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99Y1 - 전선부설용홈통 - Google Patents

전선부설용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99Y1
KR200228999Y1 KR2019980019059U KR19980019059U KR200228999Y1 KR 200228999 Y1 KR200228999 Y1 KR 200228999Y1 KR 2019980019059 U KR2019980019059 U KR 2019980019059U KR 19980019059 U KR19980019059 U KR 19980019059U KR 200228999 Y1 KR200228999 Y1 KR 200228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partition wall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23U (ko
Inventor
김덕호
Original Assignee
김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2019980019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9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99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부설용 홈통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격벽(11)이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외측 길이방향에 소정 폭으로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가 교호적으로 연이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는 저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2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도랑(30)내에 설치되는 전선부설용 홈통(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양측 벽(12)은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덮개(20)의 폭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전선을 수용하는 범위의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격벽(11)은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가 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1)의 상측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20)는 도랑(30)의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턱(31)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되, 저면 길이방향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편(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11)의 상단에 안내 결합되는 결합편(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요입부 및 요철부가 형성된 홈통의 본체 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기존의 격벽의 형상을 요입부 및 요철부형상으로 형성시키므로써, 내구성을 강화하고 본체의 양측 벽을 짧게 형성시켜 본체내에 배선되는 전선들로 하여금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도랑내에서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부설용 홈통{A cable duct}
본 고안은 전선을 수용시켜 설치하기 위한 전선부설용 홈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통의 내측에 형성된 칸막이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의 양측벽 길이를 개선하여 재료비 절감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부설용 홈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 철도의 주변에는 통신용 케이블 또는 동력전달목적으로 다수의 전선이 배선되며, 이러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서 통상 콘크리트 도랑 내에 전선부설용 홈통이 설치된다.
상기 전선부설용 홈통은 통상적으로 내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일자형태로 소정체적을 갖는 관 형태로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덮개가 구비되며, 홈통의 길이방향 양측은 다수의 홈통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홈통은 비교적 굵기가 가늘고 무게가 적은 통신케이블용 전선을 배선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홈통의 구조가 비교적 평평하여 외압에 약한 취약한 점이 있어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1995년 8월 18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1998 년 7월 21일자로 등록사정된 실용신안등록 제 127415호(명칭: 전선부설용 홈통)에 의하여 그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상기 실용신안권의 구성은 내측 길이방향에 전선을 구획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가 구획 형성된 본체를 요홈부와 요철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전체가 요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전, 후면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걸림턱을 상호 어긋나게 형성하고,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홈통덮개의 저면 길이방향에는 지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도록 한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홈통은 외압에 따라 그 외측면은 요홈부와 요철부에 의해 어느 정도 내구성을 갖지만, 그 내측 길이방향에 구획 형성된 칸막이(이하, 격벽이라함)는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홈통의 사출제작에 따라 격벽의 길이변이 변형되는 불량률이 많고, 또 장기간 사용함에 있어, 홈통의 덮개 상측으로부터 받는 외압에 의해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홈통은 다수의 전선을 수용시켜 놓는 작업에 있어 다수의 전선이 가지는 무게 및 그 부피에 의해 상기 격벽에 파손을 가할 염려가 따르고, 또 홈통의 본체내에 수용되는 전선이 동력을 위주로 하는 전선일 경우 홈통 내에 고온의 열이 발생되어 홈통자체에 변형을 줄 수 있고, 심지어는 전선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홈통의 내측에 형성된 격벽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의 양측벽 길이를 개선하여 제작에 따른 재료비 절감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격벽이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외측 길이방향에 소정 폭으로 요입부 및 요철부가 교호적으로 연이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는 저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도랑 내에 설치되는 전선부설용 홈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양측 벽은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덮개의 폭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전선을 수용하는 범위의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격벽은 요입부 및 요철부가 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는 도랑의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턱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되, 저면 길이방향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편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단에 안내 결합되는 결합편이 형성된 전선부설용 홈통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선부설용 홈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홈통의 본체와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홈통을 콘크리트 도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홈통 10: 본체
11: 격벽 11a: 요입부
11b: 요철부 12: 양측벽
13: 공간부 20: 덮개
21: 결합편 22: 보강리브
30: 도랑 31: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전선부설용 홈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홈통의 본체와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격벽(11)이 내측에 구비된 본체(10)의 외측 길이방향에 소정 폭으로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덮개(2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도랑(30) 내에 설치되는 전선부설용 홈통(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양측벽(12)은 전선을 수납시킨 후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13)를 형성한다. 즉, 공간부(13)는 본체(10)에 결합되는 덮개(20)의 폭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양측벽(12)의 일단이 소정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일정간극을 두고 마련되는 격벽(11)은 본체(10)의 바닥면과 측벽에 형성되는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의 동일한 폭으로 요입부(11a)와 요철부(11b)가 반복 형성된다.
상기 격벽(11)에 형성되는 요입부(11a) 및 요철부(11b)의 경계지점은 소정각도로 형성되고, 일정간극을 두고 대응되는 격벽(11)의 요입부(11a) 및 요철부(11b)는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호 동일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1)의 상측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20)의 저면 길이방향에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결합편(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편(21)의 일측이 이웃하는 덮개(20)의 저면측 폭방향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첨부되는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홈통을 콘크리트 도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 상기 덮개(20)는 도랑(30)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31)에 안착 설치되고, 덮개(20)의 결합편(21)은 상기 격벽(11)의 상측부위에 소정깊이로 안내되어 결합되도록 하며, 덮개(20)의 일측에는 단턱을 두어 다수의 홈통(1)을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a)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11)의 높이는 홈통(1)을 가설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콘크리트 도랑(30)내의 깊이에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1)은 본체(10)의 폭에 따라 적어도 2개이상 연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전선부설용 홈통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홈통(1)의 본체(10)와 덮개(20)는 별도로 합성수지인 재질로 사출제작되며, 제작되는 본체(10)의 폭 및 높이는 홈통(1)을 수용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도랑(30)의 깊이와 폭을 감안하여 제작된다. 상기 본체(10)의 측벽(12) 및 격벽(11)에 형성되는 요입부(10a)(11a) 및 요철부(10b)(11b)는 홈통(1)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사출작업에 있어 상기 격벽(11)은 요입부(11a)와 요철부(11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이유에서 사출시 본체(10)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측면은 기존의 박스형태와 달리 짧게 형성되어 사출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양측벽(12)의 해당하는 높이 만큼에 대하여 불필요한 부분의 재료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체(10)는 전선을 지상으로부터 매입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 지상에 콘크리트작업으로 마련되는 도랑(30)에 안착시키고, 본체(10)의 격벽(11)에 의해 양측 측면으로 구획되는 전선수납공간에 바람직하게는 자체적으로 고압의 전류에 의해 열 발생이 많은 동력 케이블류를 안내시켜 미도시된 고정구로 전선을 지지시켜 주고, 상기 격벽(11)사이의 전선수납공간에는 열 발생이 적은 저전압용 전선을 배선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본체(10)가 도랑(30)에 안내된 상태에서는 본체(10)에 형성된 격벽(11)의 상측부분이 대략 도랑(30)의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턱(31) 선상까지 위치되는 정도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격벽(11)의 상측으로는 덮개(20)를 덮어 전선이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덮개(20)의 결합구조는 덮개(2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형식의 배열을 갖는 결합편(21)을 상기 격벽(11)의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에 내외로 일치시켜결합시켜 준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의 상단은 상기 결합편(21)에 안내되면서 보강리브(22)의 저면을 지지시키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덮개(20)의 양단은 콘크리트 도랑(30)에 마련되는 걸림턱(31)에 지지되며, 지상의 동일선상과 덮개(20)의 상측면이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덮개(20)는 홈통(1)의 설치작업에 있어, 보수요원의 발판역할을 하며, 상기 홈통(1)을 연속적으로 설치에 있어서는 덮개(20)의 일측에 단턱진 연결부(20a)를 또 다른 덮개(20)의 타측 저면에 끼우는 방식으로 연속적인 홈통(1)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덮개(20)의 상측을 밟고 다님에 있어, 덮개(20)의 저면에 결합편(21)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22)는 덮개(20)자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결합편(21)이 안내되어 결합된 본체(10)측의 격벽(11)은 요입부(11a), 요철부(11b)형태로 상측에서 받는 외압에 대해 견고하게 받침역할을 한다.
즉, 요입부(11a)와 요철부(11b)의 폭에 따라 더욱 안정된 견고함을 줄 수 있어 덮개(20)의 상측을 밟음에 따른 흔들림이 없고 상대적으로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격벽(11)의 쓰러짐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홈통(1)의 본체(10)내에 수용된 동력케이블은 본체(10)의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이어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선자체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은 도랑(30)의 내부측벽으로부터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선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11)사이에 수용된 전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덮개(20)의 저면측 보강리브(22)에 격벽(11)의 상단이 맞닿은 상태로서 각각 보강리브(22)의 높이와 보강리브(22)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본체(10)의 양측면 공간부(13)을 통해 방출할 수 있어 격벽(11)사이에 저전압용 전선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홈통을 사용함에 있어 먼저, 콘크리트 도랑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열이 방출될 수 있어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열발생에 따른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요입부 및 요철부가 형성된 홈통의 본체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기존의 격벽의 형상을 요입부및 요철부형상으로 형성시키므로써, 내구성을 강화하고 본체의 양측 벽면을 짧게 형성시켜 고온의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격벽(11)이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외측 길이방향에 소정 폭으로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가 교호적으로 연이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는 저면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2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도랑(30)내에 설치되는 전선부설용 홈통(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양측 벽(12)은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덮개(20)의 폭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전선을 수용하는 범위의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격벽(11)은 요입부(10a) 및 요철부(10b)가 교호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1)의 상측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20)는 도랑(30)의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턱(31)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되, 저면 길이방향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편(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11)의 상단에 안내 결합되는 결합편(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부설용 홈통.
KR2019980019059U 1998-10-02 1998-10-02 전선부설용홈통 KR200228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59U KR200228999Y1 (ko) 1998-10-02 1998-10-02 전선부설용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59U KR200228999Y1 (ko) 1998-10-02 1998-10-02 전선부설용홈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23U KR20000007623U (ko) 2000-05-06
KR200228999Y1 true KR200228999Y1 (ko) 2001-07-19

Family

ID=6970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059U KR200228999Y1 (ko) 1998-10-02 1998-10-02 전선부설용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45Y1 (ko) * 2011-10-13 2012-09-26 합자회사 거광산업 격벽 구조를 개선시킨 케이블 트로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45Y1 (ko) * 2011-10-13 2012-09-26 합자회사 거광산업 격벽 구조를 개선시킨 케이블 트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23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0392B2 (ja) プロテクタ
KR100232832B1 (ko) 다기능형 콘딧
KR200228999Y1 (ko) 전선부설용홈통
US6998531B2 (en) Electrical mud box with removable cover
KR101089099B1 (ko) 케이블 트로프
RU2264013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торцевой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монтажного короба, содержащего электрические провода или кабели
RU179610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страивания в стенное отверстие
RU2314615C1 (ru) Короб для прокладки проводов и кабелей (варианты)
US6455780B2 (en) Branch connection accessory for fitting at a junction between two lengths of trunking
RU103246U1 (ru) Элект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05029662A1 (ja) ケーブルトラフ
KR200496715Y1 (ko) 파형관 이격 스페이서
JP2021087256A (ja) 隔離板を有するケーブル収容容器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0689872B1 (ko) 배전버스 덕트
KR101291742B1 (ko) 케이블 트로프
KR19990015500U (ko) 지중 케이블용 방수 맨홀
US3324227A (en) Extruded electrical outlet box
KR19990001958U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KR101092421B1 (ko) 다공간 분할 배선덕트
KR200276330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KR20090001580U (ko) 덕트형 등기구
JP2007132007A (ja) トラフ及びトラフ連結構造体
KR100638565B1 (ko) 케이블 덕트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