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131Y1 -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131Y1
KR200229131Y1 KR2020000033902U KR20000033902U KR200229131Y1 KR 200229131 Y1 KR200229131 Y1 KR 200229131Y1 KR 2020000033902 U KR2020000033902 U KR 2020000033902U KR 20000033902 U KR20000033902 U KR 20000033902U KR 200229131 Y1 KR200229131 Y1 KR 200229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ing
binding
deficit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찬
Original Assignee
고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찬 filed Critical 고종찬
Priority to KR2020000033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31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모의 적자에 초리를 분리가능케 결합하는 초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적자(2)에 연결고정되는 결속구(6)와 초리(8)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결합부(10)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구(6)는 본체(14)의 조립공(12)내에 테두리부 내측에 후방으로 약간 경사지고 그 내경이 결합부(10)의 직경보다 작은 여러개의 탄성편 (32)을 갖는 원판형 걸림구(20)와, 상기 걸림구(2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적정전진거리를 갖고 인접설치되고 그 내측결합공(36)을 통하여 초리(8)의 결합부(10)가 헐겁게 삽입되는 안내관(24)으로 구성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초리(8)의 결합부(10)를 결속구(6)의 결합공(26)에 깊숙히 삽입해 주게 되면 서로 견고히 결속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모의 초리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the braid of SANGMO}
본 고안은 상모의 적자에 초리를 분리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초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모는 휴대나 보관 및 수명이 다한 초리를 교체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초리를 적자에 분리가능케 연결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수단으로서 이제껏 볼트넛을 이용함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건출원인은 이미 선출원 실용신안 제2000-20716호를 제공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주요기술구성을 살펴보면 스프링이 탄력지지하는 지지체에 의해 수개의 걸림용볼이 지지관의 결합공 내부로 출몰하는 암연결부와, 결합돌부에 걸림홈이 빙둘러 형성된 숫연결부로 연결구를 구성하여 암연결부의 지지체를 인위적으로 후퇴시켜서 수개의 걸림용볼이 자유로워지게 하면 숫연결부와의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한 구조로 된 것임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이는 연결구가 암수로 분리구성되고 또 암연결부는 지지관에 수개의 베어링실을 오차없이 빙둘러 형성하고 조립시에는 각 베어링실에 베어링을 결합하고 그 외측에 지지체를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부품가공이 어렵고 또 부품수가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며 또한 암연결부가 갖는 지지체를 인위적으로 후퇴시켜 주어야만 초리가 결합 또는 분리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들이 잔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으면서도 초리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초리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적자에 연결고정되는 결속구는 본체의 조립공 내에 다수의 탄성편이 내측으로 돌출하여 내경을 갖고 상기 각 탄성편은 안내관의 눌름으로 벌어지는 원판형 걸림구와 내측으로 적정전진거리를 갖고 그 단부가 상기 걸림구의 탄성편 외면과 인접하며 그 내측 결합공을 통하여 초리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안내관을 갖도록 구성하여 초리의 결합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견고히 결속되고 결속상태에서 안내관을 눌러주게 되면 걸림구의 각 안내편이 벌어져 결합부가 분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적자 (4)--지지봉
(6)--결속구 (8)--초리
(10)--결합부 (12)--조립공
(14)--본체 (16)--완충링
(18)--지지링 (20)--걸림구
(22)--단관 (24)--안내관
(25)--절곡부 (26)--고정공
(28)--볼트공 (30)--안내경사면
(32)--탄성편 (34)(38)--걸림테
(36)--결합공 (42)--볼트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적자(2)의 지지봉(4)에 연결고정되는 결속구(6)와, 초리(8) 단부에 일체감있게 연결형성되는 결합부(1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결속구(6)는 조립공(12)을 갖는 본체(14)와 상기 본체(14)의 조립공(12)에 차례로 삽입설치되는 고무재 완충링(16)과, 지지링(18)과, 원판형 걸림구(20)와, 상기 지지링(18)과 함께 걸림구(20)의 테두리부를 가압지지하는 단관(22)과, 상기 단관 내에 결합되고 그 눌름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내관(24)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본체(14)는 무게추를 겸할 수 있는 무게를 갖는 금속재로서, 조립공(12)의 내측 전방에는 부품들을 조립고정하는 걸림테(23)와 절곡부(25)를 갖도록 하고, 그 타측에는 적자(2)의 지지봉(4)을 결합하는 고정공(26)과 상기 고정공(26)을 측방향으로부터 관통하는 볼트공(28)을 갖도록 한다.
상기 본체(14)의 조립공(12) 내에 결합되는 부품들 중 고무로 된 완충링(16)은 조립시 자체 탄성으로 지지링(18)과 걸림구(20) 및 단관(22)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게 되며 상기 지지링(18)은 전방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안내경사면(30)을 빙둘러 갖도록 하여 걸림구(20)의 벌어짐시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걸림구(20)는 원판형으로서 평면을 이루는 테두리부가 지지링(18)과 단관(22) 사이에 끼어지게 되며 그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깊숙한 절개홈에 의해 여러개로 분리구성되고 또 초리(8)의 결합방향인 타측으로 약간 경사져 벌어진 형태로서 그 내경은 초리(8)의 결합부(10)가 갖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여러개의 탄성편(32)을 빙둘러 갖도록 한다.
또한 단관(22)은 외측에 빙둘러 걸림테(34)를 갖고 그 내측안내공에는 중앙부에 빙둘러 갖는 단턱에 의해 입구쪽 직경을 작게하여 안내관(24)의 결합시 전진거리를 갖도록 한다.
상기 단관(22)내에 결합되는 안내관(24)은 초리(8)의 결합부(10)가 약간 헐겁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36)과 전방의 눌름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안내부의 걸림테(38)와 상기 걸림테(38)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40)으로 구성되며 조립시 상기 걸림테(38)가 직경이 작은 단관(22)의 입구쪽을 반강제로 통과하여 단관(22)으로부터 이탈방지되고 또 내측으로 적정전진거리를 갖게 된다.
또한 초리(8) 단부에 갖는 결합부(10)는 그 직경이 걸림구(20)가 갖는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재 단관으로 구성되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초리(8)의 단부에 일체감있게 연결형성된다.
본 고안 결속구(6)는 본체(14)가 갖는 조립공(12) 내에 완충링(16)과 지지링(18) 그리고 걸림구(20) 및 단관(22)을 차례로 결합한 다음 상기 본체(14) 단부에 갖는 절곡부(25)를 밴딩하여 구성하며 그 후방에 갖는 고정공(26)에 적자(2)의 지지봉(4) 단부를 삽입하여 볼트공(28)을 통한 볼트(42) 체결로 견고히 연결하고 초리(8)의 단부에는 결합부(10)를 일체감있게 연결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에 있어 결속구(6)는 초리(8)가 갖는 결합부(10)를 결합하기 앞서 그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완충링(16)이 갖는 탄성에 의해 걸림구(20)의 테두리부는 지지링(18)과 단관(22) 사이에 끼어 견고히 지지되고 안내관(24)은 그 후단부가 상기 걸림구(20)의 외측면과 접하여 최대돌출하게 되며 이때 걸림구(20) 내측에 초리가 갖는 결합부(10)의 삽입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는 여러개의 탄성편(32)은 각기 안내관(24)의 결합공(36) 내측으로 일부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구(6)가 갖는 안내관(24)의 눌름없이 상기 안내관(24)의 결합공(36)에 초리(8)가 갖는 결합부(10)를 약간 헐겁게 삽입해 주게 되면 상기 결합부가 깊숙히 삽입되면서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여러개의 탄성편(32)과 접하여 벌려 주게 되므로 큰 저항없이 결속된다.
이때 초리(8)가 갖는 결합부(10)는 결속구(6)와의 결속후 삽입반대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지지테로부터 벌어져 각기 경사져 있는 걸림구(20)의 각 탄성편(32)은 그 단부가 결합부(10) 외면에 경사지게 접하여 강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분리불가능한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상모의 사용후 휴대 및 보관하거나 또는 초리(8)를 교체해 주고자 할 경우에는 초리(8)의 결속상태에서 본체(14)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관(24)의 눌름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안내관(24)의 안내부가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그 단부가 걸림구(20)의 각 탄성편(32)을 내측으로 밀어서 벌려주게 되고 이러한 탄성편(32)의 벌어짐 시에는 초리(8)의 결합부(10)가 자유로워져 결속구(6)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자(8)에 연결고정되는 결속구(6)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품의 가공시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며 특히 상기 결속구(6)와의 결속을 위한 초리(8)의 결합부(10)는 합성수지재 단관으로 구성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한 낮은 제조단가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며 또한 초리(8)의 연결시에는 상기 초리(8)가 갖는 결합부(10)를 결속구(6)의 결합공(36)에 삽입해 주는 것으로 견고히 결속되므로 초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해 줄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모의 적자(2)에 연결고정되는 결속구(6)와 초리(8) 단부에 연결형성되는 결합부(10)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구(6)는 무게추를 겸하는 본체(14)의 조립공(12) 내에 테두리부로부터 그 내측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고 또 내경이 결합부(10)의 직경보다 작은 여러개의 탄성편(32)을 빙둘러 갖는 원판형 걸림구(20)와, 내측으로 적정전전거리를 갖고 그 단부가 걸림구(20)의 각 탄성편(32) 외면과 인접하며 그 내측 결합공(36)을 통하여 초리의 결합부(10)가 약간 헐겁게 삽입되는 안내관(2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KR2020000033902U 2000-12-04 2000-12-04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KR200229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02U KR200229131Y1 (ko) 2000-12-04 2000-12-04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02U KR200229131Y1 (ko) 2000-12-04 2000-12-04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131Y1 true KR200229131Y1 (ko) 2001-07-03

Family

ID=7306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902U KR200229131Y1 (ko) 2000-12-04 2000-12-04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74Y1 (ko) 2008-04-22 2010-04-26 강명규 상모의 물체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74Y1 (ko) 2008-04-22 2010-04-26 강명규 상모의 물체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873B1 (en) Goal assembly
KR100526078B1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US20090265899A1 (en) Pull-tab for zipper
US6918399B2 (en) Automatic umbrella
CN212545925U (zh) 腕戴设备
KR200229131Y1 (ko) 상모의 초리연결구조
US5836018A (en) Detachable necktie with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US6256204B1 (en) Injection molded disk drive carrier with integral latch and wire form retention
US20020152590A1 (en) Magnetic buckle structure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US20040149305A1 (en) Fastener for hair binder
US8037636B2 (en) Bottom snagging sinker
KR200452513Y1 (ko) 의자
US6981781B2 (en) Decorative light supporting assembly
US20200269151A1 (en) Floatable Toys
US5926915A (en) Retractable drawbar device
US7555804B2 (en) Cleaning head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CN208957518U (zh) 一体式被角固定器
US20140053380A1 (en) Belt buckle
CN112006383A (zh) 一种鸡眼扣及其组装方法
CN213612949U (zh) 手柄装配固定结构
KR101048188B1 (ko) 지퍼용 풀탭
KR200455213Y1 (ko) 조립식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CN220734622U (zh) 一种安装方便的连接件
KR20080078375A (ko) 듀얼백 의자의 등받이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