터 링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 콜리메이터 링크를 이용하는 광통신 부품의 성능을 향상시켜 동작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8)

  1. 광섬유 양쪽 끝단에 연결되어, 광섬유의 한쪽 끝단을 통해 전송되는 광이 광섬유의 다른쪽 끝단으로 출사될 수 있고, 광섬유의 다른쪽 끝단을 통해 전송되는 광이 광섬유의 한쪽 끝단으로 출사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광 콜리메이터와;
    상기 광섬유 사이의 광신호의 전송동작이 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광 콜리메이터를 외부에서 감싸 내장하는 정렬 슬리브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광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와;
    상기 정렬 슬리브 주위에 삽입 체결되는 다수 개의 고정 나사에 의해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타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51)는,
    에폭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슬리브는,
    중앙부에 턱(100)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의 나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평행광을 여러 반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복굴절 편광자와;
    편광된 광을 설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패러데이 로테이터를 더 포함하여 광 아이솔레이터 기능을 실행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5. 제1항에 있어서,
    설정 상태로 감쇠층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정렬 슬리브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감쇠부를 더 포함하여 가변 광 감쇠기 기능을 실행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6. 광섬유 양쪽 끝단에 연결되어, 광섬유의 한쪽 끝단을 통해 전송되는 광이 광섬유의 다른쪽 끝단으로 출사될 수 있고, 광섬유의 다른쪽 끝단을 통해 전송되는 광이 광섬유의 한쪽 끝단으로 출사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광 콜리메이터와;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 사이의 광신호 전송 동작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광 콜리메이터를 외부에서 감싸 내장하는 정렬 슬리브와;
    상기 정렬 슬리브 주위이ㅔ 삽입 체결되는 다수 개의 고정 나사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와;
    상기 정렬 슬리브 주위에 삽입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 나사에 의해 광 콜리메이터 중에서 하나의 광 콜리메이터를 상기 정렬 슬리브의 타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7. 제6항에 있어서,
    평행광을 여러 반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복굴적 편광자(61,62)와;
    편광된 광을 설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패러데이 로테이터(63)를 더 포함하여 광 아이솔레이터 기능을 실행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8. 제6항에 있어서,
    해당 상태로 감쇠층이 도포되어 있고, 정렬 슬리브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감쇠부(71,72)를 더 포함하여 가변 광 감쇠기 기능을 실행하는 광 콜리메이터 링크.
KR2019970036710U 1997-12-12 1997-12-12 광콜리메이터링크 KR200229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10U KR200229424Y1 (ko) 1997-12-12 1997-12-12 광콜리메이터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10U KR200229424Y1 (ko) 1997-12-12 1997-12-12 광콜리메이터링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6U KR19990024256U (ko) 1999-07-05
KR200229424Y1 true KR200229424Y1 (ko) 2001-09-17

Family

ID=5389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710U KR200229424Y1 (ko) 1997-12-12 1997-12-12 광콜리메이터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457A (ko) * 2001-07-02 2003-01-10 주식회사 신영텔레콤 콜리메이터의 정렬방법
KR100911745B1 (ko) * 2009-02-03 2009-08-10 주식회사 대성지티 방사선 조사기용 콜리메이터의 교체가 용이한 콜리메이터 장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6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4074B2 (en) Rotationally adjustable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a partial key ring
EP0266780B1 (en) Optical connector using a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JP3429332B2 (ja) 可変光減衰装置
US6782146B2 (en) Multiple polarization combiner-splitter-iso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244496A1 (en) Optical fiber passive alignment apparatus using alignment platform
EP0898185A3 (en) Optical assembly and method based on tec fibers
KR200229424Y1 (ko) 광콜리메이터링크
JP2000028865A (ja)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US6920255B2 (en) Polarizer-equipped optical fiber ferrule, connector and connector adaptor
US6212305B1 (en) Highly miniaturized, folded reflection optical isolator
US6813400B1 (en) Optical isolator
JPH0228123B2 (ko)
JP4012537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作製方法
JPH10206685A (ja) 光導波路モジュールの構造
JP3132855B2 (ja) 光結合器およびその結合方法
US6690858B2 (en) Optical collima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020092186A1 (en) Gimballed lens mount and alignment assembly for a sensitive optical alignment
US7116866B2 (en) Back-reflection reduction device
US20050008277A1 (en) Fiber optic pair with pigtail geometry
US20040101226A1 (en) Magnet isolator with integrated focusing apparatus
US20030053758A1 (en) Optical fiber for precision mounting in substrate V-grooves
CN2489353Y (zh) 光隔离器
JPH04246615A (ja) 光アイソレータ
JPH1068909A (ja) スリーブ内蔵型光アイソ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半導体モジュール
JP2003131089A (ja) 光アイソレータ内蔵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